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통문화와 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전통사상
(1) 중국의 천하사상(天下思想)
(2) 중화사상(中華思想)
2. 중국전통문화의 특색
(1) 현세성
(2) 실용성
(3) 경험성
(4) 인사의 중시
3. 중국인의 장단점
(1) 국민성과 역사, 지리와의 관계에 대한 간략한 고찰
(2) 만만디(慢慢地)
(3) 관습
(4) 체면(面子)중시 사상
(5) 현세주의적 경향
4. 동서의 문화차이
(1) 동양사상과 서양사상
(2) 예술에서의 동양과 서양의 만남
(3) 서구 문학에 나타난 동양의 사상

본문내용

는 우키오에의 세속적인 풍습 묘사에서 느껴지는 선미(禪味) 등은 인상주의의 방법과 크게 다르다고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20세기 초부터는 이러한 「영원한 순간」, 「영원 속의 영원한 순간」같은 개념은 서구 문학 작품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서반아의 완 라몬 히메네스의 선사상, 라몬 고메스 데 라세르나의 「일본 병풍이나 호꾸사이의 그림과 선적인 터치에서나 볼 수 있는」 순간성의 문학이 그 한 예이다. 에즈라 파운드가 이미지를 정의할 때 튀어나온 극히 동양적인 미학도 역시 우연한 결과는 아니다. 그에게 이미지는 '어느 한순간의 지적이고 정서적인 복합체를 제사하는 것'이다. '그런 복합적 실체를 순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우리에게 갑작스런 해탈감을 주는 것, 씨간과 공간의 한계에서 갑자기 해방된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이미지라고 설명한다.
(3) 서구 문학에 나타난 동양의 사상
19세기가 되면서 서양에는 동양의 사상, 특히 실증주의, 사실주의 등으로 나타나는 허무의식과 신비주의 사상등이 확산, 기승을 부리게 된다. 학자에 따라서는 오늘날 서양에 알려진 불교, 특히 천태종, 화엄종, 선정에 관산 사상은 모두가 누국계의 불교이지 인도의 불교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불교의 업보에 관한 개념 중에서도 극동의 민간 설화한 인연설, 윤회설들은 그 뿌리가 인도사상에서 돈 것이라 할지라도 다분히 우리 것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같은 색즉공(色卽空)의 사상도 이 현상 세계의 삶과 마음을 중요시하는 「평상심(平常心)이 곧 불성(佛性)」이라든가 「귀오성불(悟成佛)」의 사상 같은 선불교적인 착상은 중국문화군의 인문주의적 경향이 두드러진 면이 있다. 그러나 19세기와 20세기의 문학에 그토록 커다란 영향을 미친 불교사상을 그 성질별로 인도적이다, 극동적이다 논할 수 없는 것은 사상 자체가 가지는 포괄성 내지는 그 한계의 모호성이 있기 때문이다.
인도의 사상적인 것에서 대승불교적인 경향으로 발전하는 것이 서구 문학의 19세기부터 오늘에 이르는 유사불교의 내용의 변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면 거기에는 극동의 개화 이후 라프카디오 헌이나 팸벌레인을 비롯한 많은 여행가, 학자들의 극동 여행기, 연구 서적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이다. 여러 동양 사상들은 서구의 제국주의의 관심 속에 불붙는 테마로 자리하게 되는데, 이런 관심 속에서 전통적인 이국취향적 환상, 인상주의에서 보여 준 동양 회와나 조각 등 예술에 대한 감흥, 종래의 인도사상적 비전에서 본 극동의 정신 세계에 대한 그 흥미 등이 한데 어울려 있기 마련이다.
라프카디오 헌은 불교에 관심이 무척이나 많았는데 이러한 그의 관심은 1882년부터 였다.
지난 일요일은 처음은 아닌 일이지만 어떤 신학자인가 테오소피스트인가하는 사람이 또다시 강단에서 불교의 만연에 대한 경고를 일삼았다. 우리는 대서양 이쪽에까지 불교가 그토록 전파되고 있는지는 잘 모른다. 그러나 많은 전경할 만한 신부나 목사들까지 이런 현상이 오늘의 현실이라고 개탄하고 있다. 어떤 성직자는 교인들에게 불교파들이 뉴 올리언즈에 심지어 신문까지 발행하고 있다고 귀띔하고 있었다.
그의 이런 불교에 대한 피상적인 관심은 일본 여행을 계기로 적극화한다. 그는 일본을 「신들의 영토」로 보고 신토이즘을 비롯한 동양 종교, 특히 선불교적인 일본의 사원 분위기, 일상행활에까지 젖어든 선적 취향에 대해 감동한다.
이상에서 보아 온 신토이즘이나 일본 불교에 대한 생각은 이 모두가 서양 문명과 종교에 대한 반명제로서 고찰되고 있다는 점이서 일치한다. 신토이즘이 불교의 탈을 쓴 일본 애국정신의 구현이라면 불교는 일본의 서구화로 잃어가는 그들의 진정한 영혼으로 헌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그의 이런 감상주의적 옛 일본에 대한 향수는 그가 이해하고 있는 불교가 무엇이었는가를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서구의 개인주의적인 물결에 마주 선 박애와 인고의 화신으로서의 불타가 우선 헌이 느꼈던 불교다. 다만 이것이 기독교적인 신의 개념과 다르게 이해된 점이 있다면 불타는 보다 인간적인 신이라는 사고였을 뿐이다. 19,20세기 초반의 문학에는 다분히 불교적인 내용이 팽배하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쇼펜하우어와 니체를 통해 들어온 윤회사상의 파문이 미친 영향이기도 하며 피타고라스로부터 서구 전통에 숨쉬고 있던 환생설의 부흥에서 비롯된 현상이기도 하다. 또한 블라바트스키가 주창했다고 하는 유사불교적인 테오소피의 붐은 세기 초 온 서구를 누비는 신비주의였다. 거기에서 그 많은 인도 사상, 불교에 대한 전문 서적들은 아는 듯 모르는 듯 고답파와 상장주의 작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0세기를 지나면서 서구의 불교 문학은 완전히 그 색채를 달리 하는데 이 각(覺)이라는 개념이 찰나성, 우발성을 띤다. 선불교적 향기를 내뿜으면서 감각적이고 동시에 지적인 형체로 모습을 바꾼다. 물론 신(神)은 이 어느 지각의 상태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성 중심적인 서구인의 눈에 비친 그것은 어떤 초월적인 지(知)로 생각되었다. 선불교적인 취향이 세기초부터 서구 문학에 등장하기 시작했다면 그것은 앞서 인상주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자생적인 우연의 일치로 보는 게 좋다. 그 뒤 라프카디오 헌 등을 통한 일본의 불교와의 접합과 거수의 이럼 인상주의의 물을 먹고 자란 타고르의 인도 사상의 자가 중심적인 해석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본다. 타고르의 인도 사상은 선불교적인 취향, 즉 각(覺)의 찰나성을 선호한 흔적이 많다.
이상 언급한 문학 경향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세기 초 이후 많은 시인에게서 찾아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것이 특히 시문학에서 많이 개발될 수밖에 없었던 연유의 하나는 모든 동양의 예술이 그렇듯이 서구에 비해서 짧고 단편적이었던 데도 그 영향상의 이유가 있겠으나 무엇보다도 선적 취향은 순간처럼 짧은, 특히 부조리적인 언어구사에서 마력을 발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1. 강효백, 차이니즈 나이트1, 한길사, 2000
2. 강효백, 중국? 중국, 중국!, 예전사, 1995
3. 이인택, 차이나 신드롬 속의 진짜 중국, 해냄, 2000
4. 윤순희 , 중국문화입문, 동양문고, 2000

키워드

중국,   문화,   전통,   사상,   동양
  • 가격7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5.20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