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과 북한의 언어에 대한 비교 분석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한과 북한의 언어에 대한 비교 분석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사의 의의
1.1조사의 목적
1.2조사의 범위
1.3조사의 방법

2. 조사의 실제 내용
2.1남한의 언어
2.2북한의 언어
2.3남북한 발음 차이
2.4남북한 문법 차이
2.5남북한 어휘 차이
2.6북한 언어를 남한 언어로 바꾸어 보기

3.결과분석

4.결론

5.참고문헌

6.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새로운\' 언어 규범을 추구했다는 점은 몇 가지 사례에서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북한에서 두음법칙을 의도적으로 무시하는 것 역시 이런 맥락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조선어학회의 국어학자들이 일제치하에서 두음법칙을 비롯한 우리말 사용의 기본법칙을 만든 것은 단순한 학문적 유희의 결과가 아니었습니다. 말하자면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 \'한글마춤법통일안\'은 우리말을 가장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사용하기 위한 규칙을 총 정리해 놓은 내용이었던 것이었습니다. 북한은 언어를 가장 중요한 문화 요소로 보고 여기에서 주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강력한 관 주도의 언어 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언어를 혁명과 건설의 힘 있는 무기라고 보는 유물론적 언어관에 입각한 북한 언어 정책 이른바 김일성 주체사상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언어를 개조하는 정책의 추진 폐쇄적 공산주의 체제에서의 생활 ― 당의 통제 하에 철자법 개혁, 한자 폐지, 말 다듬기 운동, 문화어 운동 등을 강력히 펼쳤기 때문입니다.
*북한 언어와 문화의 관점
①문화 정책의 기본 방향 - \'문화 혁명\'이라는 기치 아래 사고와 감정, 행위, 그리고 생활양식을 주체적이고 혁명적으로 개조, 변혁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②북한 언어의 일반적 개념과 사회적 성격
사람들이 서로 교제하며 사상을 표현하며 호상 이해를 달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수단
혁명과 건설의 모든 분야에서 대중을 불러일으키는 조직 동원의 무기주체 사상에 입각하여 민족적 자부심과 계급의식을 높여 주는 사상 교양의 무기라고 여기고 있습니다. 그리고 언어가 혁명과 건설의 무기라는 유물론적 언어관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2.3 남북한 발음 차이
*발음*
-모음 \'ㅓ, ㅡ\'의 원순화
\'어\' → [ ]에 가깝게 발음. (남한 [ / ]로 발음) \'걱정없다\' [곡쫑옵따]
모음 \'ㅚ\'의 발음 - 이중모음 [ ]을 단모음 [we]으로 발음.
※ 남북한 모두 \'ㅚ\'를 단모음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남한에서는 방언적 차이에 따라 아중 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는데 이를 인정하는 반면에 북한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다.
\' l \' 모음 역행 동화, 전설 모음화가 광범위하게 적용됨.
\' l \'모음 역행 동화
건데기(건더기). 구뎅이(구덩이), 지팽이(지팡이), 곰팽이(곰팡이), 실오
래기(실오라기), 꼬랭이(꼬랑이), 엉뎅이(엉덩이) 등
전설 모음화
수집다(수줍다), 부시다(부수다), 기지떡(기주떡), 마무리다(마무르다), 부스스(부시시), 비슬거리다(비실거리다), 두루뭉실하다(두리뭉실하다) 등
두음법칙 부정 - 1954년 이후 본음대로 표기하고 발음함을 원칙으로 함.
로동 신문(노동 신문), 로인(노인), 녀자(여자), 념원(염원), 리해(이해), 량심(양심), 료금(요금), 류학(유학), 례의(예의), 롱담(농담), 락원(낙원), 루각(누각), 래일(내일), 유대(유대), 녕변(영변), 뇨도(요도) 등
된소리가 많이 사용된다 - 현실음에 가깝게 발음하고 적으려는 목적.
원쑤(원수), 뚝(둑), 복쑤(복수), 논뚜렁(논두렁), 손까락(손가락), 손
  • 가격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1.11
  • 저작시기2006.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23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