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출현, 특징, 기능, 구성과 국내외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 추진 동향, 서비스 내용 및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기대효과 그리고 향후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전망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출현, 특징, 기능, 구성과 국내외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 추진 동향, 서비스 내용 및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기대효과 그리고 향후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출현

Ⅲ.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특징

Ⅳ.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기능

Ⅴ.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구성
1. 물리적 공간 구성
2. 학교도서관 네트워크 구성

Ⅵ. 국내외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 추진 동향
1. 미국
1) 미국 NSF 지원 Digital Library Initiative
2) TULIP 프로젝트
3) 미의회도서관의 National Digital Library Program
2. 일본
1) 일본정보기술촉진청
2) 국립학술정보센터(NACSIS) 전자도서관 시스템
3) BBCC (The B-ISDN Business Chance & Culture Creation)
4) NAIST
5) ULIS (Th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 한국

Ⅶ.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서비스 내용
1.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의 특징
2. 디지털 도서관 서비스의 유형
1) 네트워크 사서(Networking Librarian Service)
2) 이용자 편의의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3) 정보 필터링 서비스(Information Filtering Service)
4) 정보판매 서비스(Information Vending Service)
5) 화상정보통신시스템 서비스(Communication and Image Database System)
6) 화상응답시스템 서비스(Video Response System)
7) 기타 서비스

Ⅷ.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기대효과

Ⅸ. 향후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전망
1. 전통적인 도서관의 중요성 부각
2. 특화된 전자도서관의 출현
3. 디지털화된 데이터의 증가
4. 데이터 기술방법의 변화
5. 색인/검색/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존의 모든 데이터를 디지털화한다는 것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비용 또한 막대하게 소요될 것이지만, 장기간에 걸쳐 소급데이터의 디지털화도 착실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현재에도 과학기술분야를 필두로 하여 디지털잡지, 디지털도서, 디지털신문 등의 발행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앞으로는 이와 같은 현상은 타 분야로 확산되어 급속한 증가를 나타낼 것이다.
전자도서관(Digital Library)의 구축 계획을 수립하는 대학의 경우를 보면, 우선 지적재산권 침해의 소지가 별로 없는 자체 대학의 출판물(석박사학위논문, 교수의 연구저작물, 고서, 자체발간 연속간행물 등)을 전문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국가기관의 경우에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한국문예진흥원 등은 이미지/영상/화상 데이터를 중심으로 데이터의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신속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표준화된 형태로 데이터를 디지털화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정보분야별, 매체종류별, 서비스형태별 및 지적재산권의 특성별로 여러 기관들이 분담하여 관련 작업을 수행한다면 데이터의 디지털화 작업은 한층 더 가속화될 것이다.
4. 데이터 기술방법의 변화
데이터의 기술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먼저, 기존 데이터의 기술은 초록을 포함하는 서지데이터를 ASCII 형태의 데이터로 작성하고, 나머지 전문은 이미지 형태로 축적하는 것이 있는데, 이 방법은 당장에는 용이하겠지만, ASCII 형태로 입력된 데이터는 기술방법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공존은 하겠지만 결국은 MARC 형식은 SGML 형식으로 대치될 것이라고 하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다.
MARC 레코드와 관련 표준이 세계 도서관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디지털시대의 정보환경은 우리의 도서관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MARC를 중심으로 하는 도서관은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렇지만, 향후 MARC 형식이 SGML 형식으로 대치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하더라도 모든 데이터와 시스템을 SGML 형식으로 변환할 수는 없다.
MARC 형식과 SGML 형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하나는 MARC 형식과 SGML 형식 중 어느 한쪽을 중점적으로 채택하는 방법이 있고, 또 다른 하나는 MARC 형식과 SGML 형식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모든 데이터는 MARC 형식을 사용하여 입력하고 전문데이터로 변환되는 것에 한하여 SGML 형식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렇지만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양방향 변환 프로그램의 개발이 관건이 된다고 할 것이다.
5. 색인/검색/인터페이스 기술의 발전
전자도서관(Digital Library)이 그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전문(Full-Text)데이터를 얼마만큼 축적하느냐가 중요한 요소가 되겠지만, 그러나 더욱 더 중요한 것은 이용자의 다양한 현재 및 잠재적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일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 차원 높은 색인/검색기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문제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최근 디지털도서관 관련 국제회의에서 빈번하게 논의되고 있고 가장 중요한 관심사가 자동색인, 정보검색효율, 자연언어처리 등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보면, 결국 데이터베이스의 성공여부는 색인기술(색인기법, 색인어 추출문제 등)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우리나라에서 더욱 더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함께, 정보검색 관련 기술은 전문검색 및 통합검색을 기반으로 한 검색결과의 순위매김에 집중되고 있고, 자연언어처리,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 JAVA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계, 개발 및 평가 역시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 이것은 비단 문헌정보학, 전산학 등 한 학문분야에서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의 분야가 아닌 복합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학제적인 협력을 통하여 관련 기술의 발전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Ⅹ. 결론
아마 가능한 것 중 최상의 세계로 간주될 수 있는 것은 폭넓고 포괄적인 디지털도서관, 즉 모든 종류의 소프트웨어 기능과 다수의 흥미 있는 정보 객체 뿐만 아니라 대량의 잡동사니 정보들로 가득 채워져 있는 디지털도서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장소는 아래로부터 위로 구축되어지고 어떤 자료나 객체도 누구든지 구축하기 원하면(그리고 유지할 수 있으면) 구성 요소로 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오늘날의 인터넷이 발달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러한 장소가 특별한 장소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이는 전통적인 도서관의 특성으로서 Ros Atkinson이 주장하는 통제지대를 가지고 있는 디지털도서관을 의미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전문가에 의해 선정된 고품질의 자료들이 발견될 것이다. 실질적인 지적 접근은 색인, 목록 및 분류에 의해서 제공되어 질 것이다. 그러한 디지털도서관은 그 안에서 발견되는 정보 자원의 최신성, 정확성,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관심을 가지게 되고 여기서 인지되는 또 다른 관심들도 표명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디지털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가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성취될 수 없는 곳에서는 사람, 즉 디지털도서관의 사서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혁 - 디지털도서관의 문헌특성 및 관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1997
서휘 - 디지털도서관의 구축을 위한 연구, 도서관논지, 1996
이두영·홍재현 -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지, 1996
윤희윤 - 미래도서관에 대한 담론 및 쟁점분석
조왕근 - 미래의 도서관에 대한 우리의 환상: 디지털도서관이 만능의 해결사는 아니다, 전국사서협회 창립 5주년 기념세미나자료, 1995
정영미·안현수 - 전자 도서관 구축론, 구미무역, 1998
한상완 - 디지털 시대의 도서관 환경변화와 그 대응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2권 제2호, 1998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