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正祖)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무예도보통지』란

2. 『정조(正祖)』는 누구인가

3. 어제무예도보통지

4. 무예도보통지의 출현 배경

5.무예도보통지의 구성

6. 무예도보통지가 나오기까지

7. 『무예도보통지』의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총애를 한 몸에 받으면서 부왕의 군사시책을 집행하는데 충실하여 속병장도설을 개간, 이듬해 각도에 배포하였으며, 영조는 왕세자의 보좌를 받으며, 동왕 27년(1751) 어제수성논음(御製守城論音)과 수성논음절목(守城論音節目)을 배포하여 수성의 수비체제를 확립하였다. 영조 30년(1754) 8월에는 위장필람(爲將必覽)이 편찬되었고 영조 35년(1759)년에는 왕세자가 왕명을 받아들여 무예신보를 편찬하기에 이르렀다.
무예신보는 오늘날 현존하지 않았지만 그 내용의 편성은 무예도보통지를 통해 엿볼 수 있는바, 선조대에 한교가 편찬한 무예제보는 곤봉, 등패, 낭선, 장창, 당파, 쌍수도의 육기만을 취급하고 있는데 비하여 무예신보는 죽장창, 기창(旗槍), 예도, 왜검교전, 월도, 협도, 쌍검, 제독검, 본국검, 권법, 편곤 등의 12기를 추가, 도합 "18기"에 대한 무예를 도설하였다.
7. 『무예도보통지』의 역사적 의의
'무예 도보 통지'는 무예 관련 서적 225종과 동양 3국의 무예가 총망라되었으며 우리의 체질과 기후, 풍토, 지형 등에 맞게 새로이 정립된 자주 정신의 정화이다.
임진왜란 이후 국방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그 동안 잊혀지고 사장되어 온 전래의 무술기예를 정리하고 잊혀진 것을 찾아내고 주변국의 우수한 바를 받아 들여서 만든 '무예 도보 통지'의 가장 중요한 의의는 전래 무예를 재정립하고 중국, 일본 무예를 연구 분석하여 우리의 무예로 재창조했다는 점일 것이다. 또한 어제 서문에서 밝히듯이 평화시에 큰 일을 대비하여 서적을 편찬하는 유비무환의 정신, 자주 국방의 정신은 귀중한 정신적 유산이 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4.09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35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