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가족제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의 가족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혼인제도와 가족유형
1) 조선 초기의 혼인제도
가. 동성혼
나. 일부다처제도
다. 혼인 거주규칙
라. 부녀자의 재혼
2) 조선 초기의 가족유형

2. 상속제와 양자제도
1)조선 초기의 상속제
가. 조상전래의 재산에 대한 의식
나.《분재기(分財記)》에 나타난 자녀의 호칭
다. 노비의 상속
라. 토지의 상속
마. 제사의 상속
2) 조선 초기의 양자제도

3. 장례와 제사
1) 법제로서의 상·제
2) 조선 초기 상·제의 실제
3) 5복제의 변화

4. 족보

5. 종법제도와 친족
1) 조선 초기의 종법제도
2) 조선 초기의 친족구성

본문내용

일반화되고 있었다.
셋째. 혼인 거주규칙의 측면에서 보아 조선 초기에는 고려시대와 같이 장기간에 걸친「서류부가」의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서류부가의 형태는 사위(딸)와 외손을 친손이나 아들에 못지않게 중요한 친족원으로 인식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넷째. 장기간에 걸친 서류부가는 장인과 장모·기혼여식부부와 그들의 자녀로 구성되는「양변적 방계가족」을 조선초기의 이상적 가족유형으로 간주하게끔 하였다.
다섯째. 장기간의 서류부가는 자신의 노후를 봉양하는 사위와 외손의 아들이나 친손과 차별하지 않고 재산을 균분상속하게 함은 물론 아들이 없더라도 딸이나 외손이 있으면 양자를 들이지 않고 그 딸이나 외손에게 자신의 봉사를 의탁하게 하였다.
여섯째. 조선 초기에는 국가 권력의 강력한 규제속에도 고려시대로부터 계속 이어져 온 화장과 승재와 같은 불교식 제사가 상당한 정도로 잔존하였으며, 자녀간의 균분상속에 대응하여 부모의 제사를 딸과 아들이 분할하거나 윤회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었다.
일곱째. 조선 초기의 족보는 후기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부계의 친족원들만을 기록하는「씨족보」의 성격이 아니라 친손과 마찬가지로 외손·외손의 외손·외손의 외손의 외손등도 무한정 기록하는「자손보」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여덟째. 족보에서의 자녀 기재의 순서도 남계혈족을 존중하는「선남후녀」의 방식이 아닌 인륜의 질서를 강조하는 기재방법을 취하고 있었다.
이상의 여러측면에세 가족제도의 특성을 종합해 볼 때 조선 초기 사회에는 종법질서가 수용되고 동성자인 부계친족만의 조직이 존재할 수 있는 사회적 기반이 결여되고 있었다고 하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10.16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3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