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기어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금기어의 개념과 금기어 영역
ㄱ. 금기어의 개념
ㄴ. 금기어의 영역
2. 어휘적인 ‘금기어’
ㄱ. 금기어 분류
ㄴ. 금기어 예시
3. 문장형식의 ‘금기담’
1) 금기담의 분류
2) 금기담 예시

Ⅲ.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상났을 때 바느질하면 나쁘다.
(3) 제사에 관련된 금기어
① 제삿날 바느질하면 조상의 영혼이 오지 않는다.
② 제삿날 빨랫줄을 매면 귀신이 오다 돌아간다.
③ 제사 음식에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나쁘다.
라. 시간에 관한 금기담.
시간과 관련된 금기어는 하루 동안의 시(時)와 관련된 것과 일 년 동안의 세시(歲時)와 관련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제때 시간을 지키는 측면보다는 언제 어떤 일을 하느냐와 관련된 시의 적절성의 문제가 더욱 중요한 사안 이었던 것 같다. 금기어의 내용을 보더라도 '약속을 잘 지켜라'라는 내용은 없지만 어느 시기에는 어떠한 일이 적합하지 않으니 삼가라는 내용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1) 시간과 관련된 것
① 새벽에 여자가 오면 재수 없다.
② 새벽에 거울 보면 해롭다.
③ 밤에 불장난하면 오줌 싼다.
④ 저녁 때 집안에서 휘파람 불면 뱀이 들어온다.
⑤ 밤에 화장하면 불길하다.
⑥ 밤에 닭이 울면 불길하다.
⑦ 아침에 물건을 외상으로 주면 그 날 재수 없다.
(2) 세시와 관련된 것
① 정월 초하룻날 손톱 깍으면 복이 나간다.
② 정월 초하룻날 싸우면 일 년 내내 싸운다.
③ 정월 초하룻날 울면 일 년 내내 운다.
④ 정월 열 나흗날 저녁에 일찍 자면 눈썹이 센다.(희어진다)
⑤ 정월 보름날 아침에 오곡밥 해먹지 않으면 나쁘다.
⑥ 정초에 구두를 잃으면 그 해엔 재수가 없다.
⑦ 정월에 아이 난 곳에 가면 나쁘다.
⑧ 설날에 일하면 죽을 때 헛손질한다.
⑨ 설날 돈 빌리면 복 나간다.
마. 신체부위에 관한 금기담
신체의 각 부분과 관련하여 그 행동을 조심할 것을 경계하는 금기담이 많다. 각각의 신체부위에 따라 살펴보도록 하자.
(1) 머리
① 머리를 아랫목으로 두고 자면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② 머리를 풀고 다니면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③ 머리를 북쪽으로 두고 자면 나쁘다.
④ 사람의 머리를 넘으면 그 사람의 키가 크지 않는다.
⑤ 양말을 머리맡에 두고 자면 꿈자리가 사납다.
⑥ 부모 초상 때에는 머리를 빗지 않는다.
⑦ 머리를 빗으면서 음식을 먹으면 몸에 해롭다.
(2) 손
① 손을 까불면 복이 나간다.
② 손장난이 심하면 복 달아난다.
③ 손으로 턱을 괴면 부모와 이별한다.
④ 반지를 둘째손가락에 끼면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⑤ 정월 초하룻날 손톱 깎으면 복이 나간다.
⑥ 손톱, 발톱을 깎아서 불어넣으면 해롭다.
(3) 발
① 사람이 자면서 발을 꼬고 자면 일평생 빚지고 산다.
② 남에게 발을 밟히면 재수 없다.
③ 남자의 다리나 허리를 여자가 타넘으면 재수 없다.
(4) 입, 치아
① 사람이 자면서 입맛 다시면 근심 생긴다.
② 입으로 손톱을 깎으면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③ 자다가 이를 갈면 팔자가 세다.
④ 이를 빼서 지붕에 버리지 않으면 이가 나지 않는다.
바. 예의에 관한 금기담
조심해야할 말과 행동에 대해 경계를 하고, 생활규범 행위규범과 관련하여 심재기는 금기담이 사회생활 교과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생활규범을 다음과 같이 도식화하였다. 심재기, 「금기담」,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3.
생활 규범
신체활동
보건 : 건강한 육신
예의 : 예의 바른 태도
여성생활
살림살이 : 알뜰한 살림
여성관 : 예속적 여성관의 확립
일상생활
사물 : 사물을 대하는 경건성
오락 : 휴식을 즐기는 생활
과 예의를 지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예의를 지키는 것에 관한 금기담은 수없이 많으나 여기서는 크게 5가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1) 부모 앞에서 조심하도록 하는 것.
① 시아버지 앞에서 젖을 먹이면 나쁘다
② 부모 초상 때는 머리를 빗지 않는다.
③ 부모 앞에 방구 뀌면 밖에 나가 창피를 당한다.
(2) 노인과 어른을 공경하게 하는 것.
① 어른의 신을 아이가 신으면 해로운 일이 새긴다.
② 어른에게 드릴 물을 자기부터 마시면 그릇에 입이 붙는다.
③ 어른의 모자를 써보면 키가 자라지 않는다.
④ 어른의 수저로 끓는 음식을 저으면 그 어른이 옥밥을 먹는다.
(3) 이웃에 대한 예의를 위한 것.
① 동네 집에 초상났을 때 머리 감으면 해롭다.(바느질하면 나쁘다.)
② 밤에 빨래 방망이질 하면 동네 늙은이 죽는다.(집안이 망한다.)
③ 밤에 맷돌 돌리지 않는다.
(4) 말씨에 관한 것.
① 송장을 보고 냄새가 난다고 하면 늘 코에서 냄새가 난다.
② 시체 앞에서 여러 말을 하면 시체에 변화가 일어난다.
③ 악담을 너무 하면 자기도 그렇게 된다.
④ 남을 비웃으면 입이 비뚤어진다.
(5) 몸가짐에 관한 것.
① 남의 대변을 보는 것을 쳐다보면 귀 먹는다.
② 남의 몸을 함부로 넘어가면 불길하다.
③ 나무 잘 타는 놈은 나무에서 떨어져 죽는다.
Ⅲ. 결론
지금까지 금기의 개념을 짚어보고, 어휘론적인 ‘금기어’와 문장형식의 ‘금기담’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살펴 본 바와 같이 금기시 하는 종류는 아주 광범위하다. 그것이 어떠한 규칙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유형 또한 다양한 양상으로 보이고 있었다. 그래서 그것들을 분류하기엔 적잖게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금기어에는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이 들어있기 때문에 복잡하지만 끊임없이 논의되고 거쳐져야할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리포트를 작성하기 위해 여러 참고자료들을 살펴보면서 언어가 인간 삶의 모습을 그대로 드러내며 의식의 향상을 반영하는 산물임을 알 수 있었다. 금기어나 금기대상도 시대적 산물이자 문화적 산물이다. 어떤 행위가 금기의 대상이었는지를 살피는 것은 겨레의 삶을 이해하는데 지름길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 참고 문헌 >
문효근, 「한국의 금기어」, 인문학부(연세대) 8, 124, 162.
박영준, 「한국의 금기어 연구」, 우리말 연구 15, 2004.
심재기, 「금기담」, 『국어어휘론』, 집문당, 1983.
허재영, 『생활 속의 금기어』, 역락, 2000.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금기어의 개념과 금기어 영역
ㄱ. 금기어의 개념
ㄴ. 금기어의 영역
2. 어휘적인 ‘금기어’
ㄱ. 금기어 분류
ㄴ. 금기어 예시
3. 문장형식의 ‘금기담’
1) 금기담의 분류
2) 금기담 예시
Ⅲ. 결론
< 참고 문헌 >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0.10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4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