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의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한국>>고대복식
♣ 삼국시대의 복식
(1) 고구려 (B.C 37)
(2) 백제 (B.C 18)
(3) 신라 및 통일신라
(4) 가야
(5) 삼국시대의 직물공예의 특징

한복의 색채
(1)한복의 전통색
(2) 한복의 색깔 어울리기

오방색의 상징성
[일상생활의 전통색채]

본문내용

는 곳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고대사회에서는 중국을 동양문화권의 중심으로 생각하였으므로 중국의 황제를 상징하는 색으로 전용되었으며, 황제가 거처하는 궁궐의 지붕은 황금색 유리기와를 입혔다
청색 : 녹색부터 남색까지를 지칭하며 나무, 하늘, 물, 동쪽, 탄생, 젊음, 벽사, 낮은 지위등을 의미한다.
백색 : 흰색으로 태양, 신성, 길한 조짐, 서쪽을 의미하며, 특히 백색이 태양을 의미하는 것은 햇빛을 백색으로 인식하는데서 비롯된 것이다. 한국의 산중에 태백산, 소백산들이 많은데,이때 '백산'은 밝은 산을 의미한다. 밝음은 태양빛이며, 그 빛을 신성한 것으로 여겼으므로 하늘의 뜻을 받은 성산을 의미하였다
적색 : 붉은색을 뜻하며, 밝음, 고귀함, 남쪽, 벽사, 천상의 밝음, 나라의 시작을 뜻한다. 붉은 빛은 하늘의 밝음과 그 밝음을 고귀하게 숭상하고 있는것을 표현하므로 건국신화의 대표적 색으로 등장한다
흑색 : 우리말의 검정색으로 신격, 물, 제의,북쪽을 뜻한다. 오방색 체계에서는 정색과 정색사이에 간색을 두었는데, 동과 서 사이에는 벽색(碧色)을 동과 중앙 사이에는 녹색을, 남과 서사이에는 홍색을, 남과 북 사이에는 자색(紫色)을, 북과 중앙사이에는 유황색을 두었다 이들 다섯가지 정색과 다섯가지 간색을 합한 열가지 색을 기본색이라 하였고, 10가지 기본색을 음양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우주의 질서를 유지하고 화평을 얻는 중요한 일로 여겨졌다.
색동저고리는 오방색을 사용한 대표적인 예로서 건강과 화평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이유로 서민들도 아기의 돐과 명절 및 혼례때에는 색동옷을 입었다.
불교의 사찰과 궁궐에서 사용하던 단청에도 사용된 오방색은 방위와 위치에 따라 완벽한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되었다. 단청의 주요색조는 적색, 주홍, 양청(곤색), 황색, 석간주, 양록등이며, 이 기본 빛깔들은 흰색과 먹색, 기타색깔과 배합하여 여러가지 다른 색깔을 만들어 썼다. 색계열과 계열사이에는 흰색으로 구획선을 그어 무늬와 색조를 두드러지게 하였고, 단청에 나타난 색은 주로 이색과 보색으로 배색되어있다. 또 더운색과 차가운 색을 엇바꾸면서 색의 층단을 구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변화를 주고 있다
[일상생활의 전통색채]
의생활과 색채
-전통적 의생활에서 중심색채는 가공하지 않은 소색의 백색이다.색의 조화에 있어서는 흑색과 백색의 대비와 원색의 대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조색인 백색에 대하여 다른 한 편으로 녹의홍상, 황의홍상, 녹의청상등과 같은 강렬한 원색이 공존하였다. 평상복은 주로 백색을 중심으로 한 고명도의 색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대조되는 원색의복으로는 의례복과 아이들의 의복,기녀의 의복등 색채의 규제가 비교적 덜 엄격한 의복등에서 나타난다
http://members.tripod.lycos.co.kr/%7Eactrice/coordi1.htm
참고문헌
백영자(1993) 한국의 복식. 경춘사
차용준(1000) 전통문화의 이해 .전주대학교
김영숙(2001) 전통복식의 생활화에 따른 형태 변화 연구.세종대학교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2.24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7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