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제주][제주도민][제주인][제주문화[전통가옥][음식][관광명소][의복문화][식물]]제주도의 전통가옥, 제주인의 삶의 특징, 제주도의 음식, 제주도의 관광 명소, 제주도의 의복문화, 제주도의 식물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제주][제주도민][제주인][제주문화[전통가옥][음식][관광명소][의복문화][식물]]제주도의 전통가옥, 제주인의 삶의 특징, 제주도의 음식, 제주도의 관광 명소, 제주도의 의복문화, 제주도의 식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제주도의 전통가옥
1. 제주의 초가 (草家)
2. 올레
3. 마당
4. 안뒤
5. 눌굽
6. 통시
7. 우영

Ⅲ. 제주인의 삶의 특징

Ⅳ. 제주도의 음식
1. 자리물회
2. 옥돔구이
3. 고사리국
4. 양애산적
5. 몸국
6. 빙떡
7. 자리회
8. 옥돔구이
9. 보말국
10. 구살국(성게국)
11. 호박잎국
12. 톨냉국(톳냉국)
13. 구쟁기강회(소라강회)
14. 한치물회
15. 전복죽
16. 보리쉰다리
17. 닭제골
18. 그밖의 제주도 음식

Ⅴ. 제주도의 관광 명소
1. 칠선녀의 전설이 깃든 천제연 폭포
2. 상록수림 사이의 계곡 돈내코
3. 서귀포시내의 명소 천지연 폭포
4. 바다로 직접 떨어지는 정방폭포
5. 서귀포의 해안 절경 외돌개
6. 중문의 해안 비경 주상절리 해안
7. 동양 최대의 단일 사찰 약천사
8. 용두암
9. 도깨비 도로
10. 수월봉
11. 용머리 해안
12. 산방굴사
13. 한림공원
1) 협재 / 쌍용동굴
2) 아열대 식물원
3) 제주석 / 분재원
4) 재암민속마을
5) 재암수석관
6) 새가 있는 정원
7) 야자수길
8) 연못정원
14. 주상절리
15. 삼굼부리 분화구
16. 정석 항공관
17. 성읍 민속마을
18. 섭지코지
19. 성산일출봉

Ⅵ. 제주도의 의복문화
1. 제주 의생활의 특성
2. 일상복
3. 노동복
1) 갈옷
2) 잠수복 물소중이
3) 목자복(牧者服)
4. 일생 의례복
1) 출생 의례복
2) 혼례복

Ⅶ. 제주도의 식물
1. 으름난초
2. 붉은 겨우살이
3. 동백나무겨우살이
4. 야고
5. 초종용
6. 새삼

참고문헌

본문내용

복 물소중이
잠수(潛嫂)란 바닷물 속에서 미역.소라.점복등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성을 말하며, \'잠수복\'은 이들이 수중작업(\'물질\') 할 때에 입는 옷들을 말한다.
\'잠수복\', \'해녀옷\', \'좀녀옷\'.\'물소중이\'.\'소중이\'로 부르고 있으나 불소중이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통칭되었다.재료는 무명이나 광목으로 하고 주로 흰색옷을 입었는데, 검정 물감이 흔해지자 19세기부터 검정물을 들여 입었다.
3) 목자복(牧者服)
목자복은 추운 고지대의 기후 적응에 알맞은 짐승의 털가죽으로 만든 모자와 옷, 신발이용, 털은 밖으로 노출시키고 있다.모자는 \'가죽감티\'.\'털벙것\'.\'정당벌립\'.\'대패랭이\'등
이있다. 몸에 입는 옷으로 겉에는 가죽두루마기와 \'도롱이(雨依)가 있으며, 겨울에는 솜을 넣은 솜옷이나 누빈 바지 저고리를 입었다. 허벅지부터 다리에 \'가죽발레\'를 꿰었다.
4. 일생 의례복
1) 출생 의례복
초생아 옷(출생~7일)
삼베로 만들어 갓난 아기에게 입히는데 통풍이 잘되어 땀띠예방도 된다. 초생아 옷은 \'봇뒤창옷\'.\'봇뒤적삼\'.\'베옷\'.\'삼칠일옷\'.\'베창옷\'이라 했는데, 대부분 봇뒤창옷으로 통칭되었다. \'봇\'은 자궁이며, \'창옷\'은 홑옷이라는 뜻이다.
백일. 돌옷
생활이 여의치 못한 점도 있지만, 어른들에 대한 눈치와 \"백일이나 돌 때에 상(床)을 차리거나 좋은 옷을 입혀서 호사시키면 질병에 걸리거나 단명(短命)한다\"는 속설 등으로 하여 생략되었다.
평상복
\'물애기\'(젖먹이)일 때는 아래에 입히는 옷은 없었다. 아기옷이나 \'지성귀\'(기저귀)는 어른들 헌옷이나 갈옷 헌 것으로 만드는 정도였고, 여름엔
발가벗겨 키우고 옷 한벌을 만들면 다 떨어질 때까지 입혔다. 그와 \'지성치매\'(두렁치마:배두렁이)였으며, 조금자라면 \'강알터진 바지\'(십자바지)를 입히고 \'풍채바지\'를 입는 일은 매우 드물었다.
2) 혼례복
새서방(신랑) 치레
혼례날은 일반인도 평생에 한 번 관복을 입고 관원으로 우대를 받을 수 있었다.
머리에는 사모(紗帽)를 썼는데, 겨울에는 방한용으로 목건()이나 \'풍뎅이\'(남바위)를 사모 속에 쓰기도 했다.
새각씨(신부)치레
새각씨는 잔치가 벌어지는 동안 \'괴팡\'(고팡: 광)에서 단장했다.
새각씨를 단장해 주는 사람은 첫아들을 낳고, 부녀해로하고, 건강하여, 복덕과 수덕을 갖춘 부녀자가 했다. 장옷을 입고 고부랑건지머리\' 짚신이나 감악창신, 고무신을 신고 원삼과 족두리에 용비녀를 꼿았다.
호상옷(사후의례복,저승옷)
\"호상에는 명주가 최고\"라고하며 명주와 삼베 외에 다른 직물은 철저히 금기 했다. 무명은 시신이 썩을 때 새까맣게 되고, 모시를 쓰면 자손들의 머리에 새치가 생기며, 화학섬유는 잡물질이 섞여 있어서 시신이 썩지 않기 때문이다. 호상옷은 윤년이나 윤달 또는 환갑을 기해서 자손들이 만들기도 했다. 갑자기 준비없이 상을 당했을 때는 손이 막히지 않는 날을 택해서 했다. 바느질 할 때는 매듭을 맺거나 상침질 뒷바느질은 절대로 삼가했다.
상복(喪服)을 \'복옷\'이라고 한다. 상을 당하면 \"복입었다\" 고 하는데 남자는 \'굴건제복\'(屈巾祭服)을, 여자는 \'대수장군\'(大袖長裙)을 갖춘다.
Ⅶ. 제주도의 식물
1. 으름난초
해발 800m 이하의 숲속에 드물게 썩은 菌絲에 寄生하는 식물로서 녹색이 없으며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고 비닐 같은 삼각형잎이 달리고 길게 뻗은 뿌리 속에 Armillaria라는 버섯의 균사가 들어 있다.
줄기는 곧추 서고 높이는 50?100cm이며 윗부분에 가지가 갈라지며 갈색의 털이 있다. 꽃은 6?7월에 피며 색깔은 황갈색이다. 으름같은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으름난초라고 한다.
참나무겨우살이 Laranthus yadorik Sieb.(우리학교 : 위미초등학교에 있음)
보리수나무와 비슷한 상록기생관목으로서 해발 400m 이하에 드물게 구실잣밤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에 기생한다. 잎은 대생이나 드물게 호생하기도 하며 수원형 또는 난장원형이다. 꽃은 양성이며 9?12월경에 한 엽액에 2?3개의 화경이 있는 꽃이 피고 꽃봉오리는 활처럼 굽는다. 열매는 구형으로 붉게 익으며 과육은 전성이 강하다.
2. 붉은 겨우살이
해발 900?1,400m의 온림대에서 자라는 참나무와 같은 낙엽수의 가지에 기생하는 60cm정도의 상록관목으로 황록색 가지는 차상으로 여러번 갈라져 새의 둥지처럼 보인다. 잎은 녹색으로 대생하고 피침이다. 꽃은 이가화로 2?3월에 황색으로 가지끝에 보통 2?3개씩 핀다. 열매는 구형으로 붉게 익는다.
3. 동백나무겨우살이
남쪽에는 해발 600m, 북쪽에는 해발 300m 이하의 난대림 지대에 동백나무와 같은 상록수에 기생하는 5?30cm 정도의 상록관목으로, 가지는 녹색이며 마디가 많이 갈라지며 마디 사이가 편평하다. 잎은 퇴화되어 작고 마디의 위 끝에 돌기처럼 달려있다. 꽃은 일가화로서 화경이 없으며 마디에 5?6개씩 달려 있다. 열매는 등황색으로 익는다.
4. 야고
해발 500m이하의 초지대에 자라며 억새의 뿌리에 妓生 하는 一年生植物로서 꽃은 9월경에 피며 소화경은 길이 10?20cm이고 한 개의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5. 초종용
바닷가 모래에서 자라는 사철쑥에 寄生하고 연한 자주빛이 돌며 근경이 굵고 육질인 잔뿌리로 기주의 뿌리에 붙으며 원줄기는 가지가 없고 굵으며 높이가 10?30cm이다. 꽃은 5?7월에 피며 색깔은 담자색이다.
6. 새삼
목본식물에 기생하는 덩굴성 식물이며 줄기는 황갈색이고 꽃은 8?9월에 피고 색은 백색이다.
참고문헌
- 강순석(2001), 우도 쇠머리오름 응회구로부터 후기 갱신세 갈대화석 산출, 한국고생물학회발표논문 초록
- 국립문화재 연구소(2001), 제주도 세시풍속
- 김동전(2000), 제주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지방사연구의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사연구회
- 김문홍(1993), 제주도 관속식물의 연구와 제문제-식물상 및 특산식물의 기재와 식생대 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심포지엄
- 임형탁(1992), 제주도 소산 식물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한국식물분류(3)
- 양순필 저(1986), 제주문화의 재조명, 일념출판사
- 현길언 저(2001), 제주문화론, 목석원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8.05.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67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