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급효과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수출유발효과
수입유발
효과
고용유발효과
유비쿼터스 산업
유비쿼터스 산업을 제외한 타 산업
유비쿼터스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2. 기본구조
산업연관분석은 한 경제 내의 생산 부문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나타내는 선형인 부문간 모형이다. 이 모형은 투입요소의 판매와 구매사이의 연관 관계에 강조를 둔 일반 균형모형의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전반적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인식되어 왔다. n개의 산업이 경제 내에 존재한다고 할 때, 생산된 재화들은 최종수요를 충족하기도 하고 다른 산업에 중간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중간재를 로 나타내고 아래에 첨자를 붙여서 라고 표기하면 이는 부문에서 부문으로 투입되는 중간재의 양을 의미한다. 산업연관 표를 행으로 보면 산업의 중간수요 , 최종수요 , 수입 및 총 산출 이 기록되는데 이는 부문의 산출구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산출구조에 대한 관계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부문에 사용되는 재의 투입량의 몫이며, 이를 투입계수, 또는 기술계수라고 한다. 이 비율은 부문에서 한 단위의 산출물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산업의 산출물을 의미하며, 투입과 산출간의 관계를 보여줌으로써 각 부문별 기술구조 또는 생산관계를 나타낸다.
3. 창출효과
(1) 생산유발효과
2010년까지 생산유발액은 유비쿼터스 산업의 생산액 그 자체로서, 생활 서비스 부문에서는 16조 223억원,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147조 4,729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15조 3,249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간접 생산유발액인 타 산업에 ㅣ치는 생산유발효과로는 생활서비스 부문에서는 9조 4,420억원,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45조 4,512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6조 5,867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총 생산유발효과로는 240조 2,996억원, 연평균 40조 5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2) 부가가치유발효과
유비쿼터스 산업의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산업 자체의 효과와 타 산업에 미치는 효과를 합하여 도출되며 2010년까지 유비쿼터스 산업 자체에서 유발되는 직접적인 부가가치 창출액은 생활 서비스 부문에서는 10조 4224억원,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81조 2,134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10조 8,639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 산업에 미치는 간접적인 부가가치 유발액은 생활서비스 부문에서는 5조 1,703억원, 산업경제 부문에서는 23조 5,661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3조 5,171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2005년~2010년까지의 총 부가가치 유발효과로는 134조 7,532억원, 연평균 22조 4,589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3) 수출 및 수입 유발효과
유비쿼터스 산업의 수출액 그 자체로서 생활 서비스 부문에서는 5,929억원, 산업 경제 부문에서는 31조 3,676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107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비쿼터스 산업으로 인한 총 수출유발효과로는 41조 268억원, 연평균 6조 8,378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유발효과로는 생활 서비스 부문에서는 2조 718억원, 산업경제 부문에선느 21조 2,656억원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138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적인 수입유발효과로는 유비쿼터스 산업 자체세서는 23조 3,511억원, 타 산업에 미치는 효과는 16조 9,238억원, 이에 따른 총 수입유발액은 40조 2,748억원, 연평균 6조 7,125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4) 고용유발효과
유비쿼터스 산업 자체의 고용유발효과로는 생활서비스 부문에서는 291,607명, 산업 경제 부문에서는 1,194,531명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에서는 151,717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타 산업에 미치는 고용유발효과로는 생활서비스 부문 62,486명, 산업경제 부문 235,959명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 39,845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 체적으로는 2010년까지의 생활서비스 부문 약 35만명, 산업경제 부문 약 143만명 그리고 공공행정 부문 약 19만명이 고용창출 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총 고용 창출인원은 약 198만명, 연평균 약 33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Ⅴ. 결론
지난 국내 IT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했던 것은 국가 전략적으로 연구개발 투자와 통신사업자의 선행투자가 IT 산업의 유효수요를 창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술개발 촉진이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시켰기 때문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차세대 IT산업인 유비쿼터스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초기에 정부의 선도적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의 경기 침체 및 IT산업의 부진을 극복하고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추진 전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정부는 국가차원에서 이해득실을 면밀히 분석하여 신중하고 빠른 정책결정을 하도록 요구받고 있다고 하겠다. 엄청난 투자비용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기 때문에 정부/공공 부문의 인프라 구축 선행을 통한 구현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며, 점차 민간 부문으로의 확대를 꾀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백광현,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국내 유비쿼터스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연구”, 2006
[2] 유승훈, “정보통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2003
[3] 박성훈, “정보사회의 새로운 패러다임 Ubiquitous Computing에 관한 연구”, 2004
[4] K. Lyytinen, Y. Yoo, "Issues and Challenges in Ubiquitous Computing", 2002
[5] 김치연, “유비쿼터스 컴퓨팅 : 특징과 전망”, 2004
[6] 이봉규, 김기연, 이태희, 송지영, “u-Business Strategies for Telematics based on Demand Analysis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Devices”, 2005
[7] 류승완, “유비쿼터스 시대의 경제와 경영”, 2003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