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주의의 형성과 발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주의의 형성과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민족의 개념 - 민족주의의 형성과 발전
2.1 민족의 개념
2.2 민족주의와 국가 - 서구와 비서구의 차이

3. 민족주의의 접근방식
3.1 민족주의를 바라보는 세 가지 시각
3.2 기능주의적 접근방식
3.3 원형적 접근방식
3.4 내러티브(narrative)적 접근방식

4. 민족주의의 특수적 형태로의 발전
4.1 식민지 민족주의 - 저항적 민족주의
4.2 저항적 민족주의의 부정적인 측면

5. 오늘날 저항적 민족주의의 표출형태

6. 맺음말

본문내용

상황과는 다르게, 짧은 기간 동안 식민 지배를 받아왔으며 지리적인 거리도 상당히 가까우므로 그러한 감정적인 민족분쟁은 식민 지배가 끝난 지 60여년이 지난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 독도관련 영토분쟁은 대한민국과 일본의 첨예한 민족적 대립양상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케시마(竹島)로 명명할 것을 강하게 요청하고 있는 일본국민들과 과거 제국주의의 망령이 되살아나고 있다고 반박하는 우리나라의 국민들은 결코 서로 다른 처지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게시판을 비롯한 다양한 포털사이트에서는 독도관련 기사를 제공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댓글을 단 네티즌들의 대부분이 일본민족을 비하하는 용어를 써가면서 마구잡이식의 감정적인 대응을 하고 있었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미 전쟁도 불사하겠다는 식의 극단적인 대응을 하려하고 있어, 과연 일제 통치당시의 민족주의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응해도 될 것인지에 대한 국민들의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 또, 식민지 민족주의는 일제통치 후기에 이르러서 초기의 자주 독립을 외치던 근원적인 주장과는 다르게 파시즘으로 경도된 경향이 드러난다. 독립투쟁을 강조하던 민족주의자들은 일본이 제국주의 하에 천황제 가족적인 국가제도를 형성하려는 것에 반발하며, 민족적 단결을 도모했다. 특히 제 2차 세계대전 즈음에 등장한 박정희와 김일성
김일성을 사회주의자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물론 사회주의자이면서 민족주의자라고도 할 수 있다. 흔히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대립되는 인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으나, 이광수, 최린 등과 같은 민족주의자들이 친일파로 변모하는 사례를 본다면 대립하는 이념가들 간극도 실질적으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은 파시즘으로 경도된 민족주의자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파시즘으로 경도된 민족주의자들은 일본의 제국주의보다 더 큰 전쟁으로 국민들을 몰아넣었고, 결론적으로 그러한 분쟁이 표면화된 것이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식민지 민족주의는 근본적으로 단합을 통한 '민족해방'이라는 긍정적인 목적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후기로 가면 갈수록 '민족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극단적인 폭력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부정적인 면을 드러내고 있다.
5. 오늘날 저항적 민족주의의 표출형태
오늘날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자유주의의 새로운 형태인 신자유주의와 맞물려 형성되고 있다. 물론 과거의 지배국처럼 인권적 탄압이나 종속이 자행되고 있지는 않지만, 과거에 비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자본(capital)의 힘에 대항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오늘날 형성되고 있는 저항적 민족주의다. FTA와 같이 공동시장을 형성하고, 무한 자유경쟁을 유도하는 것에 반대하는 '한미FTA 저지 범국민운동본부'와 같은 단체들은 이와 같은 성격을 잘 드러내 준다. 이러한 민족주의는 식민지 민족주의와는 다르게 감성적인 면이 상당히 많이 줄어든 형태의 새로운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면서, 부당한 형태의 민족적 침탈에 반대하는 바람직한 방향의 민족주의의 표본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단순히 자기 나라의 이익을 지키려는 국수주의 보수주의라고 비난받기에는 다소 역부족하다. 이미 그 이익을 얻으려는 주체가 자본 강대국으로 한정되어있는 현실에서, 오늘날의 저항적 민족주의는 단순한 이권 지키기라기보다는 과거 식민지 시기의 저항정신을 이어가는 하나의 기제가 되어가고 있다. 더불어서 오늘날의 민족주의가 '보수 수구세력'의 이름으로 집단적으로 매도되어서는 곤란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21세기에 걸쳐 등장한 새로운 이념적 조류, 즉 신자유주의와 같은 이념의 문제점을 꼬집어내고 비판할 수 있는 '진보세력'으로 탈바꿈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6. 맺음말
흔히 민족주의자라고 하면 '보수 수구세력'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닌다. 맥아더 동상을 수호하겠다고 나서는 세력들이 스스로를 '민족의 장래를 걱정하는' 민족주의자라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그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민족주의 자체를 부정하거나 혹은 부정적인 이념으로 치부해서는 곤란하다. 분명 신자유주의의 세계화 흐름 속에서 민족주의는 과거 식민지의 저항정신을 이어받아, 그에 알맞은 충분한 역할을 수행해내고 있으며, 다른 분야에서도 '진보적'인 역할을 이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민족주의를 하나의 이념적 조류라고 파악하는 것은 파시즘만큼이나 심각하게 소수의견을 소외하는 오류를 되풀이해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민족주의를 심각하게 편향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태도는 지양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머리말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민족주의의 감성적인 면을 이해하고 동시에 최대한 이성적인 태도로 민족주의 그 자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세가 전제된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본과의 독도분쟁, 미국과의 FTA체결문제 등도 좀 더 포괄적인 민족주의의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7. 참고문헌
Hobsbawm, Eric John Ernst, 『1780년 이후의 민족과 민족주의』, 강명세 역, 1994
Kohn, Hans, The Idea of Nationalism : A Study in Its Origines and Background ,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1961.
Weber, Max, The Nation,.
Breuilly, John, Approaches to Nationalism.
Gellner, Ernest, Nations & Nationalism, Ithaca/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 (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출판,
윤형숙 역, 2002
'의병 제군에게 경고한다.' 황성신문 1907년 9월 25일자 기고문
Dong-A`s PRIME English-Korean Dictionary, 3rd Edition, 두산동아, 2002
신채호, 『독사신론(讀史新論)』, 《대한매일신보》, 1908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8.12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11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