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낼리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Personality의 개념
1. Personality의 사전적 의미
2. Personality의 개념
3. 사회적 개인과 Personality
4. Personality의 이중성 : 사회성과 주체성

Ⅱ. Personality의 형성요인
1. 유전적 요인
2. 환경적 요인
3. 마슬로우(Maslow)의 5단계 욕구
4. Personality의 형성과정

Ⅲ. Personality와 사회화
1. 사회화의 개념
2. 사회화의 의의
3. 사회화의 과정
4. 사회구조와 Personality

Ⅳ. Personality와 문화
1. 문화의 정의
2. 문화와 사회적 성격
3. 문화행동과 Personality
4. Personality와 사회생활

Ⅴ. 결론 및 견해

≪參考文獻≫

본문내용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최근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정신병 중에 “싸이코패스” 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아무 감정이 없이 오직 살인만을 목적으로 하는 일종의 정신병으로 최근 영화에서도 자주 다루어 지고 있으며 실제로도 안양 어린이 유괴사건과 같은 살인사건이 등장하여 주목을 끌었다. 인간으로서, 즉, 자아의 발전과 발달의 잘못된 성숙단계에서 형성된 이러한 인간의 인격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에 대해서 한번쯤 이번 레포트와 관련하여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많은 과학적 자료나 심리학 관점에서 인간의 인격(Personality)은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원시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진척기간에도 인간은 선천적인 영향뿐 아니라 문화적으로도 많은 인격형성의 변화를 거쳤다고 한다.
그러한 단체나 사회 속에서 인간은 주체성을 가지면서도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하는 이중인격 아닌 이중성을 가져야만 하는 것 이다. 이것에 대한 자료조사는 레포트 작성 중에 가장 인상 깊었던 것으로서 과연 지금 나 자신은 주체적 인간인가, 사회적 인간인가에 대한 스스로의 고찰을 하게끔 하였다.
어떤 광고에서는 “모두가 ”Yes” 라고 대답할 때 ”No”라고 할 수 있는 자신감”
이라는 문구로 크게 시청자들의 뇌리를 자극하고 있다. 자료를 참고하여 유추해보자면 남들이 모두 옳다고 할 때 아니라고 할 수 있는 것은 분명 주체성이 강한사람이다. 지금의 사회와 문화는 주체성을 가진 사람을 원하기 때문에 위의 예와 같은 광고는 모든 이들의 가슴에 와 닿을 수 있었을 것이지만, 과연 실제로도 이러한 광고 같은 일이 일어난다면 어떻겠는가? 여건상 혹은 이론상으로도 “Yes" 라고 했던 사람은 ”No"라고 한사람을 배척하고, 무시할 가능성이 높거나 무리에서 제외시키려는 성향을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인격형성과정의 장애가 인간을 사회에 적응하도록 만들기 때문에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사회적 인간이 되어가는 것이고,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인간은 사회적 인간이라고 배우기까지 한다. 이러한 주체성과 사회성 사이의 모순은 특별히 우리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쉬운 경우의 예로 일본이나 미국인들은 혼자 밥을 먹는 것을 꺼려하지 않는다. 그들의 문화자체가 개인의 주체성을 존중해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식당에서 혼자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은 드물다. 학교나 직장뿐만 아니라 군대에서도 우리는 모두 함께 모여 식사를 해야 한다는 사회성 짙은 인식이 우리 문화 깊이 뿌리내려있기 때문일 것이다.
저명한 심리학자인 프로이드의 주장에서도 그렇듯이 인간의 마음이 빙산과 같다면 의식은 물위에 떠있는 아주 작은 부분에 불과하며 물속의 훨씬 큰 부분을 무의식으로 볼 수 있다는 포괄적인 성격이론을 발전시켰다고 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인격을 유추해 본다면 우리는 무의식중에서 스스로의 강한 주체성에 채찍질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고찰을 해보는 바이다.
우리나라는 자본주의 사회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유로 무조건 돈이 많고 성공한 사람을 배척하는 것, 혹은 좋은 차를 타고 다니는 젊은이는 무조건 곱지 않은 시선으로 평가되는 일 등은 이러한 현상들이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삶이 아니기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 보게 되었다.
주체성이 강한 사람이 되는 것, 물론 우리는 사회적 인간이며 사회적 인격을 함양하여 상호 의존하며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는 역량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나의 소견으로는 이시대의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사회성보다는 주체성이 강한사람으로서의 삶도 중요한 것 이 아닌지 고찰하고 반성해보는 입장이다.
주체적 인격자는 사회적으로나 인격적으로 많은 비판의 대상임에 틀림없지만, 이러한 인격자는 어떤 계층의 리더가 될 가능성이 훨씬 높을 것이라는 생각을 해보았다.
우리나라 경제도 이제 세계 선진국대열에 들어선 이시기에, 이제 다른 국가들의 리더로서 성장하기위해서는 주체적 인간의 무조건적인 배척보다는 그러한 인격을 본받고, 진솔한 비판이 이루어져야 하며, 더 나아가 주체적인 국가관을 배양해고 이를 시급히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보게 되었다.
비록 나의 견해가 이번 레포트의 내용과 벗어나는 부분이 있을지라도, 인간의 인격에 관하여 심리학적, 과학적으로 접근한 수많은 자료를 접하면서 레포트의 작성에만 급급했던 것이 아니라 진실로 깨달은 점이 많아 마음에 양식이 꽉 찬 기분이 들었다. 지속되는 문화와 사회의 변화 속에서, 앞으로 어떠한 인격을 가지고 대처해 나가야할 것 인가에 대한 정확한 답변은 없지만 이러한 변화를 빠르게 읽고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인격형성을 목표로 한다면 앞으로 더 좋은 사회, 더 좋은 국가가 건설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보면서 이번 레포트를 마칩니다.
《參考文獻》
naver어학사전, (http://endic.naver.com/endic.nhn?docid=852260&rd=s)
E.프롬의 저서,《자유에서의 도피》 이상두 옮김,(서울, 범우사 출판, 1998)
양창삼 ,《창의성 개발과 기업경영》(서울, 석정출판사, 2002년)
Science, 2007년 6월 10일자.
(제목:
"Microsatellite Instability Generates Diversity in Brain and Sociobehavioral Traits")
윤가현, 김문수외 14명,《심리학의 이해》(서울, 학지사, 2006)
金玄,《現代社會學》(서울, 학문사, 1996)
이동원외 12인共著,《현대 사회학의 이해》(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1993)
李璋鉉 外 共著 , 《社會學의 理解》(서울, 法文社, 1996)
윤근섭외 공저,《사회학의 이해》(서울, 삼우사, 1995)
김채윤,《사회학 개론》(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주낙원,《社會學槪論》(서울,운문관,1988)
정철수《사회심리학》(서울,법문사,1997)
출처 : The meaning of my life | 다니엘라
(원문 : http://blog.naver.com/hyuklsh/60008044330 )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07.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4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