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장시설 주변 토양중 다이옥신 농도 및 분포특성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다이옥신(Dioxin)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다이옥신(Dioxin) 이란?
2. 다이옥신의 배출량-오염경로
3. 다이옥신의 발생원 및 원인
4. 다이옥신의 위험성

Ⅲ. 연구조사 및 방법
1. 시료채취
2. 시약 및 기기
3. 추출 및 정제 과정
4. HRGC/HRMS에 의한 정성 및 정량

Ⅳ. 결과 및 분석
1. 토양중 다이옥신 농도
가. Site 별 다이옥신 농도
나. 조사지점별 농도
2. 토양중 다이옥신 분포특성

Ⅴ. 결론 및 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스 및 일반 대기환경 중의 다이옥신 분포 특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잠재화되어 있는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인체에의 미량, 장기의 폭로라는 문제는 대단히 해결하기 어려운 일이겠으나 스웨덴의 모유오염이 상징하는 것처럼 다이옥신의 인체 부하는 확실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보여진다.
다이옥신이 환경에 분산된 후 그 처리 대책이 곤란하다는 것은 과거의 사례에서 분명하다. 따라서 사전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강구가 시급하며 선진국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6가지 측면에서 다이옥신 오염관리 대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새로운 다이옥신 발생원을 저감하거나 최소로 머물게 하는 방법을 시급히 강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중요한 다이옥신 기원물질의 생산, 사용을 규제한다. 둘째, 모든 다이옥신 기원물질 등에서 다이옥신 함유치를 규제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셋 째, 행정부는 화학공장이나 소각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다이옥신 함유 폐기물의 이동, 처분을 올바르게 파악해야 하며 선진국처럼 산업 측에서 의 보고를 의무화하고 실태를 공표하며 그 감시 시스템을 포함한 유해폐기물에 관한 범적 규제를 강화하여 실시하도록 한다. 넷째, 모든 소각로에서의 연돌 배출물을 규제하고 감시한다. 다섯째, 과거 및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폐기물 처리장의 총점 검 및 제초제 처분장소를 감시한다. 여섯째, 각종 제품의 방곰팡이제, 방충제, 살균제 및 난연제 등에 유기염소화합물 첨가 금지 방안을 단계적으로 실시한다.
이러한 관리대책 실시를 위해 우선 국내의 '다이옥신 전문가 그룹'을 설치하여 다이옥신 오염실태를 조사하고 측정. 분석 방법을 확립하며 여러 환경 매개체에서의 발생 기작을 검토하고 제어방법을 연구하도록 한다. 또한 국내 소각장에서의 다이옥신 생성에 관 한 실태조사, 주변환경에의 영향평가, 비회 등의 생체에 관한 영향검토 등의 연구도 행해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다이옥신 오염대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know-how 축적을 위한 인력. 시설 보유에 따른 재정적인 문제가 뒤따르므로 산.학.연 협동연구는 전문가, 공무원은 물론 사회각층의 시민도 다이옥신에 대한 막연한 인식이 아닌 올바른 정보를 갖고 다이옥신 오염대책에 신속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근본적인 것은 폐기물 감량화로 무엇이든 다 태워버릴 수 있다는 사고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가능한 폐기물은 재자원화하고 유기물은 퇴비로 써 토양에 환원함으로써 소각에 필요한 에너지 절약과 함께 다이옥신의 생성을 방지하여야 하겠다.
참고문헌
국립환경연구원, 2001, 내분비계장애물질 조사·연구 결과.
국립환경연구원, 1999, 내분비계장애물질 측정분석방법
장성기, 신선경, 1999, Anal. sci & Tech.,12(3), pp27A∼46A.
환경부, 1998,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 제3장 제2절 제29항(다이옥신분석법).
D. G. Patterson, J. S. Holler and D. F. Groce, 1986, Environ. Toxicol. Chem., 5, 355.
환경관리연구소, 2002, 2002 환경산업총람, 제 7집, 월간「첨단환경기술」
R.E. Alcock, K.C. Jones, 1996. Dioxins in the environment: A review of trend data, Environ. Sci. Technol., 30, pp3133∼3143.
E. Eljarrat, J. Caixach, J. Rivera, 2001, Levels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in soil samples from Spain, Chemosphere, 44, pp1383∼1387.
D. Colomb, D. Ryan, J. Underhill, T. Wade and S. Zemba, 1997, Atmos. Environ., 9, pp1361∼1368.
Gon OK, Sung-Hee Ji, Hyo-Bang Moon and Han-Soeb Yang, 1998,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Soi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Vol. 1, No. 3, pp257∼263.
H. Hagenmaier, P. Karus, 1993, Attempts to balance transport and fate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s and dibenzofurans for Baden-Wurttemberg, Organohalogen Compounds, 12, pp81∼84.
Jurgen Schroder, Kerstin Welsch-pausch and Michael S. Mclachlan, 1997, Measurement of atmospheric deposition of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PCDDs) and dibenzofurans(PCDFs) to a soil, Atmospheric environment, Vol. 31, No. 18, pp2983∼2989.
D.G. Kim, Y.K. Min, Y.Y. Kim, J.C. Kim, and K.H. Cho, 2001, Improvement of Clean-up Efficiency for Dioxins Analysis by HPLC, 21st International symposium halogenated environmental organic pollutants and POPs, Vol 50, pp116∼119.
USEPA 1613 Method, USA.
S.C. Kim, 1999, A Study on Behavior of Dioxins and their Precursors in the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The Univ. of Seoul.
  • 가격2,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1.07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