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파동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김치파동사건의 개요

3. 김치의 납 안전성 논란

4. 김치의 기생충 알 논란

5. 김치파동의 여파

6. 정부의 식품안전성 대책

7. 김치파동이 농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8. 결론

본문내용

강화 정부는 앞으로 관계 법령을 개정, 국민 건강을 위협하는 각종 위해식품 생산업자에 대한 처벌을 크게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솜방망이 처벌이 식품사고를 되풀이하게 만드는 주요한 원인이라는 판단에서다. 실제 지난 해 6월에 있었던 불량만두 파동을 짚어보면, 13개 만두업체에 대해 관할 지자체가 시정명령, 행정지도 등의 가벼운 행정처분을 내리는 것으로 마무리 됐다. 이번 기생충 김치와 관련해서도 엄중한 행정 처분이 힘들게 됐다. 현행 식품위생법은 기생충을 '이물'로 규정하고 있으며, 식품에 이물을 섞은 업체에 대해서는 시정명령만 내릴 수 있게 돼 있다. 정부는 앞으로 3번 단속되는 식품안전사범의 경우 업계에서 완전 퇴출시키는 3진 아웃제를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7. 김치파동이 농업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치라는 우리 식탁의 가장 기본적인 식품의 위생. 즉 안전성에 문제가 되면서 관련되는 것들은 모두 반사이익을 얻었다. 이번 파동의 경우 중국산 김치의 문제에서 시작되면서 우리 농산물이 반사이익을 얻은 것이다. 중국산 파, 마늘, 배추, 고춧가루 등 김치를 만들 때 쓰이는 관련재료와 김치를 보관하는 냉장고, 식기 심지어 일시적이지만 배추 값 급등 현상까지 보였다.
최근 중국산 수입농산물 및 관련식품에 대한 문제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납을 넣은 게, 말라카이트라는 유해성분이 들어있는 장어에 이어 이번 김치사건까지 지속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면서 중국에 대한 식품에 강한 불신감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 불신들은 자연스럽게 우리 신토불이 식품에 대해서 대중으로 하여금 다시 생각해보는 기회를 주면서 농업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반대의 상황이 나올 것이다. 얼마 전 우리나라 송어에서도 말라카이트가 검출되었다는 보도에 송어횟집의 손님이 많이 줄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만약 사건이 시작이 우리나라였다면 사람들의 반응과 행동은 다를 것이다. 김치의 대체식품을 찾으려 할 것이고 우리나라 식품에 강한 불신감과 다른 농산물에 대한 우려감을 나타내면서 우리 농산물을 외면할 것이다. 만두소파문 사건처럼 그 식품에 대한 소비가 급감할 가능성이 높다.
8. 결론
우리는 음식을 먹지 않고 살 수 없는 존재다. 음식은 곧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식품의 안정성은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유발한다. 조류독감 파동시 지방업체 닭고기와 관련된 사업을 하는 하림의 매출은 급감을 보인 반면 다른 대체식품으로 두각된 어류와 돼지고기, 소고기의 매출이 증가했다. 이번 김치파동에서도 상황은 유사하다. 중국산 김치파동으로 시작된 것은 중국식품의 강한 불신감으로 이어져 중국산 대신 우리나라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오게 되어 우리나라 식품이 중국산보다 비교적 안전하다는 인식이 대두되었다.
중국산을 이용했던 소비자들은 마늘, 고춧가루, 깨 같은 다른 농산물 및 식품에서도 의심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수입농산물에 우리나라 농민의 시름이 많다. 하지만 이런 식품안전성 사건을 접할수록 우리나라 농업이 가야할 길이 무엇인지 시사해 주는 것 같다.

키워드

김치,   김치파동,   기생충,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4.08
  • 저작시기199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3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