태평한화골계전의 해학성, 풍자성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평한화골계전의 해학성, 풍자성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목적 및 문제제기

2. 서거정의 설화문학에 대한 인식

3.『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소화의 성격과 특성

4. 소화의 유형
4.1. 해학적 소화
4.2. 풍자적 소화

5. 『太平閑話滑稽傳』의 현실 인식

6. 결론

본문내용

롱 섞인 웃음의 이야기들이 있지만, 대상이나 독자들로 하여금 모욕감이나 고통을 느끼게 하지는 않는다. 이는 웃음을 통해 공동체적 삶을 회복하려는 의도 때문이다.
셋째, 『太平閑話滑稽傳』에는 무인 계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드러난다. 『太平閑話滑稽傳』에서의 소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어리석음인데, 그 어리석음에 포함되는 무식의 대상이 되는 계층은 무인과 승려들이다. 반면에 주인공의 재치를 소재를 하는 이야기에서 재치의 대상은 양반 즉 문인 계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렇게 무인 계층과 승려를 부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은 당시의 문·무차별이나 불교를 억압하고 배척하던 사회적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문인 계층은 재치, 무인 계층은 어리석음으로 대비시켜 보여주고 있다는 것은 문인의 우월성과 자부심을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太平閑話滑稽傳』의 웃음은 주로 양반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기에 그 향유층은 아무래도 양반들이었을 것이다. 특히 고문이나 고담, 한자가 자주 인용된 것으로 보아 이는 일상적이지 않은 전문 지식을 이용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아무리 자세한 설명이 뒤따른다 하여도 민중들이 이해하기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6. 결론
지금까지 서거정의 『太平閑話滑稽傳』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해 보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작가와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고, 서거정의 설화문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太平閑話滑稽傳』의 당대의 문학적 흐름과 서거정의 『太平閑話滑稽傳』의 저술 의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2장에서는 소화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화는 웃음을 본질로 하고, 향유자들이 우습다고 인식할 수 있는, 그 웃음을 통하여 교정의식을 느낄 수 있어야 하며, 인물이나 소재에 있어서 현실성이 강한 이야기로 정리했다. 또한 이 정의를 전제로 이야기로서의 유형이 잘 갖추어졌고, 웃음의 핵심을 잘 살리려는 기록자의 의도가 반영되고, 서사의 유형을 잘 갖춘 이야기들을 본격소화로 정리했다.
2장에서는 소화의 개념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소화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화는 웃음을 본질로 하는 현실적인 이야기이다. 『太平閑話滑稽傳』의 이야기들은 모두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고,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로 규정할 수 있다. 그 성격을 살펴보면, 일단 그 향유층이 지식인들이고 기본적으로 소화라는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몇 가지의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첫째, 이야기의 주인공은 조정 관리나 선비 등 지식층인 경우가 많지만 지식층이 아닐 경우도 있다. 그러나 서술자와 청자는 언제나 지식층이다. 둘째, 典故를 포함하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다. 셋째, 시나 시구를 포함하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다. 넷째, 글자나 글귀를 이용한 이야기들이 상당수 있다. 다섯째, 소화이기는 하지만 일정한 품위를 유지하려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4장에서는 『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웃음의 유형을 크게 해학적 웃음과 풍자적 웃음으로 분류하여 각각 웃음을 유발하는 원리에 대해 작품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해학적 웃음을 유발하는 해학적 소화에서는 이야기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스스로 웃고 가볍게 즐기는 부드러운 웃음이 나타나고 있었다. 『太平閑話滑稽傳』에서는 동음이의어를 통해 웃음을 주는 예화, 언어의 미묘한 차이가 만들어내는 웃음을 주는 예화, 주인공의 엉뚱한 행위가 주는 웃음을 유발하는 예화, 기대와는 다르게 계속 어긋나는 결과를 통해 웃음을 주는 예화 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풍자적 소화에서는 이야기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스스로 웃고 가볍게 즐기는 부드러운 웃음이 아니라,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생각이나 행동 등에 대해 은근히 비꼬거나 비판하는 웃음이 나타나고 있었다. 『太平閑話滑稽傳』에서는 지배 계층의 모순을 폭로하거나 지배계층의 지나친 탐욕을 비꼬는 예화, 인물(관리)의 무능력을 꼬집는 예화, 승려들의 부정적인 행위를 폭로하거나, 무신계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드러나는 예화 등을 찾아볼 수 있었다.
5장에서는 『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현실 인식을 살펴보았다. 『太平閑話滑稽傳』의 웃음은 폐쇄된 양반 사회에서 삶의 긴장을 풀어 줄 수 있는 매체였다. 작품이 주는 웃음을 통해 사회에서 이탈된 인물을 개선, 교정하거나 자유분방하고 일탈된 인물이나 사건을 통해 사회 통념에 대한 도전과 비판을 보여준다. 『太平閑話滑稽傳』에 나타난 현실 인식은 첫째, 인간 삶의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둘째, 지배 계층과 승려의 부정을 비판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그들을 교정하고 공동체 속으로 포용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셋째, 무인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준다.
우리 문학사에서 그동안 웃음의 문학에 대한 본질적인 의의와 가치를 충분히 드러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이러한 소화에 대한 연구가 웃음을 본질로 하는 모든 서사문학 연구에 어느 정도 보탬이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참 고 문 헌
李來宗 譯註, 『太平閑話滑稽傳』, 태학사, 1998.
趙東一, 『韓國文學思想史試論』, 지식산업사, 1985.
金知源, 『해학과 풍자의 문학』, 문장사, 1983.
박경신 외, 「徐居正의 설화문학」,『徐居正 文學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장덕순, 「韓國의 諧謔-文獻所載 漢文笑話를 中心으로」,『동양학』제4집,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1974.
朴鐘又, 「徐居正의 太平閑話 滑稽傳 硏究」, 영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李來宗, 「鮮初 筆記의 展開 樣相에 관한 硏究」,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구본희 「『太平閑話滑稽傳』의 작가 의식 연구-소재 분석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권윤옥 「『太平閑話滑稽傳』의 웃음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정희정, 「『太平閑話滑稽傳』의 이야기 방식과 웃음의 원리」, 한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이강옥, 「조선초·중기 일화의 형성과 변모과정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 가격2,6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10.22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66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