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과 화학공학이 접목된 연구분야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공학과 화학공학이 접목된 연구분야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BT란 무엇인가?

▣ BT란 무엇인가?

▶ 나노기술

▶ 생명기술

▶ 정보기술

▶ 에너지/환경기술

▶ 융합기술

(1) 의약과 보건

(2) 환경정화 (환경오염 저감)

(3) 식량(현재 GMO로 지칭되는 것들)

본문내용

nisms)에 해를 끼치는 것으로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미생물농약도 감시할 필요가 있다.
b) 식물농약(Plant pesticides): 여기서 말하는 식물농약은 식물체서 기원한 농약과는 다른 개념의 농약이다. 유전자를 변형한 식물 그 자체가 농약이란 의미에서 식물 농약이란 명칭을 붙인 것 같다. 식물농약은 식물에 이식한 유전물질로부터 식물 체가 생산하는, 농약 기능이 있는 물질을 일컫는다. 예를 들어, Bt 단백질을 생산 하는 유전자를 취해 그 유전자를 식물체의 유전물질에 도입하게 되면, 식물체는 Bt 세균을 대신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미국의 EPA는 식물 그 자체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Bt 단백질과 그 유전물질을 관리하고 있다.
c) 생화학농약(Biochemical pesticides): 생화학농약은 비독성 메커니즘(non-toxic mechanisms)으로 병해충과 잡초를 방제하는 천연물질을 말한다. 반면에 전통적인 농약은 대개 병해충과 잡초를 죽이거나 억제하는 합성물질이다. 식물생장조절물질과 같이 식물의 생장과 씨받이를 방해하는 물질도, 또한 페로몬(pheromones)과 같이 곤충을 유인하거나 기피하게 하는 물질도 모두 생화학농약에 속한다. 그러나 실제로 천연물질이 비독성 메커니즘으로 다른 생물을 방제하는지를 판가름하는 것은 쉽지 않다.
(3) 식량(현재 GMO로 지칭되는 것들)
① 유전자 변형 농산물(그림 3)
그림 3) 식물형질전환 방법
② 유전자 이식 축산물(그림 4)
그림 4) 형질전환돼지 생산 및 활용
【조사를 마치며...】
생물의 기능을 이용하는 Bio기술에 있어서 우리는 현재 생물의 기능을 어디까지 알고 있는 것일까? 미지의 생명현상, 생물의 가능의 지식은 우리가 지금 알고 있는 지식에 비하여 너무도 엄청나게 많고 심오하다는 것을 연구자들은 크게 깨닫고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과학사적으로 볼 때에 18세기에 물리학의 발전에 자극을 받아 영국에서는 산업혁명이 일어났으며, 19세기말에는 화학이 대발전하여 근대적인 화학공업이 일어나게 되었고, 20세기 중엽인 1950년경부터는 분자생물학이 대두하여 급격히 발전하였다. 따라서 분자생물학이 생명현상을 해명하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등과 함께 대 발전을 하면 거기에 촉발되어서 새로운 Bio산업도 크게 발전하리라는 것은 당연한 일로 예측이 되었었다. 이미 1970년대에 대두된 두 가지 새로운 Bio기술, 즉 새로운 생물종의 창조를 목적으로 하는 유전자공학과 효소의 고도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효소공학은 세계의 주목을 집중시키기에 족했다. 이 두 Bio기술의 최근 20여년의 발전은 산업계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기초적, 학문적 분야뿐만 아니라 선업혁신기술로서 의 약, 농업(식량), 화학공업, 환경 등에 있어서의 Bio기술의 응용은 일상생활의 모든 개념을 변혁하고 있고 그 변혁의 속도는 증가하고 있다.
한 작물에서 두 가지 이상의 종류가 열리게 하는 기술은 성공적으로 실행되었고, 유전자 변형으로 통해 몸에 유익한 것을 만드는 식물도 연구 중이다. 암 예방하는 식물, 단백질을 많이 만드는 식물, 오일을 만드는 식물 등 이렇게 말이다.
생명 공학 연구자들은 불치병의 정복이 식물에게 있다고 한다. 그래서 여러 사람들이 식물 연구에 몰입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식물 유전자 변형이 성공하면 주문형 맞춤 치료제도 가능하다. 지금은 먹거리나 제약에 큰 공헌을 하고 있지만 곧 먹거리, 원료, 에너지, 제약, 화학, 농업 등 이 경계들이 다 화공생명공학의 이름 아래 다 뭉칠 날이 올 것이다. 그렇게 되면 화공생명공학은 어마어마한 큰 시장과 경제력을 갖추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화공생명공학에 많은 관심을 기울려야 할 것이다.
지금 우리는 화공생명공학에 의하여 물질적으로도 정신적으로도 큰 변화의 시대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를 겸허하게 받아들여 화공생명공학에 대한 많은 측면에서 근본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과학자나 비 과학자 모두에게 똑같이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난 나노생명화학공학과 학생으로서 이런 큰 꿈을 안겨주는 화학생명공학이 앞으로 우리 삶에 커다란 변화를 줄 것이라 믿는다.
◈참고 문헌
▶ 생물화학공학 - 저자: 장호남. 아카데미서적 2001. 8
▶ 비즈니스 생태학 - 저자: 정준형. 에코리브르 2004. 9
▶ 종합미생물학 - 저자: 미생물면역분과위원회. 신일북스 2008. 3
▶ 유전자변형작물 - 저자: 강원대학교 농촌개발연구소. 진솔 2003.7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5.18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52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