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공본풀이의 구조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공본풀이의 구조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 리 말

Ⅱ. 자 료
초공(初公)본풀이 기본 줄거리

Ⅲ. 구조 분석
1. 기본 줄거리에 대한 개괄적인 분석
2. 일반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서사시의 양상
3. 일반본풀이에 나타나는 가족구성상의 특징
4. 신화에 나타나는 가족 구성상의 특징이 가지는 의의
5. 초공본풀이에 나타난 구조상의 특징 정리

Ⅳ. 맺음말

본문내용

이다. <초공본풀이>에서는 쌍둥이 삼형제의 어머니가 되는 자지멩왕아기씨와 관련하여 3대가 서술된다. <칠성본풀이> 역시 일곱 자식의 어머니와 관련하여 3대가 서술된다.
제주도 큰굿내의 신화에는 대체로 2대를 서술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3대를 기술하는 것은 주로 주인공이 되는 신의 모계 쪽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4. 일반본풀이에 나타나는 가족 구성상의 특징이 가지는 의의
가족구성상의 특징을 통해 나타난 일반본풀이에 대해 말자 중시하는 특징을 가지고 문화사적 의의를 찾아보겠다.
(1) 문화사적 의의
제주도 열두 본풀이 중 적어도 네 편 이상에 나타나는 말자 중시 현상은 또한 문화사적 측면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우리의 전통사회 및 근세사, 그리고 현대 사회에 있어서는 한 집안에 있어 말자보다는 장자(長子)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기에 가계 계승권 및 재산 승계가 모두 장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것인데, 흥부전은 바로 이러한 사회현상을 반영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큰굿 내 신화에 나타나는바 말자 중시 현상은 이러한 사회현상과는 현저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줌으로서, 우리민족사에 있어 고대의 언제인가는 장자보다는 말자를 중시했던 사회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암시하고 있다.
문학 작품은 그것이 소산된 당시대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반영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중시하면, 큰굿 내 여러 편의 신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말자 중시 양상은 곧 큰굿 형성 당시의 사회상이 말자 중시 사회였다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면 우리 민족 고대사에 있어 우리는 언제인가 장자보다는 말자가 중시되었던 바의 말자 중심 사회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큰굿이 형성될 당시의 가족사, 또는 생활상이 말자 중심의 사회였다고 한다면, 이것을 기반으로 우리는 우리문화에 남아 있는 고대적 자료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 5. 초공본풀이에 나타난 구조상의 특징 정리
제주도 큰굿이 가지는 문화사적 위상을 중시하여, 제주도 큰굿내의 본풀이에 나타나는 바 가족구성상의 특징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했다.
제주도 큰굿내의 신화로는 베포도업침, 생불할망본풀이,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 강림차사본풀이, 멩감본풀이, 세경본풀이, 칠성본풀이, 문전본풀이 등이 있는데, 이들 신화에 나타나는 가족 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자녀로는 쌍둥이, 무남독녀 외동딸, 말자(막내)를 중시하는 특징이 있고, 세대를 통틀어 살펴보면 기자치성, 잉태 및 산육으로 인한 여성수난, 아버지 없는 가운데 태어난 아들들의 아버지 찾기, 모계를 중심으로 하는 3대적 기술 등의 큰 특징이 드러난다고 요약할 수 있다.
Ⅳ. 맺음말
이번 제주도 본풀이 조사를 통해 열두 본풀이 중 <초공본풀이>를 대상으로 ‘여성주인공 구비서사시’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피고, <초공본풀이>와 다른 본풀이들을 비교 분석해 가며 가족구성상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였다.
우선 구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영웅의 일생’ 구조를 수용함으로써 여신의 내력이 서사적으로 확대된 형태도 다수 확인할 수 있었다. 여신의 내력을 노래한 일반본풀이는 대체로 일대기 형식을 취하고 있지만, 주인공인 女人의 苦難이 강조된 형태로 크게 나타난 것을 발견했다. 이처럼 여성주인공 본풀이는 기본적으로 여신에 관한 노래이지만, 각각의 자료에 남아 있는 여신의 모습은 단일하지 않으며, 여신의 변모 양상은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본풀이 향유집단의 관념을 일정정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관념의 변화는 대체로 세 단계로 나뉘는 것 같다. 원시적 여신의 大母神性, 고대적 여신과 여성영웅의 母性性, 중세적 여성영웅의 從屬性이 그것이다. 이러한 관념의 변화는 여성구비서사시가 풍부해질 수 있게 한 내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여성구비서사시의 형성과 변천은 여성서사시만을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고, 구비서사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큰 틀 속에서 논의해야 하는 더 큰 문제이다. 그리고 가족 구성상의 특징으로는 자녀로는 쌍둥이, 무남독녀 외동딸, 말자(막내)를 중시하는 특징이 있고, 세대를 통틀어 살펴보면 기자치성, 잉태 및 산육으로 인한 여성수난, 아버지 없는 가운데 태어난 아들들의 아버지 찾기, 모계를 중심으로 하는 3대적 기술 등의 큰 특징이 드러난다고 요약할 수 있다.
제주도의 열두 본풀이를 조사하며 굿에서 남성중심이 아닌 여성중심의 가치가 드러나는 것을 보고 새삼 놀라지 않을 수가 없었다. 또한 장자가 아닌 말자 중심의 사상이 드러나는 것도 색다른 점이었다. 유교문화권에서 장자중심, 남자가 중요시 되는 현상이 당연시 되었는데 제주도 본풀이 신화에는 여성이 신이 되고 여성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것이 많았다. 나는 <초공본풀이>를 ‘여성’ 중심으로 분석해 보았다. ‘여성’이라는 이름의 당당함을 보여주는 자료가 많은 것 같아 조사하는 내내 뿌듯하기도 하고, 나도 한 여성으로서 분발하며 내 삶을 개척해 나가야겠다고 생각했다. 구조분석이라는 것을 처음 해봐서 어렵고, 당황스러운 점이 많았지만 밤을 새며 조사한 만큼 보람을 느낀다.
이상과 같은 조사를 통해 본풀이를 같은 제주도 본풀이끼리 비교하는 방법도 좋겠지만 다른 나라의 신화와도 비교대조 분석해서 연구한다면 더 좋은 분석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끝으로 이런 전통적인 산물을 영구히 보전 발전시켜 민속적인 연구에 대한 가치를 더 높이고 끊임없는 연구가 계속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며 이 글을 마친다.
[자료 출처-참고 문헌]
현용준 : 1980,『제주도 무속 자료 사전』(서울, 신구문화사)
고대경 : 1996,『神들의 故鄕』(도서출판 중명)
秦聖麒 : 1991,『제주도 무가 본풀이 사전』(서울, 民俗苑)
서대석 : 1980,『한국무가의 연구』(문학사상사)
이경하 : 서울대 박사 수료, 제주도 본풀이에 나타난 여성서사시 양상과 의미(학술논문)
이수자 : 1989,『제주도 무속과 신화 연구』이화여대 박사 논문
http://www.koralit.net/jaryo/12/gb07.hwp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10.28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52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