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청소년 가족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목 차
서 론

본 론
1. 비행청소년 가족의 개념과 특성
1) 비행청소년 가족의 개념
2) 비행청소년 가족의 특성
2. 비행청소년 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
1) 비행청소년의 현황
2) 청소년비행관련 시설 및 프로그램
3. 비행청소년 가족에 대한 서비스 대책
1) 실천적 대안
2) 제도와 정책적 대안

결론
(참고자료) 소년수용자의 가족관계와 가족접촉에 대한
조사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규율과 징벌
2
1.3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것
9
5.8
기타
7
4.5

156
100.0
<표 6> 가장 그리운 대상
빈도
%
부모
115
74.2
형제
6
3.9
조부모나 친척
7
4.5
친구선후배
14
9.0
이성친구
13
8.4

155
100.0
<표 7> 가족접견 빈도
빈도
%
매우 자주
11
6.8
자주 오는 편
82
50.9
거의 안온다
45
28.0
전혀 안온다
23
14.3

161
100.0
2) 가족접촉
소년수용자들은 그들의 급수에 따라 접견과 전화통화 횟수를 제한받는다. 따라서 그들의 가족접촉과 유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한달간 빈도수로 질문하는 것을 적합하지 않다. 오히려 가족과의 접촉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이 가족접촉 정도의 파악에 더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표 7>는 가족이 얼마나 자주 자신을 접견하러 오는 지를 물어본 결과이다. 매우 자주 온다고 응답한 비율은 6.8%로 높지 않으나, 자주 오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1%에 이른다. 거의 오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28%, 전혀 오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14%정도이다.
가족들이 접견을 오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표 8>에 나타난 접견저해 요인을 보면 응답자의 41%가 부모의 생업 때문에 접견을 자주 오지 못한다고 응답했으며, 그 다음이 교도소가 너무 멀어서 자주 오지 못한다는 대답으로 35%를 차지하고 있다. 나에게 관심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비율은 약 8%에 머물고 있다. 내 소재를 모르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약 7%였다. 또 내가 오지 말라고 해서 자주 안온다는 응답이 약 10%로 나타났다.
<표 8> 접견저해 요인
빈도
%
교도소가 너무 멀어서
36
34.6
부모의 생업때문에
43
41.3
나에게 관심이 없어서
8
7.7
내 소재를 모르기때문에
7
6.7
내가 오지말라고해서
10
9.6

104
100.0
가족에게 매일 편지를 쓴다는 응답은 4%정도에 머무르고 있으나 자주 쓰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63%에 이르고 있어 합계 67%는 가족과의 유대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거의 쓰지 않는다는 응답이 23%, 전혀 쓰지 않는다는 응답도 약 10%로 합계 33%는 가족과의 유대가 잘 유지되고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표 9> 편지쓰는 빈도
빈도
%
매일
6
3.7
자주
102
63.4
거의 안씀
37
23.0
전혀 안씀
16
9.9

161
100.0
한편 소년 수형자들의 편지에 가족들의 답장빈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 지를 보면 59%는 매번, 또는 자주 답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0%정도는 거의 또는 전혀 응답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답장을 받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이러한 응답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가족유대를 위해서는 수용자 자신들의 노력뿐 아니라 수용자의 가족들도 수용자와의 유대를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표 10> 답장받는 빈도
빈도
%
매번 답장옴
36
22.9
자주 답장옴
58
36.9
거의 답장안옴
32
20.4
전혀 답장안옴
31
19.7

157
100.0
끝으로 전화통화의 상대가 주로 누구인지를 물어본 결과 42%가 부모라고 응답했으며, 형제나 조부모는 11%, 친구 등은 9%정도여서 단연 부모가 전화통화의 상대로 나타났다.
<표 11> 전화통화 상대
빈도
%
부모
68
42.2
형제
11
6.8
조부모나 친척
7
4.3
친구선후배
6
3.7
이성친구
8
5.0
아직 전화걸어본 적 없다
61
37.9

161
100.0
서신, 접견, 전화통화를 통한 소년수용자의 가족접촉 상황을 알아 본 결과 대개는 가족, 특히 부모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도소가 너무 멀리 떨어져있고 부모가 생업에 종사하느라 접견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것은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소년수용자들의 편지에 답을 하지 않는 가족들이 상당비율 존재한다는 것은 가족유대를 위한 제도적 고려의 범위가 수용자에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의 가족에게로 넓혀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12> 출소후 갈 곳
빈도
%
가족에게
121
75.2
친구에게
6
3.7
갈곳이 없다
6
3.7
아직 결정하지 않음
14
8.7
기타
14
8.7

161
100.0
출소 후 갈 곳도 75%가 가족에게 갈 것이라고 응답하여 가족이 출소 후 사회복귀의 유용한 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출소에 대한 가족의 반응에 대한 예상에서도 반갑게 맞아줄 것으로 기대하는 응답자가 84%로 나타나 소년수용자들의 가족에 대한 기대를 보여준다.
<표 13> 출소에 대한 가족의 반응
빈도
%
반갑게 맞아주고 위로해 줄 것이다
135
84.0
달갑지는 않아도 받아줄 것이다
16
10.0
귀찮아할 것이다
4
2.5
절대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5
3.1

160
100.0
<표 14> 재범예방에 있어 부모의 역할
빈도
%
아주 많이 도움될 것
119
74.4
조금 도움될 것
21
13.1
거의 도움이 안될 것
7
4.4
전혀 도움이 안될 것
7
4.4
가족이 없다
6
3.8

160
100.0
또한 자신들이 다시 범죄에 빠지지 않기 위해 가족들이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74%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조금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을 합하면 88%가 가족에게 긍정적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대검찰청 http://www.spo.go.kr/
이동원, 한국의 청소년비행동향과 요인, 한국학술정보(주), 2006
임령택, 비행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2007
이영숙 박경란 전귀연 공저, 가족문제와 복지, 신정 도서출판
청소년백서, 2006, 국민청소년위원회
조흥식외 공저, 가족복지학, 2006, 학지사
http://cafe.daum.net/gkrwjadmsgod
비행청소년 상담지원정책,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5
http://cafe.naver.com/julietroc/607
법무부 http://www.moj.go.kr/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5.26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3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