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무신정권의 성립 및 변천과 무신정권 붕괴의 역사적 의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고려의 정치와 사회
2. 고려사회의 동요
1)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2) 무신의 난 - 그들은 왜 정변을 일으켜야 했을까?
3) 무신란의 성공과 문신들의 반무신란

Ⅱ. 본 론
1. 무신정권의 성립
1) 무신란의 발생
2) 무인간의 상쟁
2. 주도세력
1) 이의방 정권
2) 정중부 정권
3) 경대승 정권
4) 이의민 정권
3. 최씨정권의 성립과 지배기구
4. 최씨정권의 붕괴

Ⅲ. 무인정권하의 권력구조의 변천
1. 중방의 변질
2. 교정도감
3. 도방
4. 정방
5. 서방
6. 별초군

Ⅳ. 결 론- 무신정권의 붕괴와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1년에 慶尙, 全羅 두 도에서 야별초가 각각 80명씩을 올리어 도성을 수비한 것이 그것이다.
이와 같이 야별초 내지는 삼별초는 權臣들이 이를 마음대로 이용하였고 그들은 다각적으로 이용되어 고종 40년 경부터는 정부군의 활동이 거의 보이지 않고 그 대신 야별초 내지는 삼별초의 활동이 활발하여 刑政 및 軍事활동의 임무를 맡아 수행하였던 것이다. 별초군의 임무 중 가장 빛나는 것은 몽고에 대한 항전이었다. 사실상 최씨정권에 의하여 설치된 야별초 내지 삼별초는 그의 지도하에 警察·戰鬪의 임무를 충실히 이행하였으며 이것은 단순한 호위기관에 머무른 도방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 이 삼별초는 도방 및 마별초에 비교하여 보면 公兵的인 성격이 농후하다. 그들의 俸祿이 국가에서 지급되었으며 都領, 指論, 校尉 등 國家官制에 의한 指揮者가 배치되어 공적인 성격이 나타나는 데 대하여 도방, 마별초에서는 그러한 것이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보면 삼별초는 公兵的인 성격이 농후한 私兵이라고 할 수 있으며, 후로 내려오면서 공병적인 성격이 더욱 농후해져 공적 기록인 高麗史 兵志에까지 그 연혁을 밝히게 된 것 같다.
Ⅳ. 결 론- 무신정권의 붕괴와 역사적 의의
최씨정권이 몰락한 이후에도 김준과 임연 부자는 각기 교정별감이 되어 무신정치를 계속하였다. 이들도 역시 최씨집권자와 다름없이 왕권까지도 침해하는 초월적인 권력을 휘둘렀고, 문무 원로 중심의 공식적인 정부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였다.
김준이나 임연정권이 무신정권으로서의 특성을 잘 드러냈지만, 이들 정권이 최씨정권에 비하여 분명히 약체화되었음을 부정할 수는 없다. 전형적인 무신정권이라 할 수 있는 최씨정권이 집권자의 확고한 지위와 독자적인 기구의 수립·막대한 사병집단의 형성 그리고 강대한 경제력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였는데 대하여, 김중·임연은 그 모든 것이 이보다 약화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김준에서 임연으로 이어짐에 따라 더하여 갔던 것이다.
정계의 지지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김준은 각별히 군사력에 의존해서 정권을 유지하고자 했으나, 그의 무력장치로서의 사병은 최씨가의 그것에 비하여 훨씬 미약할 수밖에 없었다. 최씨가의 사병집단 중에서도 가노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家兵만을 통수하였던 김준이고 보면, 그가 집권과 동시에 최씨가의 사적 병력이나 그 밖의 군사력을 자신의 수중에 완전히 장악하기는 불가능했다. 다시 말해 김준정권의 군사적 기반 가운데 상당 부분이 다수의 무인 공신들에 의해 점유되었고, 이 점은 곧 김준에게 치명적일 수 있었다. 임연에 의해 그의 정권이 무력하게 쓰러지게 된 까닭도 여기서 찾아진다.
원종의 밀명에 의해 임유무를 제거함으로써 무신정권에 종지부를 찍게 한 장본인은 洪奎와 宋松禮였다. 홍규는 임유무의 매부 즉, 임연의 사위로 명문과의 혼인으로 정치세력을 강화하고자 했던 임연이 결국 자신의 정치적 배경이 되었던 자에 의해 몰락한 것이다.
이 시기 왕권의 신장에 따른 또 하나의 변화는 무신정권을 몰락시킨 주체가 바로 국왕이었다는 점이다. 비록 임연과의 연합이 있기는 하였으나, 김준의 주륙을 원종과 그의 측근이 직접 모의하고 실행하였다. 무신정권의 종식을 의미하는 임유무의 제거도 원종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더구나 김준정권을 유지시켰던 무인공신들조차도 임연정권기에 들어서면서, 무신집권장게서 이탈되어 국왕의 세력에 가담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이러한 현상은 김준을 몰락시킨 임연 자신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무신정권의 붕괴와 관련하여 간과할 수 없는 또 하나의 이유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이었다. 몽고세력의 간섭이 무신정권의 존속을 불가능하게 만든 것이다. 항몽정책의 주동자는 무신정권이었으므로 몽고는 무신집권자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무신정치로 무력화된 왕권은 대외적으로 몽고세력과 결합함으로써 강화되었고 대내적으로는 독자적인 무신정권의 지속을 방해하게 된 것이다. 어떻게 보면 武臣政權의 몰락 자체도 장기간에 걸친 몽고와의 항쟁에 의한 내부적 분열이라 할 수 있고, 김준의 주륙도 결국은 그의 심한 독재와 항몽태도로 원종과의 사이가 나빠진 데 원인이 있었다. 더나아가 임연정권은 그 스스로가 폐위한 원종을 몽고의 압력으로 복위시키지 않으면 안 되었던 정치적 현실에 직면하면서, 그 몰락이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무신의 쿠테타에 의해 성립한 무신정권은, 하급지배층의 불만을 전제로 성립하여 종전의 문벌귀족 중심의 체제를 타파하는 데에는 큰 의미를 가진다. 정치운영이 종전의 문신중심에서 무신중심으로 바뀌었으며, 기존의 정치기구를 이어받는 한편 새로운 필요에서 정방·교정도감·서방 등을 두었고, 또한 사병으로서 도방 등이 만들어졌다. 무신중심으로 정권이 운영되었지만, 과거제는 오히려 활발하게 운영되어지방에 토착한 신진세력들이 대거 중앙정계에 진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정권을 탈취하기 위한 경쟁에 몰두하였을 뿐 제반 사회 개혁에는 소홀히 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
《고려사절요》
익제집, 민족문화추진회, 1984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1983
南仁國, 「崔氏政權下 文臣地位의 變化」 『大丘史學』22, 1983
姜芝, 「高麗 高宗朝 科擧及第者의 政治的 性格」 『白山學報』33 1986
羅滿洙, 「高麗武人執權期의 國王과 文班」 『震檀學報』63, 1987
金塘澤, 『高麗武臣政權硏究』, 1987, 새문사
閔丙河, 『高麗武臣政權硏究』, 1990,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洪承基編, 『高麗武人政權硏究』, 1995, 서강대출판부
국사편찬위원회, 韓國史 18 - 고려무신정권, 1993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② 중세편, 1995
한영우, 다시찾는 우리역사, 경세원 1997
박기현, 손에잡히는 고려이야기, 늘푸른소나무, 2000
이기백, <<高麗兵制史硏究>>, 일조각, 1968.
김상기, <高麗武人政治機構考>, <<東方文化交流史論攷>>, 을주문화사, 1984.
민현구, <高麗後期權門世族의 成立>, <<湖南文化硏究>>6, 전남대호남문화연구소, 1974.
이우성, <高麗期의 吏에 대하여>, <<歷史學報>>23, 역사학회, 1964.
정두희, <高麗武臣執權期의 武士集團>, <<韓國學報>>8, 일조각, 1977.
  • 가격2,9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1.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