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자원의 특화, 체계화를 위한 계획론적 접근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광자원의 특화, 체계화를 위한 계획론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및 조사방법
1. 연구대상지
2. 연구 및 조사방법

Ⅲ. 조사결과
1. 관광지의 이용목적과 동행형태
2. 관광지의 이용행태
3. 관광지에서의 체류 및 소비형태

Ⅳ. 관광지 개발잠재력에 대한 검토
1. 관광지 특화, 체계화에 대한 개발잠재력
2. 경기도 관광지 개발에 대한 시사점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관광이벤트의 유치와, 휴식 및 경관을 위한 쉴거리의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어촌관광에 있어서는 어촌이 연속해 있는 경우에는 방문자가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각 포구를 순회하는 이용형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박구원ㆍ이수옥, 2000), 각 어촌을 단위로 한 코스개발도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3) 휴양온천관광지
휴양온천자원은 휴식경관감상의 이용자가 많고 숙박이용객이 많아 체재관광을 유도하는데 유효한 자원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1회 이용 후 관광객의 재방문율은 급속히 떨어지고 있고, 경쟁대상지가 있을 경우 이용객이 급속히 격감하는 경향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지역특산물 판매시설과 라이드(ride) 시설과 같은 위락시설 등을 보완하여 재방문율을 제고시키도록 하여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온천휴양지의 경우에는 파주시의 예에서 보듯이 기본적으로 이용객 100만명을 육박하는 대단한 집객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용객이 또 다른 주변 관광지를 이용해 서로의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주요 관광자원과의 연계화를 추구해 갈 필요가 있다.
4) 농촌체험관광지
관광농원과 같은 농촌체험관광지는 숙박관광객의 비중이 높지만, 재방문율이 낮고, 다른 관광지와의 복수이용 비중이 높아 관광거점으로 활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다. 도ㆍ농간 교류프로그램의 개발과 체험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을 통해 농촌관광의 매력도를 증진시키는 한편, 다른 관광자원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5) 역사문화관광지
역사문화관광자원은 다양한 경험과 학습효과를 추구하고 이용층도 다양하지만, 한번 방문이후 이용률은 급속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다른 자원간의 복수이용이 많고 다양한 코스개발에 대한 수요가 크다(경기개발연구원, 2001). 그러나, 이용객의 소비행태가 크고, 문화시설의 올바른 정비 및 문화관광자원과 삼림자원과의 조화 여하에 따라서는 거점적 역할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주변 경관자원과 일치되는 적극적인 자연환경 개발과 흥미로운 소재의 발굴 등을 통해 관광거점으로 개발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및 시사점
관광지 개발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지고 관광지의 차별화, 체계화가 요구되면서, 기존의 마케팅론적인 접근에 더해 소비자 중심의 물적인 개발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 본 고는 관광지개발의 물리적인 개발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경기도 주요 관광지의 유형별 이용특성을 토대로 관광자원의 특화 및 체계화에 대한 개발 잠재력을 검토한 것에 있다.
연구결과, 관광지의 관광목적과 동행행태는 자연관광자원과, 인문관광자원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자연-인문 관광자원의 영역이 관광활동을 특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관광지의 특화를 위해서는 이러한 자원유형에 따라 개발테마를 설정하고 그에 필요한 시설 및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개발/도입해 가는 개발형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생태자원과 산악수변자원과 같은 자연관광자원은 재방문율이 높고 목적형 관광비율이 높아 관광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되는 반면, 농촌체험자원과 역사문화자원과 같은 인문관광자원은 재방문율과 여행대상지로서의 목적비중이 낮아 개발거점으로서의 잠재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관광지 개발에 있어서는 거점잠재력이 높은 자연관광자원을 거점지역으로 활용해 테마화하고, 거점잠재력이 낮은 관광자원은 기본적으로 다른 관광자원과의 네트워크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관광지를 다른관광지와 복수로 이용하는 경유형관광에서는, 온천/휴양림, 도시공원ㆍ유원지, 미술관ㆍ박물관 등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자원이 네트워크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체계화 전략에서는 이들을 적극 활용하는 형태의 체계구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 고 문 헌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관광종합개발계획. 2001.
경기도. 경기도 어촌관광 종합개발 계획수립. 경기개발연구원 2001.
김규호. 문화자원을 이용한 지역관광개발. 관광학연구 특별호 제22권 제2호. 1998.
김계섭. 관광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여가레크레이션연구 제5권. 1988.
김사영. 농어촌지역의 관광자원개발 특화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관광연구 제9권. 1997
김병문. 지역개발로서 관광개발 특성화에 관한 연구-강원도의 경우-. 지리학 연구 제9권. 1984
김흥식ㆍ박구원. 문화관광자원을 이용한 관광지 개발에 관한 연구. 2002년도 관광개발학회논문집 제51회. 2002
문화관광부. 제2차 관광개발기본계획. 2001
주영환). 관광매력 체계에 관한 연구. 관광개발논총 제1권. 1992.
박구원ㆍ이수옥. 경기도 어촌관광의 개발방향. 경기논단 제2권 제4호. 2000.
박석희. 관광루트 있는 재래시장의 관광자원화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4권 제1호. 2000
이미혜. 관광개발론. 대왕사. 1997.
정기성. 원주권 리조트의 개발특성과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연구 제3권 제1호. 2001.
최승담ㆍ조광익. 지역관광개발과 거점개발전략. 관광개발논총 제6권 제1호. 1997.
홍성권. 농촌지역 관광지 개발에 있어 관광권 설정에 관한 연구. 조경학회지 제18권 제1호. 1990.
홍창식. 문화관광 상품화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정책학 제3권 제1호. 1997
파주시. 파주시 관광종합개발계획. 경기개발연구원. 2001.
溝尾良降. 觀光地の類型區分の必要性(內閣總理大臣官房審議室編『望ましい國內觀光の實現のために』) 1982.
鹽田正志ㆍ長谷政弘 編著. 觀光學. 同文館出版株式會社. 1994.
林業經營硏究所. 都市林. 農林出版株式會社. 1972.
Gunn, Clare. Tourism Planning. New York; Crane & Russel Company. 1979.
Lew Alan. A framework of tourist attraction research,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4. 1987.
Smith, S.. Recreation Geography, London: Gongman. 1983.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6.26
  • 저작시기20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2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