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불교와 사회제세력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선종불교와 사회제세력에 대하여

1. 선종불교의 의미와 변천

2. 선종불교의 전래

3.선종의 성격

4. 신라하대의 선종의 수용

5. 선종 수용의 문제점

6. 선종과 호족과의 관계

7.선종사원과 호족의 활동 범위의 상관관계

8.신라하대 선종, 호족은 왜 반기를 들었는가?

본문내용

선종 승려들은 중앙의 지배층에서 몰락한 6두품 이하의 하급 귀족 출신이거나 중앙 진출이 불가능한 지방 호족 출신이 많았다. 또한 복잡한 교리를 떠나 심성의 도야에 치중하는 단순한 선종의 수양 방법은 호족들의 호감을 사게 되고, 개인주의적이고 개혁적 성향은 중앙 정부의 간섭을 배제하면서 지방에서 독자적 세력을 구축하려는 지방 호족 세력의 지지를 받게 되었다.
따라서 9산 선문은 실상 산문과 같이 왕실 세력이 관여한 경우도 있었지만 주로 지방 호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게 되고 그들을 후원하는 유력한 호족의 근거지와 가까운 지방의 산지에 자리잡게 되었다.
(1) 성주산문 : 보령 지방의 호족인 김흔의 후원
(2) 사굴산문 : 강릉 지방의 호즉인 왕순식(김순식)의 후원(김주원의 후손)
(3) 봉림산문 : 김해 지방의 호족인 김인광의 후원
(4) 수미산문 : 왕건과 그의 외척인 황보씨 세력의 후원
8.신라하대 선종, 호족은 왜 반기를 들었는가?
신라 중대(통일신라 초기)때엔 인구증가, 영역확대, 대외관계 안정, 강력한 군사력 확보 등으로 왕권의 전제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왕권을 강화하려면 일반적으로 중앙 영향력 있는 귀족들을 억압해야했다. 그 중앙귀족들이 진골귀족이었는데 특히 태종 무열왕(654~661)은 상대등(귀족의 이익을 대변)을 약화시키고 녹읍을 폐지하여 진골귀족들의 경제적 기반을 약화시키는 등 귀족 억제 정책을 펼쳤다.
또 성덕왕땐 6두품세력이 등장하여 진골귀족세력의 숙청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리하여 결국은 진골귀족세력의 강한 반발로 녹읍이 부활되는 등의 왕권이 약화되게 되었다. 그리하여 6두품세력과 대립하게 되었다. 녹읍의 부활은 또한 진골귀족의 사치와 향락생활에 연계가 되었고 농민의 부담이 가중되었다.
호족은 그 출신성분이 지방의 토착적인 세력의 촌주나 몰락한 중앙 진골 귀족 또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6두품들이다.
그리고 당의 유학에서 돌아온 일부 유학생들과 선종 승려들(6두품들)은 진골귀족중심의 그러한 썩은 골품사회를 비판하였고 과거제도와 유교정치이념이라는 새로운 정치이념을 제시했다. 그래서 중앙 진골 귀족에 의하여 뜻을 못 펼치자 지방의 호족 세력과 연계하여 사회개혁을 추구했고 나아가 새로운 사상에 의한 새 국가(고려)를 개창하게 된다.
반 신라적이란 말은 그 당시 신라의 기득세력이었던 진골귀족들에 반대한다 해서 반 신라적이고 새 국가를 개창 한다 해서 반 신라적 경향이라고 하게 되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12.0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0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