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복지 개혁과 한국의 생산적 복지의 비교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국의 복지 개혁과 한국의 생산적 복지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사회복지 발달사의 세 가지 주요 원칙

III. 미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의 관점에서의 복지 개혁

IV.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의 관점에서의 생산적 복지

V. 미국의 복지 개혁과 한국의 생산적 복지의 비교 분석

VI. 결론: 한국 사회복지의 나아갈 방향

본문내용

라는 용어는 1990년대의 사회복지 관련법의 제정과 개정, 사회보험제도와 공공부조제도의 확립을 통하여 사회복지의 제도적 개념으로 발달해 오던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의 흐름을 사회복지의 잔여적 개념으로의 회귀를 위해 오용될 여지가 매우 크다.
결론적으로 1999년 이후 한국 사회복지의 대표적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는 ‘생산적 복지’라는 용어 자체의 사용을 지양하고, 이를 ‘복지국가의 완성’이라는 사회복지 용어의 사용으로 대체할 것을 제안한다. 복지국가라는 용어는 서구의 사회복지 발달사를 살펴보면, 2차 세계대전 이후 사회복지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확립되고 그에 대한 정치적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등장하여 사용되는 용어이다. 그러나, 사회복지의 책임이 국가에 있다는 복지국가의 이념이 현대 사회의 많은 국가들에게 수용되고 있지만, 각 국가에 존재하는 복지국가의 실제 모습은 각 나라의 정치적경제적 상황 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Esping-Andersen, 1990). 그러므로,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사라는 관점에서 한국 사회복지의 나아갈 방향인 복지국가의 완성을 위하여 필요한 사회복지 제도, 정책과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후속 연구와 논의들이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민기초생활보장법. 1999.
김상균김성이. 1994. 『사회과학과 사회복지』, 나남출판.
남구현. 2000. “낡은 패러다임과 새로운 수사학.” 『복지동향』, 17호: 10-14.
남기민. 2001. 『현대사회복지학의 이해』, 양서원.
남세진. 1992. 『인간과 복지』, 한울출판.
대통령비서실 삶의질향상기획단. 2000. 『새천년을 향한 생산적 복지의 길: 국민의 정부 사회정책 청사진』, 대통령비서실 삶의질향상기획단.
류진석. 1999. “세계화시대의 복지개혁: 복지국가위기 이후의 대응.”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편, 『세계의 사회복지』, 인간과 복지, pp. 11-54.
문진영. 1999a. “생산적 복지와 기초생활보장제도.” 『복지동향』, 11호: 18-21.
문진영. 1999b.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의 쟁점과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8호: 100-125.
민중서림. 2001.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박능후. 2000a. “생산적 복지: 복지이념으로서의 의의와 과제." 『2000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한국사회복지학회, pp. 33-46.
박능후. 2000b. “기초보장제도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함의.” 『보건사회연구』, 20권: 3-49.
백종만. 1999. “생산적 복지 패러다임: 우리 사회의 대안인가?.” 『복지동향』, 12호: 6- 10.
사회보장기본법. 1995.
안종범. 2000. “생산적 복지정책의 과제.” 『복지동향』, 17호: 15-19.
이선우. 1999. “미국의 사회복지: 1996년의 복지개혁-쟁점과 분석.”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사회복지연구실 편, 『세계의 사회복지』, 인간과 복지, pp. 55-95.
이장원. 2000. “생산적 복지정책의 추진방향." 『2000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발표집』, 한국사회복지학회, pp. 9-31.
장인협. 1986. 『사회복지학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정경배. 1999. “생산적 복지와 적극적 복지정책.” 『보건사회연구』, 19권: 3-61.
최민식. 1999. “국민복지의 새로운 전망과 과제: 생산적 복지를 중심으로.” 『복지동향』, 11호: 6-12.
허영구. 1999. “사회복지와 노동개혁.” 『복지동향』, 11호: 13-17.
Albert, V. 2000. "Reducing welfare benefits: Consequences for adequacy of and eligibility for benefits." Social Work. 45(4): 300-310.
Danziger, S.K., & Seefeldt, K.S. 2000. "Ending welfare through work first: Manger and client views." Families in Society. 81(6): 593-604.
DeBord, K., Canu, R.F., & Kerpelman, J. 2000. "Understanding a work-family fit for single parents moving from welfare to work." Social Work. 45(4): 313-324.
Esping-Andersen, G.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UK: Polity Press.
Friedlander, W. & Terrell, P. 1980.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5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Lens, V., & Gibelman, M. 2000. "Advocacy be not forsaken! Retrospective lessons from welfare reform." Families in Society. 81(6): 611-620.
NASW. 1974. Social Casework: Generic and specific(A Report of the Milford Conference of 1929). Washington, D.C.: NASW.
Trattner, W.I. 1989. From Poor Law to Welfare State: A history of social welfare in America(5th ed.). New York: Free Press.
Weaver, R.K., & Dickens, W.T.(Ed.). 1995. Looking Before We Leap: Social science and welfare reform.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Wilensky, H., & Lebeaux, C.N. (1958). Industrial Society & Social Welfare. New York: Free Press.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7.02.02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