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유럽 신화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북유럽신화의 유래와 배경

3.북유럽 신화의 내용.
(1)전반적인 줄거리
(2)주요한 신들과 의미 분석
(3)뒤메질의 3기능 이데올로기에 의한 장면 분석
(4) 라그나뢰크의 의미

4.현대 문화 컨텐츠와 북부신화
(1)들어가면서
(2)맛보기 / 영화 반지의 제왕
(3)게임에서 찾아보다 - Age of Mythology
(4)애니메이션에서 찾아보다 - 마탐정 로키 RAGNAROK

5.왜 북유럽 신화인가?
(1)북유럽 신화가 현대의 문화적 코드로 많이 차용되는 이유
(2)북유럽 신화 차용과 그 영향

6.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럽신화의 모습은 신화의 재미라는 요소를 한껏 활용한 것이다. 돈을 찾아다니는, 그리고 돈이 될만한 것이면 무엇이든 이용하는 자본주의의 속성은 그 손을 고대인들의 삶의 경전이었던 신화에까지 뻗었다. 북유럽 신화는 자본주의의 손 아래에서 그 모습이 변형되었다. 자본주의는 신화 속에 숨어있는 재미라는 요소를 뽑아버리고 필요 없다고 판단되는 것은 버렸다. 원래 신화가 사람들에게 숭상시되고, 중요시되는 바탕이 된 내용들은 빠져버리고, 그 자리를 재미라는 요소가 모두 차지하게 된 것이다. 알맹이가 빠진 신화이기에 사람들이 접하는 신화란 피상적인 것일 수밖에 없었다. 각 문화컨텐츠에 알맞은 요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속에서 접하는 신화란 피상적이고 그리고 그 이미지는 강렬하고 자극적이기 때문에 쉽게 우리의 사고 속에 각인된다.
북유럽 신화가 폭력적이고 파괴적인 속성을 지니게 된 것은 북유럽 사람들이 살던 환경이 척박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라그나뢰크란 신들의 전쟁을 통해 끝을 맞이하지만 그것은 세상의 완전한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을 위해 넘어가야 할 한 단계일 뿐이다. 라그나뢰크 뒤의 세계는 전보다 훨씬 풍요롭고 안락한 삶이 펼쳐진 세계다. 문화 컨텐츠 속에 들어있는 신화의 부분 모습만으론 이것을 다 파악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북유럽신화=폭력적’이란 단순한 도식이 우리의 머리 속에 새겨질 위험이 있다. 북유럽 신화 속의 폭력은 폭력 그 자체가 아닌 창조를 위한 인고의 과정에 있는 폭력인데도 말이다.
문화컨텐츠 속에 있는 신화가 이렇게 부정적인 영향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비방해서는 안 된다. 껍데기뿐인 재미라는 요소만을 뽑아낸 신화일지라도 아직 가능성은 남아있기 때문이다. 재미는 사람을 가보지 않은 길로 가게 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낯선 것에 대한 호기심, 그리고 그에 대한 흥미는 두렵고도 무서운 세계로 사람을 나아가게 한다.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고 싶은 인간의 욕구는 누구에게나 있기 마련이다. 문화컨텐츠 속에 숨어있는 신화는 그런 흥미를 충분히 일으킬 수 있다. 흥미를 통해 무언가를 발견해가는 인간의 힘을 놀라운 것이다.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발명과 발견 등이 사실은 아주 작은 호기심에서 비롯된 사례를 우리는 많이 알고 있다.
이국적인 것에 대한 호기심은 다른 문화에의 접근의 길로 우리를 이끌 수 있다. 문제는 이 길로 이끄는 방향이다.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가 다른 문화에 대한 잘못된 길로 이끌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걸 방지하기 위해서는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가 ‘살아있는 신화’로써 그 속에 사람들의 삶이 살아있고 그를 통해 그 사회 사람들의 삶을 간접적이나마 접할 수 있게 해주는 전인적인 신화여야 한다. 이렇게 전인적인 신화를 문화 컨텐츠 속에 담는 일은 그 문화컨텐츠를 만드는 사람의 역할이 중요하다. 무작정 재미가 있다고 해서 그것을 차용해서는 안 된다. 문화컨텐츠를 만드는 사람은 신화를 차용하기에 앞서 신화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신화의 참된 의미를 알고 있어야 한다. 문화컨텐츠를 만드는 사람이 신화에 대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면 거기에 담기는 신화는 피상적인 것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문화컨텐츠를 만드는 사람은 문화컨텐츠의 영향력을 인식하고 자신의 잘못된 이해와 그로 인해 잘못 반영된 신화의 모습이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문화컨텐츠를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또한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를 소비하는 사람의 감시도 필요하다. 문화컨텐츠를 소비하는 사람은 그 속에 담긴 신화가 본래 그대로의 신화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만 한다. 그러한 인식이 바탕이 되었을 때 우리는 문화컨텐츠 속의 피상적인 신화의 모습에 속지 않을 수 있고, 물들지 않을 수 있다. 신화를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신화가 만들어진 배경을 알아야만 한다.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만으로 신화의 참된 의미를 이해하거나 그 신화가 만들어진 사회를 올바로 알 수 없다. 신화가 문화컨텐츠 사업에 차용될 때 변형(심지어는 왜곡)을 거친다는 사실을 지각하고 있다면 신화에 대한 이해가 문화컨텐츠에서 그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나아가 다른 문화에 대한 참된 이해로 나아가게 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만이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는 문화전달자로의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여타의 문화들이 접촉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지만 우리는 그 문화들을 제대로 알고 있지는 못하다. 문화컨텐츠를 만드는 사람이 신화의 참된 의미를 이해한 상태에서 문화컨텐츠를 만들고 문화컨텐츠를 소비하는 사람이 문화컨텐츠 속의 신화에 대해 비판적인 인식을 갖고 있을 때, 우리는 신화의 진정한 모습을 알 수 있게 된다. 신화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우리는 다른 문화 속에서 사람들과 함께 호흡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서로를 향한 한 발자국씩의 전진은 ‘나’와 ‘너’가 아닌 ‘우리’로 향하는 힘찬 발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강응천, 바이킹 전사들의 북유럽 신화여행, 금호문화, 1998
안인희,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민음사, 2003
다케루베 노부아키 외, 켈트북유럽의 신들, 도서출판 들녘, 2000.
라이너 테츠너, 게르만 신화와 전설, 범우사, 2002
이브 코아, 바이킹, 시공사, 1997
케빈 크로슬리-홀런드, 북유럽 신화, 현대지성사, 1999.
네이버 백과사전 및 지식in, 오픈사전 (http://www.naver.com)
* 목 차
1.서론
2.북유럽신화의 유래와 배경
3.북유럽 신화의 내용.
(1)전반적인 줄거리
(2)주요한 신들과 의미 분석
(3)뒤메질의 3기능 이데올로기에 의한 장면 분석
(4) 라그나뢰크의 의미
4.현대 문화 컨텐츠와 북부신화
(1)들어가면서
(2)맛보기 / 영화 반지의 제왕
(3)게임에서 찾아보다 - Age of Mythology
(4)애니메이션에서 찾아보다 - 마탐정 로키 RAGNAROK
5.왜 북유럽 신화인가?
(1)북유럽 신화가 현대의 문화적 코드로 많이 차용되는 이유
(2)북유럽 신화 차용과 그 영향
6.결론
참고문헌
  • 가격1,9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6.04.01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2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