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와 음식문화] 종교와 음식문화에 대하여(리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유대교
1. 서론
2. 분포 지역
3. 종교 행사
4. 음식 문화

Ⅱ.기독교
1. 서론
2. 분포 지역
3. 종교 행사
4. 음식 문화

Ⅲ. 이슬람교
1. 서론
2. 분포 지역
3. 종교 행사
4. 음식 문화

Ⅳ. 힌두교
1. 서론
2. 분포 지역
3. 종교 행사
4. 음식 문화
Ⅴ. 힌두교
1. 서론
2. 분포 지역
3. 종교 행사
4. 음식 문화

본문내용

또 다른 수행의 한 방법으로 여기며, 무엇을 먹을까 보다는 다만 언제,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관심을 둔다. 요즘은 일일일식을 규정하지 않지만 일일일식은 식사의 양에 유의한 깊은 뜻이 있다. 어찌됐든 남방불교에서는 탁발이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기후와 풍토가 다른 북방불교권(한국, 중국, 일본, 티벳 등)에서는 사원발달과 함께 승려들의 건강을 우려하여 다양한 음식들이 개발되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동물성 식품을 금지하는 이유는 살생을 하지 말라는 부처님의 말씀에 따르는 것이며, 계율상 차이는 있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채소 중에서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는다. 파, 마늘, 부추, 달래, 흥거 등은 날 것으로 먹으면 몸에서 냄새가 나고, 성내고 탐내고 어리석게 하는 마음이 생겨나기 때문에 수행인에게는 절대 금한다.
셋째, 사찰음식은 약리작용을 갖고 있다. 승려들은 양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산약초를 먹기 때문이다. 산초장아찌는 구충제 역할을 하고 보온효과가 있는 것을 예로 알 수 있다.
넷째, 인공조미료를 쓰지 않고 다시마, 버섯, 들깨, 날 콩가루의 천연 조미료를 쓰고 있다.
불교의 기본 정신인 간소, 겸허함이 음식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자극적인 양념없이 재료 그 자체만의 맛을 살리는 조리법을 사용하여 시원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낸다.
다섯째, 제철에 따른 음식이 발달해 있다. 사찰음식의 재료는 사찰 주변에서 간단히 구할 수 있는 들풀, 제철의 채소 등 어떤 형태로든 배고픔을 수반하지 않게끔 발달해왔다.
이처럼 사찰음식은 불교의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가장 간소하고 겸허한 자세로 시작되었으나, 궁극적으로는 어떠한 첨가도 없는 그 자체만으로 맛의 독특한 경지를 이루었으며 고유한 맛의 문화를 이루게 되었다는 점이다.
식욕이라는 인간의 본능을 최소로 줄이려는 불교 정신이 오히려 음식의 맛을 최대 경지로 이끌었다는 이율배반적인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맛의 문화는 세속과 격리되어진 절간에서 구전으로 전해져왔으며, 이제는 특별히 사찰음식 전문 식당을 통하여 종교를 떠나 대중이 접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되었다.
또한 사찰음식이 종교적 상황과 그 종교의 근본 정신에 맞추어 드러나지 못하고 구전으로 전하여진 까닭에 그 맛과 조리 방법이 한가지로 묶여지지 않았다. 같은 명칭의 음식도 각 지방의 절에 따라 만드는 방법의 차이가 있게 되고 당연히 맛의 차이가 두드러지자, 각 절마다 독특하고 유명한 사찰 음식으로 발달하게 된 것이다.
3) 사찰음식의 종류
소승불교를 믿는 남방의 나라에서는 부처님이 살아계실 때와 마찬가지로 탁발을 하여 식사하므로 절에서 음식을 만들 필요가 없다. 그러나 대승불교를 믿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북방의 나라에서는 절에서 음식을 만들므로 사찰음식이 있다. 사찰음식은 크게 일상식과 특별식으로 구분하고, 일상식으로는 주식, 부식과 후식 및 간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특별식으로는 떡, 과일, 과자 및 음청류로 구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찰음식의 종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죽
죽은 일단 안색을 좋게 하고 힘이 넘치고 수명을 연장한다. 안락이 있고 말솜씨가 시원하게 되고 음식물의 소화를 좋게 하고 감기에 잘 안 걸리는 이로움이 있다. 또한 공복감을 충족시키고 목의 갈증을 풀어주고 대소변을 잘 조절하게 한다.
죽에는 바죽, 현미죽, 연시죽, 팥보죽, 비지죽, 개암죽, 우분죽, 늙은 호박죽, 잣죽, 콩나물죽, 흑임자죽, 옥수수죽, 땅콩죽, 야채죽, 팥죽, 들깨죽, 호두죽, 미역죽, 아욱죽, 녹두죽, 버섯죽, 대추죽, 오미자죽 등 모두 43종류가 있다.
② 밥
찰밥, 산나물비빔밥, 콩나물밥, 야채밥, 유부밥, 보리밥, 김밥, 김치밥, 무밥, 김초밥, 버섯덮밥, 보리밥, 오곡밥, 야채 영양소밥, 톳나물밥, 연잎밥 등이 있다.
③ 국
무국, 미역국, 우거지국, 시금치국, 감자국, 쑥국, 냉이국, 김국, 거프국(해안가 절), 근대죽, 배추국, 토란국, 두부냉국, 냉콩국, 째가무냉국, 짠오이냉국, 청포묵국, 시래기국, 양해란국(음력 7,8월에 나며 생강잎과 비슷하며 썰어서 기름에 볶다가 쌀뜨물을 풀고 양념간장으로 끓인다) 등 그 종류가 44가지가 있다.
④ 김치
젓갈류, 파 , 마늘을 쓰지 않는 사찰김치는 담백하고 독특한 맛이 있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 특성이 강하다. 경기 충청지역은 주로 잣을 이용하는 백김치, 보쌈김치, 고수김치, 깍두기를, 전라도 지역에서는 들깨죽을 이용한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죽순김치를, 경상도 지역에는 늙은 호박죽과 보리밥을 이용한 콩잎김치, 우엉김치, 깻잎김치 등이 있다.
북한 지역에는 소금, 고추, 생강, 청각 등을 이용한 동치미나 백김치가 있다.
⑤ 나물 및 무침
시금치, 냉이, 비름나물, 더덕무침, 죽순채무침, 꽈리고추무침, 미사무침, 가지나물, 고사리나물 등 31가지가 있다.
⑥ 조림
감자조림, 우엉조림, 무조림, 고구마, 물엿조림, 꼇질콩조림, 송이버섯조림, 곤약조림 등 27가지가 있다.
⑦ 볶음
감자볶음, 야채볶음, 호박볶음, 머우볶음, 도라지볶음, 오이볶음, 말린추나물볶음, 죽순볶음 등 25가지가 있다.
⑧ 찜과 부침류
가지찜, 배추찜, 채소찜, 연두부찜, 호박부침, 당근부침, 표고전, 김치부침, 감자부침, 녹두부침 등 19가지가 있다.
⑨ 튀김과 구이
버섯튀김, 깻잎튀김, 쑥갓튀김, 고추튀김, 가지튀김, 늦싸리부각, 들깨송이부각, 산동백잎부각, 아카시아꽃부각, 우엉구이, 표고구이 등 31가지가 있다.
⑩ 밑반찬류
산초장아찌, 절인고추, 콩장, 무말래이, 절인오이, 짠배추, 무, 오이, 양희장아찌, 감장아찌, 참외장아찌 등
⑪ 떡
호박오가니떡, 쑥개떡, 풋고추장떡, 메밀떡, 감자송평, 물호박떡, 호박찰시루떡 등 100여가지가 있다.
⑫ 다식
율무다식, 찹쌀다식, 콩다식, 깨다식, 녹두다식, 밤다식, 송화다식, 팥다식 등.
⑬ 한과
유과 유밀과, 강정, 다식전고, 엿강정 등으로 구분된다.
⑭ 장
된장, 간장, 고추장으로 나누는데 각 사찰의 물맛, 조리법 등에 따라 독특한 맛을 낸다.
⑮ 차
쑥차, 솔차, 작설차 등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05.3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