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설날과 추석
설날의 유래/추석의 유래

3.제사와 차례
제사의 발생 / 제사의 종류

4.현대사회의 제사
제사의 기능과 의미 / 변화된 제사의 모습

본문내용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도 느꼈다. 제사에 대한 나의 그 전 생각은 관습적·습관적으로 치루어 왔기 때문에 참여하더라도 제사에 대한 무관심이 지배적이였다. 실제로 명절에 차례를 지내면서도 내가 누구에게 절을 하고 어떤 때는 모두가 절을 하고 또 어떤 때는 왜 한 사람만 절을 하는지, 그리고 절을 할 때마다 젓가락을 어느 음식에 놓아야 하는지 그것도 알 수 없다. 시간이 지나면 내가 주도하여 제사를 지내야 되는 상황이 반드시 올 것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상 차리는 법부터 시작해서 지방 쓰는 것, 그리고 제례에 따라서 제사를 지내는 방식 등은 간소해졌지만 어려웠고 부담으로 느껴졌다. 제사의 현주소는 옛 조상들의 제사에 대한 의미와 방법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의무감만 남아 있고 이 때문에 제사를 지내는 경우 제례에 관해서 써 놓은 책을 펴놓고 그곳에 쓰여져 있는 대로 지방을 쓰고 상을 차리고 절을 한다. 그나마 집안에 그것에 대해서 잘 아시는 어른이라도 계시면 그냥 시키는 대로 하면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이게 맞는지 저게 맞는지 고개를 갸웃갸웃 하면서 억지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제사에 대해 여태껏 방관하고 있던 자세는 옳지 못한 자세이며 고쳐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사가 무엇인지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이렇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습관적으로 치루어 왔던 것은 부끄러운 일인 것이다. 명절이 되면 민족 대이동이라 하여 전국적 규모에서의 소동이 일어난다. 이런 소동은 조상에 대한 제사와 관련이 있다. 이렇게 우리 민족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제사는 한국 사람으로서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면 좀 더 옛 조상들의 제사에 대한 의미와 방법을 공부하여 훌륭히 제사를 치르고 그 정신적 의미를 되새기는 것이 필요 할 것이다. 제사는 예전과 같이 그 형식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이는 가정환경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 종교나 형편에 맞게 변해 왔으며 우리의 제사는 여기에 맞추어 예를 갖추어 행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에는 조상을 공경하고 효를 숭상하는 정신을 기르고 오늘날의 핵가족의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는 가족간의 우애와 화목을 중시 할 수 있는 명절이 되고 차례가 될 수 있다는 상기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사의 뜻을 현실에 맞게 실천하여 현대사회에서의 제사의 참의미를 되새겨야 될 것이다.
◈ 참 고 자 료
○ 김무학, 1981 <한국세시풍속기> 동호서관
○ 김용덕, 1994 <한국의 풍속사Ⅰ> 밀암
○ 박계홍, 1998 <우리민속의 맥락과 현실 인식> 민속원
○ http://www.sky1004.ro/html/information/ritual_data_03.html - (주) 스카이 천사
○ http://www.nfm.go.kr/folk/f0_bri.jsp - 국립민속박물관
○ http://myhome.shinbiro.com/~guswodud/sul.htm - 우리네 명절이야기
○ http://blog.naver.com/jjkkhh2232?Redirect=Log&logNo=50004388949 -〔걸림돌1〕
제사문제-김만풍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1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02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