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차이를 밝히고, 기능 문법론적 시각에서 설명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단형 부정문 중에는 의미가 특수화되어 관용적인 의미를 갖는 예들이 있는데 그런 경우 ‘되다’ 만이 예외적이고 나머지는 장형 부정문으로 대치되지 못한다.
18) {못된, 되지 못한} 녀석.
19) 참 {못난, *나지 못한} 녀석이군.
반대로 다음과 같은 관용어는 장형 부정문만 허용한다.
20) 엎친 데 덮친 형편이라 {*못 죽어, 죽지 못해} 산다.
20)과 같은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두 가지 이상 있을 때 장형보다 단형의 의미가 더 직접적이며, 특수화되어 관용어화 하는 빈도도 높다.
<참고문헌>
이관규,(1999), 학교문법론, 월인
고영근, 남기심(2004),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이창용(1990), “국어 부정문 연구”, 세종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7.04.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