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의 '탁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작가 소개 - 채만식의 필명을 중심으로

2. 줄거리

3. 인물망

4. 『탁류』의 시대상
1). 시대적 배경(1930년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중심으로)
2). 공간적 배경(식민지 항구, 군산)

5. ‘채만식’, ‘남승재’의 눈을 빌려보니...

6. 유씨의 교육열은, 일본의 정책적 승리?

7. 『탁류』에서 드러난 경제 행위

8. 쓴 웃음의 미학 - 『탁류』의 풍자

9. 마치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 외양이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형보처럼 비뚤어진 생각과 빗나간 욕망으로 점철된 인생을 살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그 풍자의 효과는 ‘대상을 언어적으로 희화화하고 조롱하는’ 수사적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다. 이러한 인물의 묘사보다 이 작품을 풍자소설에 가깝게 만드는 문학적 장치는 ‘패러디기법’이다. 탁류는 심청전, 흥부전, 무정을 패러디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패러디역시 풍자가 동원하는 중요한 양식적 요소이다. “비평적 거리를 둔 반복으로서...유사성보다는 상이성을 강조”하는 양식으로 정의되는 패러디의 ‘전도적 성격’은 풍자가 지니는 공격적 목적에 중요하게 사용된다. 특히 이 작품의 주된 패러디 대상인 심청전에서 부모에 대한 일방적인 복종과 희생이 자식으로서의 가장 가치 있는 삶임이 강조되어 있는 반면, 탁류의 초봉은 아버지의 요구에 부응한 끝에 인생을 망치게 된다. 결국 부모에 대한 복종과 희생이 엄청난 불행을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곧 현대사회내의 개인의 능동적인 역할이 강조되어야 함을 설명하고 있다.
탁류에는 채만식 문학 전반에 흐르고 있는 작가 의식의 중요한 요소들이 광범위하게 내포되어 있고, 또한 채만식의 풍자 작가적 특질이 짙게 녹아 들어가 있기도 하다. 무엇보다도, 퇴락한 전통과 타락한 근대 현실이 착종되어 있는 식민지 조선의 암울 한 상황을 공간의 상징화를 통해 배경화 하면서 심청전, 흥부전, 무정 등의 선행 텍스트들에 의한 패러디를 통해 탁류는 그 전반부에서 다면적인 현실 비판과 풍자의 효과를 낳고 있다. 그러나 그 후반부에는 전반부의 미덕들이 대부분 소멸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드러내 보이기도 하는데 그 문제점을 통속성이라는 포괄적이고도 무차별적인 개념으로 비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채만식은 생성보다는 풍자를 통해 부정으로 일관한 작가였다. 그의 작품들은 한결 같이 긍정적 인물이 겉으로 드러나는 만큼 엉성해지고, 반대로 긍정적 인물이 배면에 숨을수록 짜임새가 탄탄해지는 양상을 보인다. 그것은 그가 비판적 안목에 걸 맞는 창조적인 대안 제시 능력이 부족했음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나 그만큼 당대 사회의 모순이나 자신을 포함한 지식인들의 자기모순을 날카롭게 포착한 이가 없다는 데서 그의 문학사적 의외로 찾을 수 있다.
마치며
지금까지 『탁류』를 통해 일제 식민지라는 시대적 상황에서의 민족의 삶이 어떤 형식으로 전개 되었는지, 그리고 그런 삶의 묘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채만식의 식민지 현실 인식은 단순히 상황만을 묘사했으므로 세태소설에 지나지 않다는 지적 때문에 상당부분 인정되지 않아 온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과연 단순히 세태소설로서만 바라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상당한 의문이 생긴다.
우리는 어떤 사물을 바라보고 그 사물을 최대한 개관적으로, 있는 그대로 묘사하려 해도 보는 방향이나 관점 태도에 따라서 모두 제각각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 상황에 대해서 모두 같은 해석이 나올 수 있다면, ‘묘사’라는 말 자체가 추구하는 목적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묘사에는 반드시 묘사 이상의 묘사하는 의식이 잠재해 있다. 즉, ‘묘사’ 자체도 ‘의식을 지닌 사람’이 하는 행위인 것이다. 따라서 소설 가운데서 작자의 생각은 묘사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그 받아들여진 현실은 작가에 의해서 재해석 되어, 소설로 표현될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작가는 자기 나름대로의 현실 인식을 소설의 이면에 숨겨놓고 있는 것이다. 소설을 읽는 독자들은 소설 자체를 바라보는 시각이 다양할 것이다. 그 이면에 숨겨 놓은 의미를 찾는 것이 독자의 몫으로 남겨진 부분이다.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우리는 『탁류』라는 소설 속에 담겨진 시대적인 흔적을 되짚어 보려고 했다. 의미 발견이라는 것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숨쉬는 공기처럼, 그 존재 자체를 의문 속에 포함하지 않는 대상이나 생각들을 보여주는 작가의 무관심한 듯한 태도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채만식은 당시에 보편적이었던 상황들-특히 부정적인 측면-을 묘사하면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측면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하여 아픔의 근원에 대한 근본적 의문을 던지려 했던 것으로 생각한다.
단순히 소설이 세태소설이냐 아니냐를 따지는 논의보다는 소설 속에서 나타난 상황들을 시대사적인 측면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는 작업은 그 나름의 의미를 충분히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며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참고 문헌>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문학동네, 2000
이대규 「탁류에 나타난 근대성 체험 연구」
김윤식 『채만식의 문학 세계』
신용하 『일제 강점기 한국 민족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2
허중권, 『바로보는 한국근현대사』, 학연문화사, 1998
정홍섭, 『채만식 문학과 풍자의 정신』, 역락, 2004
최택균 「해방공간 채만식의 풍자소설 연구-주체의 분열에 따른 풍자성의 약화를 중심으로」, 어문학 교육 제21집(1999년), 1225-1704
송하춘, 『채만식 : 역사적 성찰과 현실풍자』,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국어문학회,『채만식 문학연구』, 한국문화사, 1997
윤영옥, 『채만식 풍자소설의 아이러니』,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제39집))
김홍기, 『채만식 연구』, 국학자료원, 2001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1
설혜심, 『온천의 문화사』, 한길사, 2001
김윤식, 『채만식』, 문학과 지성사, 1984
신두희, 「채만식 소설의 리얼리즘(1)」
김경수, 「식민지 수탈 경제와 여성의 물화 과정-채만식의 『탁류』의 재해석」
백일우, 『교육 경제학 개론』, 학지사, 2000
*목 차
1. 작가 소개 - 채만식의 필명을 중심으로
2. 줄거리
3. 인물망
4. 『탁류』의 시대상
1). 시대적 배경(1930년대 일제의 식민지 정책을 중심으로)
2). 공간적 배경(식민지 항구, 군산)
5. ‘채만식’, ‘남승재’의 눈을 빌려보니...
6. 유씨의 교육열은, 일본의 정책적 승리?
7. 『탁류』에서 드러난 경제 행위
8. 쓴 웃음의 미학 - 『탁류』의 풍자
9. 마치며
<참고 문헌>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6.06.05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3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