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측면에서 본 자본축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적 측면에서 본 자본축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개 요

1.서론

2.본론
1)영국의 자본축적과정
2)일본의 자본축적과정
3)우리나라의 자본 축적과정

3.결론

자본축적모형의 종합비교

본문내용

경쟁력을 가지는 수출산업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1950년대는 투자재부문은 말할 것도 없고 소비재부문에서도 초과수요로 일관되어 왔으며 따라서 수출액은 매우 적었다.
수출이 1960년대 이후의 내자동원을 이끌었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서 인가? 수출이 국내저축을 증대시키는 데 있어서는 소득승수를 통하여 잠재저축을 늘리는 역할과 투자재 공급기능을 통하여 잠재저축을 투자로 연결시키는 두 R지 역할이 있다함은 이미 말한 바 있다. 한국의 경우 수출은 두 가지 역할을 다 같이 수행하였다.
그리하여 경제 근대화과정에 있어서 수출의 역할은 영국에서보다도 일본에서, 그리고 일본에서보다도 한국에서 훨씬 더 컸던 것이다.
3.결론
자본축적모형의 종합비교
선두주자형(영국)
중간주자형(일본)
낙후주자형(한국)
공업화 이전의 원시 축적유무
충분
불충분
없었음
농업개발이 공업화에 선행 여부
선행
병행
후행
자본축적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
소극적
적극적
더욱 적극적
국내자본의 동원방법
자발적 저축
자발적 저축과 강제저축의 병행
강제저축
정부의 역할
소극적
적극적
더욱 적극적
외자도입 여부
국내자본수출
자본의 자급자족
외자도입
공업화 초기의 투자율
낮음(6%선)
높음(9%선)
더 높음(20%선)
공업화 초기의 1인당 소득증가율
낮음(1~2%)
높음(2~3%)
더 높음(7%)
① 영국의 경우에는 산업화 이전에 이미 충분한 원시축적이 존재하였으며 일본의 경우에도 존재하였지만 불충분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원시축적이 없는 상태에서 공업화에 들어갔다.
② 영국의 경우에는 농업혁명이 공업화에 선행하였으나 일본에서는 병해되었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후행하여 농업성장은 공업화의 결과 또는 부산물로서 이해된다.
③ 자본축적에 있어서 무역의 역할은 일본이 영국보다 적극적이었으며 한국은 일본보다도 더 적극적이었다.
④ 국내자본의 동원방법에 있어서 영국에서는 충분한 원시축적이 있었으므로 강제저축에 의존할 필요가 없었고, 원시축적이 불충분했던 일본에서는 자발적 저축과 강제저축이 병용되었으며, 원시축적이 없었던 한국에서는 주로 강제저축에 의존하였다.
⑤ 정부의 역할은 영국보다 일본이, 그리고 일본보다도 우리나라의 경우가 더 적극적이며 포괄적이었다. 그리하여 개발 초기의 자본 동원은 영국의 경우에는 민간기업, 일본의 경우에는 정부와 은행,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정부가 각각 주도하였다.
⑥ 영국은 처음부터 자본을 수출했고 일본의 경우에는 수출도 수입도 하지 않고 자급자족했으며, 우리나라는 막대한 외자를 도입하였다.
⑦ 공업화 초기단계의 투자율과 1인당 소득증가율을 보면 영국보다 일본이 높았고 일본보다도 한국이 높았다. 투자율은 영국이 6%선, 일본이 9%선이었던 데 비해서 ks국은 20%선이었으며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율에 있어서도 영국이 1~2%, 일본이 2~3%인 데 대하여 한국은 7&수준이었다. 이러한 사실은 뒤늦게 공업화에 들어갈수록 일단 공업화가 시작되면 그 속도는 더욱 폭발적이라고 하는 거센크론의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키워드

역사,   자본,   축적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05.01
  • 저작시기200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6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