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사상을 통해 바라본 북한 사회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체사상을 통해 바라본 북한 사회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시작하며

1. 주체사상이란 무엇인가

2. 사회주의란 무엇인가

3. 주체사상은 과연 마르크스주의의 연장인가

4. 주체사상은 김일성의 창작물인가 :
주체사상과 비슷한 ‘현존 사회주의 국가’들의 이데올로기

5. 주체사상은 과연 ‘인민의 주체화’를 실현하고 있는가 :
새터민들의 증언을 통해 바라 본 주체사상

본문내용

내하도록 만들고, ‘반(反)주체화’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다음은 탈북자, 식량도둑자들의 공개처형에 대한 어느 새터민의 증언이다.
<동영상>
요약과 결론
우리는 지금까지 주요 매체와 교과서를 통해 ‘북한은 자본주의와 다른 사회주의 체제’라고 배워왔다. 하지만 정작 사회주의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배우지 않고, 북한 사회란 식량난, 저성장, 탈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 부자 세습 독재와 같은 기이한 정치 형태가 유지되는 곳으로만 한정시켜 습득했다. 이는 우리가 사회주의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면서도 <열등한 북한 사회주의, 우월한 남한 자본주의>를 등치시킴으로써 자본주의의 우수성을 확인하게 하는 일종의 장치였던 셈이다.
앞서 살펴보았듯 우리는 토론을 통해 북한의 핵심 사상인 주체사상이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적자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북한 당국의 ‘우리식 사회주의’가 정말 마르크스가 말하는 사회주의 국가의 계승인지 의심해보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주체사상이 아무리 북한 현실에 적용시킨 것이라고는 하나 사회주의 사상의 핵심 주요 원칙들이 폐기되어 있고, 국제 사회주의의 실현보다는 북한의 고립 탈피,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권력 집중을 위한 도구의 성격이 너무 짙기 때문이다.
물론 우리의 결론은 어디까지나 자유토론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것을 ‘절대 진리의 발견’인양 포장할 생각은 없다. 짧은 시간 안에 의견을 정리해야 했기 때문에 ‘사회주의 사상이 아니다. 그렇다면 무엇인가?’에 대한 부분을 토론해보지 못 했다. 토론 과정에서도 찬반 논쟁이 격렬했고, 조원 중에는 “주체사상이 사회주의가 아니라고 해 버리면 북한 역시 사회주의 체제가 아니라는 주장이 되어버린다.”고 염려한 사람도 있었다.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가 아니라 관료적 국가자본주의(변종된 자본주의) 체제라는 주장은 학계에도 존재하며, 일정정도 지지를 얻고 있다. 오히려 우리의 결론이 이러한 비교를 바탕으로 북한 사회를 깊게 연구하고, 사회주의 체제를 재조명하는 데 발전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토론 시 참고한 문헌들
- 주체사상 관련 -
강의 자료 <북한의 이해> 중 제2장
강의 노트 중 ‘주체 사상’ 부분
서재진 저 <<주체사상의 이반>>(전영사. 2006)
태백 편집부 <<주체사상의 이해>>(태백. 1989)
신일철 저 <<북한 주체사상의 형성과 쇠퇴>>(생각의 나무. 2004)
하수도 저. 한백린 옮김 <<김일성 사상 비판>>(백두. 1988)
- 마르크스주의 관련 -
마르크스 <<공산당 선언>>(박종철 출판사. 1996)
알랙스 켈리니코스 <<마르크스의 사상>>(북막스. 1995)
존 몰리뉴 <<고전 마르크스주의의 전통은 무엇인가>>(책갈피. 1998)
레닌 <<프롤레타리아 독재에 대하여>>(앎과 함. 1989)
트로츠키 <<배반당한 혁명>>(풀무질. 2001)
* 역할분담
- 보고서 작성은 다같이,
- PPT 작성 변지민 이원재,
- PPT 요약 문형빈 김지영,
- 자료수집 및 책읽기 다같이,
- 보고서 최종편집 및 발표 오현주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