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차문화 A+ 완벽정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차의 정의 및 효능

2. 차의 역사
(1) 차의 발견
(2) 차의 어원
(3) 우리나라 차 문화의 역사

3. 중국에서의 차의 발견과 기원

4. 차 마시기의 공정

5. 차나무의 재배환경
(1) 입지조건
(2) 토양
(3) 기온
(4) 강우량
(5) 일조(日照)량
(6) 번식법

6. 차의 종류
(1) 발효 정도에 따른 분류
(2) 제조방법에 따른 분류
(3) 찻잎 채취시기와 품질에 의한 분류
(4) 색상에 따른 분류
(5) 차의 이름

7. 당나라의 차문화
(1) 공다
(2) 세다
(3) 각다
(4) 다상(茶商)
(5) 비전(飛錢)

8. 송대의 차문화
(1) 차 만드는 과정과 마시는 법
(2) 송대 차의 생산지와 연간 생산량
(3) 송대의 다법
(4) 송대의 다상군
(5) 송대에 지어진 차와 관련된 문헌
(6) 차와 도자기

9. 송대에서 청대까지의 다마무역(차와 말의 물물교환)

10. 맺음말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된 장식이 훌륭한 조화를 이루는 중국도자기 고유의 성격에 끼친 청화백자의 영향이 대단했다. 그 영향은 고상한 취향을 지닌 사람들에게는 잠시동안 참을 수 없이 저속한 것이었고, 탐탁치않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채색문양에 대해 오랫동안 거부할 수가 없었다. 이와 같이 14세기 말경 청화백자는 중국도자기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었고, 특히 후기 단계에는 기형이 훨씬 덜 세련된 몇몇 예들이 제작되었다.
9. 송대에서 청대까지의 다마무역
중국의 서북방에 있는 몽고, 티벳, 중앙아시아 등의 사막지대에 사는 사람들은 유목생활을 하여 수육, 산양젖과 같은 지방질만 먹고 신선한 야채를 못 먹기에 비타민C 결핍으로 인한 괴혈병에 걸리기 쉽다. 그러므로 유목민들에게 있어서 차는 생존음료가 되었던 것이다.
바스코 다가마가 아프리카 남단을 우회한 첫 번째의 인도 탐험항해를 하였을 때 신선한 야채를 먹지 못하여 승무원의 절반 이상이 괴혈병으로 죽었다. 또 노일전쟁 때 만주의 여순에서 양군의 결전장이 되었던 203고지의 러시아군은 야채와 차의 보급이 끊어져 스텟셀장군을 비롯한 많은 장병들이 괴혈병을 앓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건조 야채의 구실을 하는 신선한 녹차는 지방의 용해제로서 괴혈병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중국이 서북방의 오랑캐인 몽고나 티벳민족에게 차를 주지 않으면 그들은 생존음료인 차를 얻기 위하여 중국에 침입한다. 그리하여 중국의 차와 오랑캐의 말을 서로 바꾸는 다마무역은 당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다마무역은 후세에도 중국의 중요한 국방 정책이 되었던 것이다. 왜냐하면 차를 생존음료로 삼는 서북방의 오랑캐를 복종시키느냐 배신시키느냐 하는 것은 오로지 차의 공급 여하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그 후 중국과 변방과의 다마교환은 송나라 신종의 희녕 7년(1074)부터 청나라 성조의 강희 44년(1705)까지 계속되었다. 이러한 다마무역은 유무상통으로 공존공영에 의한 화이협화(華夷協和)를 도모하는 제도였다. 당나라 이전에는 주로 중국의 비단과 오랑캐의 말이 교역되었으나, 송나라 때부터는 다마무역이 성행되었다. 송나라의 초기에 차의 수출은 민간에서 자유롭게 하였으나, 신종의 희령 7년에 차의 수출을 정부에서 독점하게 되자, 오랑캐와의 다마무역을 맡아보는 관청인 다마사(茶馬司)를 섬서성의 진주, 봉주, 연하에 두게 되었다. 그런데 희령 7년에는 은, 비단, 도첩으로 오랑캐의 말을 수입하였으나, 원풍6년부터는 차로써 바꾸었다.
처음에는 촉지방의 하등차인 거칠은 차를 수출하였으나, 남송 효종의 건도 말년에는 상등차인 고운 차를 수출하였다. 이처럼 차의 등급을 바꾼 송나라의 수출정책은 다마무역에 있어서 손실을 초래하였다. 왜냐하면 고운 차의 맛을 본 오랑캐들이 거친 차를 천대하므로 차값은 떨어지는 반면 말값은 올랐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초기에 상등 말 한 필이라면 차 한 바리로써 수입할 수가 있었던 것이 효종의 순희 4년에는 말값이 10배로 뛰어 네 자(尺) 네 치(寸)의 하등 말이 차 열 바리의 값에 이르렀다. 더욱이 상등 말의 경우는 은이나 비단을 주지 않고서는 수입할 수가 없게 되었다. 말의 수입량은 남송 고종의 건염 2년에 2만 필에 이르렀으나, 효종의 건도 초년에는 9천 필로 줄고, 순희 초년에는 12,994필을 목표로 하였으나 실제 수입량은 미달하였다. 이러한 다마무역은 대개 17세기 이래로 서양과도 이루어졌는데 특히 영국의 금, 은, 시계 등은 차, 도자기, 비단에 대한 중국측의 편무역 댓가로 중국에 흘러 들어갔다. 당시 영국은 이러한 무역역조현상을 시정하기 위하여 인도산의 아편을 중국에 밀매하였다. 이 때문에 중국에 들어가는 은의 수량은 줄어들고 거꾸로 중국의 은이 대량으로 유출되었다. 결국 차의 수출댓가로 아편이 수입되자 아편의 해독과 은 보유량의 격감으로 중국의 사회경제는 흔들리게 되었다.
나는 이 부분에 대해 중고등학교 때에도 접해 보았지만 내용에 마주칠 때마다 영국인들의 얄팍한 이기심에 분개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당시 그들이 취한 행동은 인간이면 본연적으로 가진 휴머니즘의 정신을 전혀 무시한 지독하기 그지없는 짓이었다. 중국인들은 단순히 물물교환의 목적으로 인간에게 이로운 식품인 「차」를 팔았는데 영국은 --물론 무역의 적자, 역부족현상이 생긴다는 것을 둘째 치더라도-- 이에 부응하는 물품을 다루기는커녕 인간을 파멸의 구렁텅이로 몰아넣는 아편을 이용해 중국인을 꼼짝 못하게 만드는 것인가? 이와 비교해보면 송대의 다마무역은 변방의 사박지대 사람들과 이루어졌지만 서로 상호간에 해를 끼치지 않는 아니 오히려 쌍방간에 존립을 존중해주는 동시에 자국의 이익을 취하여 그야말로 순수한 무역의 동기에서 발로했다고 생각한다.
10. 맺음말
지금까지 당대와 송대 등 중국의 여러 문화들 중에서 차문화를 주제로 하여 미흡하나마 그와 관련된 몇몇 다른 현상들도 다루어보았다. 이번 기회를 통해서 『차』라는 것이 단순한 기호품이라는 생각을 벗어나 그것이 그 당대의 사회나 문화에 녹아들어서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나 하는 것을 한 번 더 생각해보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한잔의 차」가 만들어지기까지의 복잡하고 까다로운 절차, 「차」에 관한 여러가지 새롭고 신비한 사실들 또한 알게 되어서 이런 기회를 마련해 주신 담당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는 바이다. 한잔의 차; 그 은은한 빛깔을 우리의 마음에 담아 일상생활을 밝게 가꾸어 보자. 차나무는 사철 푸르다. 그 싱싱함을 우리의 마음에 심어 그렇게 푸르고 싱싱하게 키워보자. 오늘날과 같이 살아가는 데 어려움이 많은 시대일수록 마음 자리 하나 깨끗이 챙겨야 할 것 같다. 흔들리는 마음, 안타까운 마음, 불안스런 마음, 방황하는 마음을 쉬는 청량제로서 한잔의 차를 마셔보자. 우리 모두에게 멋진 생활의 활력소가 될 것임을 확신한다.
11. 참고자료
박명희 『東茶正統考』 호영출판사
김명배 『中國의 茶道』 명문당
마가렛 메들리 『中國陶磁史』 삼성인쇄
김명배 『다도학』 학문사
석성우 『茶道』 백양출판사
육우 『다경』 태평양박물관
김봉호 『生活茶藝』 태평양박물관
김성근외2명 『世界의 歷史』 세기출판사
이기윤 『다도』 대원사-빛깔있는 책들
  • 가격1,4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02.0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