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의무론적 직각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칸트의 의무론적 직각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며

Ⅱ. 善意志 그리고 義務

Ⅲ. 實踐理性의 根本法則

Ⅳ. 人間의 尊嚴과 目的의 王國

Ⅴ. 宗敎哲學

Ⅵ. 나오며

본문내용

전선’(vollendetes Gut)의 개념을 중심으로 삼고 있다. 完全善이란 최상의 선을 구현한 인격이 그 덕에 알맞는 행복을 누리는 상태, 즉 완전한 덕과 완전한 복의 결합을 의미한다. 칸트에 따르면 무제약적으로 선한 것은 오직 의무에 대한 존경에서 옳은 길을 택하는 의지뿐이었다. 쾌락이나 고통 따위의 것은, 그 자체로서 볼 때 도덕적인 의미로는 선도 아니며 악도 아니다. 그러나 주어진 상황 전체의 가치로 말하면 쾌락 또는 고통의 유무는 결코 무관한 일이 아니라고 칸트는 믿고 있다. 착한 의지의 소유자는 복을 받아야 마땅하고, 악한 의지의 소유자는 마땅히 고통을 받아야 할 사람들이 고통을 마땅하다. 따라서 마땅히 복을 받을 사람들이 복을 받고 마땅히 고통을 받아야 할 사람들이 고통을 받는 세계는, 그 전체의 가치로 볼 때 그렇지 못한 세계보다 낫다. 그러나 현실의 세계는 언제나 반드시 그토록 공정하지는 않는 것이다. 행복과 고통이 때로는 엉뚱한 사람들에게 주어지기도 한다. 다시 말하면 착한 의지의 소유자가 복을 누린다는 사태는 마땅히 있어야 할 사태이기는 하나 반드시 현실과 부합하는 사태는 아니다. 그러나 그 것은 마땅히 있어야 할 사태인 까닭에 실제로 있을 수 있는 사태여야 한다. 그리고 이 마땅히 있어야 할 완전선의 경지가 실현될 수 있기위해서는 무한히 예지적인 존재, 즉 신의 존재가 요청된다는 것이다. 즉 신의 존재는 이론적으로는 가설에 불과하나 실천적으로는 신앙인 것이다. 따라서 순수이성에 근원을 둔 까닭에 칸트는 이를 “순수한 이성 신앙”이라고 부른다.
Ⅵ. 나오며
현재 우리 사회현실에서 요청되고 있는 문제는 윤리의식이다. 여기서 칸트의 윤리사상의 중요한 점은 그가 어떻게 하든 신이 존재하고, 존재하는 신이 있는 한 절대적 가치규범, 객관적 선이 존재한다는 당위명제를 확립하려 했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본주의가 윤리적 정신은 결여된 채 외형상의 모습으로 우리나라에 들어 왔고 급변하는 근대화에 쫓겨 물질만능과 현실안녕에만 급급하여 이제 사회와 경제는 혼란한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칸트가 말한 바와 같이 신의 존재가 증명을 통해서라기보다는 요청적으로 필요한 것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급변하고 있는 사회의 발전 속에서 우리는 심한 윤리성 마비증에 결려 있고 일관된 태도나 정의로움 대신 상황에 자기 모습을 맞추어가려는 기회주의가 판을 치고 있다.
칸트가 있었던 시대에 있어 칸트의 윤리사상의 정신과 의의가 당시 혼란한 상대주의와 경험론자들의 회의주의에 대항하여 객관적 선과 진리를 다시 확립하려는 태도에 있었다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의 가치규범의 무질서와 혼돈은 칸트의 윤리사상의 정신과 의의의 중요성을 새삼 중요하게 생각하게 한다.
※참고문헌
1. 김태길, 『윤리학』,박영사, 2002.
2. 폴테일러 지음,(역)김영진,『윤리학의 기본원리』, 서광사, 1985.
3. W,S. 사하키안지음, (역)박종대,『윤리학』, 서강대학교출판부. 1985
4. 남호정,「칸트윤리철학의 고찰」,이화여자대학교, 1988.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3.08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