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한 쟁점 및 대안적 패러다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서 론

2. 평화에 대한 정의와 새로운 관점

3. 한반도 평화체제와 관련한 쟁점
1) 당사자 문제
2) 유엔군사령부 및 주한미군 문제

4.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협정: 상호관계의 설정 문제

5. 존재론에서 관계론으로

6. 대안적 패러다임

참고문헌

본문내용

르치는 것이다. 지역이나 국제 분쟁의 원인이 무엇이고, 그래서 국제이해가 '왜' 필요한지를, 자연 파괴가 '왜' 문제이며, 그래서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개념이 '왜' 중요한 지를 가르치는 것, 이것이 학교나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평화교육의 주된 방식인 것이다. 그런데 결과가 어떤가? 국제분쟁이 조금이라도 줄어들고 있는가? 개인이나 집단간의 갈등은 어떤가? 생태계를 복원하는 것은 접어두고라도 쓰레기 양이 조금이라도 줄어들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왜 이렇듯 교육과 현실이 서로 겉도는 것인가?
평화교육같이 사회를 변혁하려는 교육실천일수록 삶이 실려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주위에서 그렇게 사는 사람을 만나기 힘들고, 심지어 교사도 그대로 살지 않는 상황에서 가르치는 내용이 우리 아이들의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처음부터 무리다. 그래서 평화를 위한 교육에서는 가르치고 싶은 내용을 교사가, 부모가, 사회가 먼저 그처럼 '살아 보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경쟁이 미덕인 사회에서 소외된 이웃과 '더불어 사는 삶'이 바로 평화교육의 출발점인 것이다. '삶'이 앞선 교육, 이것이 평화교육의 핵심 중의 핵심이다.
정리하면, 시대의 변혁기에 사회변혁을 지향하는(사회변혁은 개인변화를 포함한다) 평화교육이 실천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로운 관점, 대안적 가치와 전망에 기초해야 한다. 지금을 위기의 시대라고 진단하면서, 그 위기의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 대다수가 익숙해 있는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바꾸지 않는다면, 어떻게 위기에 대한 대응과 극복이 가능하겠는가! 패러다임을 바꾸지 않으면 평화교육적 상상력도 자극되지 않는다. 그저 남들이 자기 상황에 맞추어 했던 실천을 견강부회 식으로 우리 상황에 적용하는 것 이상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관점을 대안적 패러다임 위에 새롭게 세우고, 가르칠 내용을 먼저 살아 보이는 것, 이것이 평화교육이 진정 사회변혁적 힘을 가질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고리이다. 결론적으로, 평화가 무엇인지 관심도 없고, 이웃과 더불어 나누는 삶을 살아 본 적도 없는 교사와 부모에게서는 결코 평화교육을 기대할 수 없다. 실천적 평화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가, 부모가 먼저 바뀌어야 한다.
" …… 왜냐하면 개인의 변화는 이웃의 키 이상을 넘을 수 없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서로 어깨를 기대고 살아가는 이웃들의 키만큼 변화할 수밖에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나 자신을 개조함에 있어서조차도 그것을 개인주의적 방식 즉 존재론적인 방식으로 달성하려고 했던 잘못이 내게 있었습니다.
…… 어떻게 하든 이 겨울을 넘기고 나면 다시 봄이 오겠지. 이것은 안이한 답습의 낡은 언어이며 결코 희망의 언어가 아닙니다. 희망은 새로운 땅에 싹트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진정한 희망은 새로운 땅을 일구는 작업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입니다. 동토(凍土)에 쟁기를 박아 넣는 견고한 의지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입니다. 더 이상 패배할 수 없는 천근의 땅에 씨앗을 심는 각오이어야 합니다."
"목표의 올바름을 선(善)이라 하고 그 목표에 이르는 과정의 올바름을 미(美)라 합니다. 목표와 과정이 함께 올바를 때를 일컬어 우리는 그것을 진선진미(盡善盡美)라 합니다."(신영복, 116쪽)
참고문헌
데이비드 코튼, "세계화의 타파를 위하여"(데이비드 코튼과의 대화), 『녹색평론』, 1998년 3-4월 (통권 제39호), 27-37호
손혁재 (1998), "정치개혁과 부패정치의 척결", 『김대중 정부의 정치 '개혁', 그 비판과 대안을 찾아서』, 정치대토론회 자료집, 1998년 10월 21일, 3-21쪽
신영복 (1996), 『나무야 나무야』, 서울: 돌베개
아르노 바루찌 (1997), 『대안적 삶의 형식』, 서울: 서광사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1997), "21세기 전야의 회고", 『미래의 원시사회』(나단 가르델스 편), 서울: 영림카디널, 21-35쪽
알피 콘 (1999), 『경쟁을 넘어서』, 서울: 비봉출판사
앤서니 기든스 (1998), 『제3의 길』, 서울: 생각의 나무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한반도 냉전청산과 평화정착을 위한 국제대회 자료집』, 1999년 8월 12-14일
정화열 (1999), 『몸의 정치』, 서울: 민음사
조희연 (1998), "'제2의 건국'운동과 시민사회, 그리고 사회운동", 『김대중 정부의 정치 '개혁', 그 비판과 대안을 찾아서』, 정치대토론회 자료집, 1998년 10월 21일, 36-57쪽
클리브 폰팅 (1995), 『녹색세계사 I』, 서울: 심지
프리초프 카프라 외 (1997), 『신과학과 영성의 시대』, 서울: 범양사
프리초프 카프라 (1998), 『생명의 그물』, 서울: 범양사
한국기독교연구소 (1998), "유럽의 카이로스 문서", 세계의 신학,1998년 겨울호, 217-255쪽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1998), "방향전환: 글로벌한 종속에서 국지적 상호 의존으로", 『당대비평』, 1998년 가을·겨울 합본호, 141-160쪽
홀거 하이데(Holger Heide) (1998), "세계시장, 신자유주의, 그리고 살아있는 연대", 『IMF에 도전하는 민중』, 서울국제민중회의 자료집, 1998년 9월 8-12일, 18-31쪽
Gandhi, M. K. (1970), My Views on Education (ed. by Hingorani, A. T.), Gandhi Peace Foundation, New Delhli
John Feffer (ed.) (1999), Linking Arms: Asia-Europe Cooperation on Alternative Security Strategies, Bangkok
Smith, Huston (1981), "Beyond the Modern Western Mind Set", Toward the Recovery of Wholeness: Knowledge, Education, and Human Values (ed. by Douglas Sloan), Teachers College Press, New York and London, pp 62-85
  • 가격2,7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8.18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