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부체계]기상조건에 따른 세부권역별 친환경 작부체계의 개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I. 서 론

Ⅱ. 친환경농업
1. 친환경농업의 정의
2. 친환경농업과 상생농업

Ⅲ. 연구 재료 및 방법

Ⅳ. 연구결과 및 고찰
1. 세부권역의 분류
2. 주요 세부권역별 작부조합
3. 작부체계별 에너지 생산량 및 경제성

Ⅴ.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토마토(촉성)
24-35





딸기(촉성)
24-35





참외(시설)
24-35





수박(반촉성)
3-6, 11, 12, 18-35





시금치(시설)
1-8, 11, 12, 18-35





마늘
9, 18, 22-25, 28-35





양파
9, 18, 22-25, 28-35





생강
9, 18, 22-25, 28-35





헤어리벳치
전국
표 12. 기타 작물과 가능한 작부체계별 종합 분석 결과
작 목
가능 세부권역
에너지 생산량
에너지 투입량
소득
비료
노동력
총량
옥수수+
가을무
전국





가을배추
전국





월동배추
33-35





봄감자+
가을무
전국





가을배추
전국





월동배추
33-35





헤어리벳치+

1-9, 11-13, 18-20, 22-35





옥수수
전국





참깨
전국





땅콩
전국





고랭지무
16, 17





고랭지배추
16, 17





* 헤어리벳치는 평가되지 않았음
Ⅴ. 결 론
본 연구는 전작물과 특용작물, 원예작물 및 사료·녹비작물 등을 이용한 권역별 친환경 작부체계를 개발함으로써 다양한 작부유형을 제시함과 동시에 개선된 작부체계 기술을 도입한 적정 작부체계 설정으로 식량의 자급율 향상, 농가소득 증대 및 환경보존에 기여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경지이용도 제고를 위해 전국 73개 지역의 동계 기간중 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등 기상요인을 조사분석한 결과 35개 세부권역으로 분류되었다.
주요 권역별 작부조합은 중북부 및 산간지역에서는 조생종 및 중생종 벼 후작으로 청예용 호밀 및 보리와 헤어리벳치의 조합이 가능하였고, 해안 및 중남부 평야지에서는 중생종 및 중만생종 벼 후작으로 보리, 마늘 및 양파의 작부체계가 유망하였으며, 사료작물로는 청예호밀, 이탈리안라이그라스가 녹비작물로는 자운영의 재배가 가능하였다. 콩, 옥수수 및 참깨 등 후작으로는 중북부는 청예호밀, 밀, 헤어리벳치의 재배가 가능하였고, 중남부는 수수교잡종 및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중남부지역은 마늘, 양파 및 보리의 재배가 가능하였다. 작부체계시 에너지 투입량에 대한 생산량의 비율은 벼 후작으로 보리, 풋옥수수, 봄감자, 봄무, 마늘, 양파 및 생강 재배시 2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특히 풋옥수수 및 마늘은 5배 이상으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콩 및 참깨 후작으로는 보리, 마늘 및 양파 재배시 2배 이상 증가되었다.
작부체계시 경제성은 벼 후작으로 오이, 토마토, 호박, 딸기 및 참외가 소득이 높았으며, 콩 후작으로는 봄무, 봄배추, 마늘 및 양파가 소득이 높았고, 참깨 후작으로는 토마토, 딸기, 참외, 수박 및 생강이 소득이 높았다. 벼 후작으로 헤어리벳치, 자운영, 총체맥류, 이탈리안라이그라스가 가능하였으며, 헤어리벳치 후작으로는 벼, 옥수수, 참깨, 땅콩, 고랭지 무 및 고랭지 배추가 가능하였다.
참고 문헌
정동태. 1989. 토지이용체계의 전환방향과 답전윤환. 농진청 심포지엄 9 : 66-82
CIRC. ORD. 1977. 한국 중북부지역에서의 답리작의 경제학적 연구.
함영수. 1974. 식량증산을 위한 작부체계 개선방안. 작부체계개선 강습회의 자료, 농촌진흥청. pp 189∼240.
허만호, 박승무, 정진석. 1967. 답전작 마령서 육아재배시험. 충북농진원. 농시연보. pp 219∼229.
印貞植. 1940. 朝鮮の農業地帶, 生活社.
작물시험장. 2002. 답리작 벼+맥류 작부체계 안정화 및 맥류재배 확대 연구(제 4차년도 완결 보고서) pp 39.
김정배, 최현성, 김태화. 1967. 농업지대별 작부체계의 수익성에 관한 조사. 농사시험연구보고 10(6) : 75∼118.
김광식. 1983. 신제 농업기상학. 향문사 pp209∼214.
김영두, 서석기, 박호기, 채재석, 신만균, 양종성. 1991. 남부지방에 알맞은 사료작물 작부 체계. 농시논문집 (축산편) 33(3) : 47-53.
구재서. 1967. 한국농업의 지역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국제농업자원 연구소.
久間健一. 1950. 朝鮮農業地帶의 硏究.
이동배. 1974. 작부체계의 경제적 의의. 작부체계개선 강습회의 자료, 농촌진흥청. pp 37∼72.
이홍석. 1982 大豆 作付體系. 한국농업기술사. pp 304∼305
이은웅. 1982. 우리나라 주요작물의 작부체계설정을 위한 생산력 추정연구. 서울대농학연구 7(2) : 29-47.
이은웅. 1992. 국제적 농업전략과 우리나라 답이용 발전방향. 농진청 심포지엄 21 : 3-29.
이영택. 1976. 한국의 기후. 일지사. pp 91∼98.
임정남, 윤성호, 정영상. 1988. 기상권역별 특성과 작부체계. '88 농진청 심포지엄, 경지이용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
민성기. 1988. 「朝鮮時代의 旱田農法」. 朝鮮農學史硏究. 一潮閣.
문헌팔, 황흥구. 1999. 작부체계 다양화를 위한 벼품종 육성방안. 환경친화형 농경지고도이용기술.
남중현. 2001. 조사료용 맥류신품종 개발과 최적작부체계. 농진청 심포지엄, 논을 이용한 생태순환적 조사료 생산체계 구축방안. pp 21∼40.
농업과학기술원. 2001. 농경지 시비양분의 환경영향 평가 실증시험(제 3차년도 완결 보고서) pp 110.
농촌생활연구소. 2001. 식품성분표. pp 439.
농촌진흥청. 1978. 지대별 답리작체계 요람.
농촌진흥청. 1986. 한국의 농업기후 특징과 수도 기상재해 대책.
농촌진흥청. 1995. 한일농업공동연구사업 종합보고서.
大久保 陸弘. 서종호 譯. 1994. 작물윤작기술론. 광일문화사. pp 321.
Pimentel, D and et al. 1973. Food production and the energy crisis. Science. November. 2 : 443-449.
신동완, 홍철선, 정재묵. 1974. 식량작물 생산권 확대방안-식량증산을 주축으로 한 작부체계 개선자료.
  • 가격2,6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1.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51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