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도 설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수도 설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중수란?
2.중수도의 개요
3. 중수도의 필요성
4. 수질기준
5. 중수설비의 효과

본론
1. 중수도의 이용방식
2. 중수도 공급방식
3. 하ㆍ폐수 처리방식
.
.
.

본문내용

거쳐 청소용수와 조경용수로 사용할 계획이며, 용량은 20,000㎥/일이다.
2.일본의 중수도 적용사례
70년대부터 연구가 진행된 빌딩배수 재이용은 70년대 후반에는 Pilot Plant를 건설하여 각 처리공정에 대한 처리효율 등을 파악하고 80년대부터 실용화하기 시작하였다.
70년대 후반에 최적 처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정부나 지방 공공단체들의 협력으로 오사카시내(大阮市內)와 수도권지역 등에서 여러 공정으로 Pilot Plant 실증실험을 수행하였다. 처리효율 실험 및 처리방식의 고찰, 수세식 변소에서의 위생실험, 배관에서의 부식실험을 행하였고, 이러한 실험으로 입증된 결과로 80년에는 재이용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해졌다. 일본에서 빌딩에 적용한 중수도의 사례는 1965년 10건에서 1987년 792건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Fumitoshi Kiya and Hidenori Aya, 1991), 하수처리수를 재이용하는 시범사업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수처리수를 도시의 용수로 공급하는 광역중수도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인 후쿠오까시와 동경시이다.
(1) 후쿠오까
하수처리수를 잡용수 둥으로 순환이용하는 사례로는 l979년도부터 후쿠오까시 에서 실시한 하수처리수 순환이용 모델사업을 들 수가 있다. 수자원이 부족한 후쿠오까시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을 계획함으로서 모델사업으로 정부차원에서 착수했으며 하수처리수를 수자원으로 이용하는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시도이다. 사업개요는 복리시 중부하수처리장 처리수를 중심으로 재개발 지구의 주요 수세·화장실용수로 이용하는 것인데 계획수량은 약 3,000㎥/일이나 현재는 공공시설을 대상으로 약 200㎥/일의 처리수 송수를 모델사업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1980년 6월부터 일부 물을 통수하기 시작했다.
(2) 동경
동경도내의 개별순환 및 지구순환 방식에 의한 배수 재이용시설 설치 건축물은 l992년도 말에 l96건 이라고 행정적으로 파악됐으며 이중 개별순환 방식으로 가동증인 것이 l2l건이고 지구순환 방식으로 가동중인 것이 2l개 지구 75건이다. 동경도는 이미 공업용수도의 수원으로 1964년부터 하수처리수를 활용해 왔다. 강동지구(江東地區) 공업용수도가 그것으로서 애당초 삼하도, 사정의 2계통의 처리수 일부를 재처리하여 원수로 하였다. 이것과 병행하여 수요억제로 물절약을 호소하고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 절수 기기(절수기기)의 보급에 이어 물순환 이용이 자구책으로 진행되었다. 동경도의 경우 변칙적이기는 하지만 관계성청의 승인하에 도영공업용수도의 잉여수 활용과 가까운 장래에 실현될 전용 잡용수도의 이른바 선구적인 시행이란 의미도 갖고 있으며 1973년도 이래 공업용수도 급수지역에 있어서 일반 빌딩 및 공동주택의 잡용수 이용을 추진해 왔다. 지역 ,계통별 실시상황은 강동지구 공업용수도(황천, 묵전, 강동, 강호천, 태동 각구와 족립구의 일부)에서 60개소 6개 단지, 잡용수 이용수량 14,505㎥/일이다.
3. 미국의 중수도 적용사례
미국은 이미 1926년부터 하수처리수 재이용을 시작하였다. 대부분 용수확보가 곤란한 아리조나 및 택사스주와 같은 남부 및 남서부 지역에서 실시되었으나, 플로리다주 및 남부 캐롤라이나주와 같은 습윤지역에서도 수질오염 방지를 목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미국의 재이용에 있어서 특징은 보건위생상 처리수를 주로 관개용이나 공원과 골프장의 살수용수와 같은 비음용수로 이용하여 왔으나, 덴버와 같은 용수원의 확보가 어려운 일부지역에서는 음용수로도 재이용하는 계획을 수립하여 1984년에 Demo plant가 운영되어 성능 및 안정성이 검토되었다(U.S. EPA, 1992).
미국에서 도시용수로서 재이용을 처음 실시한 도시는 플로리다주의 피터스버그시이다. 1977년 탬퍼만으로의 하수처리수 배출을 중단하거나 하수처리수를 고도화할 필요성에 의해 zero- discharge 정책을 세워 1978년부터 중수설비를 보급하기 시작하였다(EPA, 1992).
(1) Denver Potable Water Reuse Demonstration Project : Denver, Colorado
음용수로 직접 재이용수를 이용하는 방법(Pipe to Pipe Water Reclamation)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프리카 Namibia의 Windhoek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미국에서는 Colorado의 Denver, Florida의 Tampa, Californra의 San Diago에서 직접 음용수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특히 Denver에서는 약 20년 이상 연구를 지속하고 있으며 약 10년동안 각각 다른 공정에 대한 비교 연구를 행하고 있다. Denver의 재이용수를 직접 음용수로 이용하는 공정은 많은 고도처리가 이용되는데 마지막 유출수는 RO공정이나 UF공정을 거쳐 수질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확인하고 있다. 유출수의 수질은 아주 깨끗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 실제로 이용하지 못하는 것은 시민들이 반감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하천이나 기타 공공수역을 거쳐야만 정화가 이루어진다는 고정관념 속에서 이를 인식하기 때문이다.
(2) Water Factory 21 Direct Injection Project : Orange County, California
재이용수를 지하수로 재부하하여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대수층을 해수의 침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캘리포니아의 Orange County에 Water Factory 21이 건설되었다. 1965년 Pilot Scale의 실협을 거쳐 1972년 3차처리를 시작하고 1976년부터 지하수로의 부하를 시작하였다. Water Factory 21의 유출수는 고도의 수질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8년 재이용수 시료 179개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고, 1975년부터 1982년까지 계속된 바이러스 검출실험에서도 측정가능한 범위내에서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1988년 1년동안 평균 탁도가 0.22FTU로서 1.0FTU를 넘지 않았다.
※ 참고문헌
1) 인터넷검색(네이버, 다음, 구글)
2) 급배수위생설비<김재수 저>
3) 수질환경 공학요론<장준영 저>
4) 수질관리 <유명진 외7명>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07.03.2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