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왕권강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의 왕권강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머리말

Ⅱ.본론

Ⅲ.맺음말

본문내용

책 방향에서 개혁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광종의 독재력의 한계성을 깨닫고, 독재력 대신 유교 정치 이념을 적용하고자 한 것이었다. 2, 4, 6, 8, 13, 16, 18, 20조에서, 불교나 토착 신앙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제도 정비에 방해되는 고대 문화의 잔재를 청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의 불교에 대한 비판은 불교 교리 자체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불교에서 파생되는 폐단만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7, 14, 15, 17, 20조에서는, 유교 사상에 입각한 중앙 집권적 귀족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였다. 즉, 왕권의 전제화를 규제하여 행정 기능을 중시하고, 귀족 관료들의 권위와 특권을 옹호하였다.
㉢ 3성6부의 중앙관제
성종의 치적으로서 특히 주목할 것은 새로운 정치체제의 정비였다. 흔히 삼성체제(三省體制)로 대표되는 새로운 정치체제의 개혁은 이미 982년부터 시작되었다.
즉 태조 이래의 정치기구를 중국식 제도로 개편하기 시작한 것이다. 우선 982년부터 983년 사이에 이루어진 새로운 정치기구는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과 어사도성(御事都省)을 중심으로 하고, 어사도성 밑에 선관(選官)·병관(兵官)·민관(民官)·형관(刑官)·예관(禮官)·공관(工官)의 6관(六官)이 예속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중앙관제는 995년에 다시 삼성육부로 개정되어 고려 중앙관제의 기본을 이루게 되었다. 이때의 관제내용은 998년(목종 1)에 개정된 전시과(田柴科)관계 기사에 잘 나타나 있다.
성종은 이처럼 새로운 정치체제를 중국의 제도를 수용하여 마련하였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중국식 제도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여 시행한 것은 이때가 처음으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자못 큰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이 단순한 모방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정치적·사회적 여건의 성숙과 발전이 그러한 선진제도의 수용을 필요로 하게 된 것임을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숭유억불책
우선 성종대의 정치적 지배세력의 성격은 그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성종대 전반기에는 신라 6두품 계통을 중심으로 한 유학자의 세력이 정치의 주도권을 쥐고 있다가, 그 후반기에는 이들 대신 개국공신 혹은 호족계열의 세력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신라시대에 비하여 권력구조의 핵에 참여할 수 있는 신분층이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고려는 건국 이래 엄청나게 늘어난 새로운 정치세력을 포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정치체제로서는 불가능하게 되었고 성종은 새로운 사회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중국의 선진제도를 도입하고, 정치·교육의 지도이념으로서 유교적 이념을 채택하여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던 것 같다.
성종은 유학을 숭상하고 억불정책을 위하여 연등회와 팔관회를 폐지시켰는데 그의 치적을 살펴보면, 그가 얼마나 유교주의적 정치이념을 펴기 위하여 노력하였나를 알 수 있으며, 동시에 그러한 정치이념의 실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재를 등용하고자 애썼다.
가령 992년(성종 11)에 교(敎)를 내리기를 “학문을 많이 쌓지 아니하면 선(善)을 알 수 없으며, 어진 이를 임용하지 아니하면 공을 이룰 수 없다. 이로써 서울에는 서상(序庠)을 열어 유술(儒術)을 숭상하고, 지방에는 학교를 설치하여 생도를 권과(權課)하며, 문예를 경쟁하는 장소를 열고, 경서(經書)를 연구하는 업을 넓혔으나, 오히려 포부를 가진 뛰어난 선비를 얻지 못하였으니 어진 이를 가로막고 재능을 방해하는 사람이 없는지 어찌 알리요. 무릇 문재(文才)와 무략(武略)이 있는 자는 대궐에 나와서 자천(自薦)함을 허한다.”라 하였고, 얼마 뒤에 다시 교를 내려“경관(京官)5품 이상에게 각기 한 사람씩 천거하게 하고, 그 덕행(德行)과 재능은 성명 밑에 기록하여 아뢰어라”한 것 등은 그 좋은 예가 될 것이다.
또한 성종은 재위기간 중에 종묘를 세우고 사직을 정하였으며, 태학에 재물을 넉넉하게 하여 선비를 양성하고 복시(覆試)로써 어진 사람을 구하였으며, 수령을 독려하여 백성을 구휼하고, 효도와 절의를 권장하여 풍속을 아름답게 하는 등, 정치·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새로운 시책을 정력적으로 편 결과 새로운 고려왕조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993년(성종 12) 거란족이 침입하였을 때 서희(徐熙)의 외교적 성과로 거란을 물리쳤을 뿐 아니라 강동 6주를 얻어 영토를 넓히게 되었다.
Ⅲ.맺음말
고려는 새로운 통일 왕조로서 커다란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고려의 성립은 고대 사회에서 중세 사회로 이행하는 내재적 발전을 의미하기도 한다. 호족의 연합체제로 시작한 고려 왕국은 태조의 호족 융합책, 광종의 중앙집권화를 위한 정치체제의 시행, 성종의 유교에 입각한 개혁정치를 거치면서 나라의 기틀을 더욱 튼튼히 하고 민생을 안정시키게 되었다.
비록 호족 융합책으로 인하여 왕규의 난이 일어났고, 광조의 독단적 정책으로 귀족의 극심한 반발과 숙청이 있었으나 각 시대의 왕들의 이런 일련의 노력이 있었기에 성종때에 중앙집권체제의 성립이 완성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레포트를 끝내면서 고려 초기에서 시작되어진 왕권 강화 과정에서 특출한 치적을 남긴 역사적인 고려 왕조에 대해 고찰은, 과제에 대한 학습에서 더 나아가 현제 일어나는 많은 역사 문제에 대비하는 할 수 있는 역사의식의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었으며, 우리 민족의 역사를 이해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었던 것 같다.
※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김부식(1145년)
삼국유사(三國遺事) 일연(1281~1283년 미상)
崔柄憲, [新羅 下代社會의 動搖], {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73.
金光洙, [羅末麗初의 豪族과 官班], {韓國史硏究}23, 1979.
金甲童, 『羅末麗初의 豪族과 社會變動硏究』, 1990,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洪承基編, 『高麗 太祖의 國家經營』, 1996, 서울대 출판부
金光洙, 「高麗太祖의 三韓功臣」 『史學志』7, 1973
河炫綱, 「高麗王朝의 成立과 豪族聯合 政權」 『한국사』4, 1974, 국사편찬위원회
朴漢卨, 「高麗太祖의 後三國統一政策」 『史學志』14, 1980
박한설, 「고려의 건국과 호족」 『한국사』12, 1993
김갑동, 「왕권의 확립과정과 호족」 『한국사』12, 199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12.06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4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