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제주지역][제주]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해신의례와 의복,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관광지와 펜션,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전통음식,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목장, 제주지역(제주, 제주도) 하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도][제주지역][제주]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해신의례와 의복,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관광지와 펜션,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전통음식,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목장, 제주지역(제주, 제주도) 하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해신의례
1. 영등굿의 유래
2. 영등에 대한 속신(俗信)
1) 신의 명칭
2) 신의 고향
3) 신의 성격
4) 신의 내방(來訪)과 귀로(歸路)
3. 전승의 실상

Ⅱ.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의복
1. 일상복
2. 노동복(갈옷. 잠수복. 목자복)
1) 갈옷
2) 잠수(潛女,潛嫂)복 물소중이
3) 목자복(牧者服)
3. 의례복
1) 출생의례복
2) 혼례복

Ⅲ.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관광지
1. 용머리 해안
1) 위치
2) 개요
2. 한림공원
1) 위치
2) 개요
3) 관람시설
3. 천지연 폭포
1) 위치
2) 개요
4. 성산일출봉
1) 위치
2) 개요

Ⅳ.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펜션
1. 제주지역의 펜션 분포 및 운영
2. 제주도 펜션의 영업

Ⅴ.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전통음식
1. 보말국
2. 구살국(성게국)
3. 호박잎국
4. 톨냉국(통냉국)
5. 구쟁기강회(소라강회)
6. 한치물회
7. 전복죽
8. 보리쉰다리
9. 닭제골

Ⅵ.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목장

Ⅶ. 제주지역(제주, 제주도)의 하천
1. 한천
2. 금성천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담동 일대에서 선사시대 마을유적터가 확인되기도 했다. 또 용연에서 23백m 떨어진 곳에는 제주도 유형문화재 2호로 지정(1971. 8)된 제주향교가 있다. 이 향교는 태종 1년(1392) 제주시 교동에 창건됐으나 여러 차례 이건된 뒤 순조 27년(1827) 지금의 자리로 옮겨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향교에는 과거 향시에 합격한 이들의 이름이 기록된 연방록과 본과에 합격한 사람의 명단을 적은 용방록이 제주도 유형문화재 10, 11호로 각각 지정(1991. 6. 4)됐다.
한천 중류 오등동 지경에는 방선문(訪仙門)으로 널리 알려진 들렁귀라는 곳이 있다. 이곳에는 길이 10여m, 높이 56m 폭 67m는 됨직한 큰 바위가 한천 양쪽 계곡을 가로지르고 있다. 이 바위는 가운데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가운데가 뚫려 있다. 앞에서 보면 문처럼, 위는 지붕처럼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 입구 천정에는 방선문이라는 마애명이 큰 글씨로 음각돼 있다. 즉,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이다. 방선문은 영주10경의 하나인 영구춘화(瀛丘春花)로 유명한 곳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봄철이면 관리와 선비들이 기생들과 풍류를 즐겼던 곳이다. 방선문에는 조선조 제주목사를 비롯한 관리들이 남긴 30여 개의 마애명이 남아 있다.
한천의 발원지는 백록담 정상부이다. 예로부터 한라산은 우리 민족에게 매우 상징적인 존재였지만 그 중에서도 정상부는 특별한 공간으로 여겨 왔다. 선조 4년 (1601) 안무어사로 제주에 내려 왔던 청음 김상헌(金尙憲)이 남긴 남사록을 보면 못 북쪽 모퉁이에 단(壇)이 있으니 본주에서 언제나 기우하는 곳이다.라는 기록이 보인다. 가뭄이 들면 선인들이 비가 오기를 기원했던 터였음을 알 수 있다. 같은 기록을 보면 김상헌은 왕명을 받고 이곳에서 한라산신에게 제를 올렸는데, 제문(祭文)은 당시 제주에 발생했던 역모의 발생과 조치에 관한 것으로 비단 기우만이 아니라 국태민안을 기원했던 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산신제터는 1470년부터 3년간 제주에 머물렀던 이약동(李約東)목사가 겨울철 동사자 발생을 이유로 한라산신제 거행 장소를 지금의 산천단으로 옮긴 뒤에도 중요한 산신제는 여전히 한라산 정상부에서 열렸음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지금도 백록담 북쪽 모퉁이에는 넓지 않은 공간에 약간 인공을 가해 평탄작업을 한 산신제터가 남아 있다.
또 산신제터에서 불과 10여m 떨어진 곳에는 한라산 개방 기념비가 있다. 제주 최대 비극인 4·3사건이 발발하자 당국은 한라산의 입산을 통제한 뒤 6·25 한국전쟁이 멎은 지 한참 뒤인 1955년 9월 21일 제주도경찰국장의 명의로 이곳에 한라산개방을 기념하는 비석을 세운 것이다.
한라산 정상에서 동북쪽 코스인 탐라계곡으로 잠시 내려오면 왕관릉이 나타난다. 이 능선은 둥그런 형태로 우뚝 솟아있어 왕관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 곳의 원래 이름은 연딧동산이었다. 연대(煙臺)가 있는 동산이라는 뜻이다. 이형상목사가 남긴 탐라순력도에도 한라산 바로 아래쪽에 연대 표시가 있어 왕관릉=연대라는 해석을 가능케 한다. 맑은날 왕관릉에 오르면 산북지역 대부분은 물론 멀리 추자군도와 남해안의 섬들도 한 눈에 들어온다. 이런 지형적 여건을 살펴 볼 때 도내 다른 연대와 봉수가 섬내의 연락을 담당했던 데 비해 이 연대는 섬과 육지를 잇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2. 금성천
금성천은 하류에 이르러 북제주군 애월읍과 한림읍을 경계짓고 있지만 하천 대부분의 유역은 하류지역의 금성리를 비롯 봉성리, 어음1·2리 등 애월읍에 집중돼 있다. 애월읍 봉성리지경 금성천 중상류에 위치한 새별오름은 고려시대 최영장군이 목호(牧胡)들을 무찌른 제주역사상 가장 치열하고 의미있는 전투가 벌어졌던 전적지다. 1374년 8월 공민왕의 명을 받은 최영장군은 3백14척의 군선에 2만 5천명의 대군을 이끌고 목호의 토벌에 나선다. 고려의 목호토벌은 명나라가 고려조정에 요구해 온 말 2천필을 원제국의 관리들인 목호들이 거부한 것이 발단이 되었다.
최영장군이 대군을 이끌고 명월포에 이르자 목호들은 3천여의 기병으로 명월포에서 항거하다 새별오름 쪽으로 관군을 유인했다. 그들의 장기인 기병전을 벌이기 위함이었다. 목호와의 싸움은 명월촌으로부터 어름비(어음), 밝음오름, 검은오름, 새별오름, 홍로(지금의 서 귀포시)로 이어지며 치열하게 전개됐다. 그러나 싸움은 새별오름에서 격전 끝에 대승을 거둔 관군의 승리로 급격히 기울었고, 패잔 목호들은 서귀포 앞 바다 범섬으로 피신했으나 추격해 온 관군에 의해 전멸했다. 이로써 99년간 제주를 지배해 온 몽고의 세력은 종언을 고하고, 제주는 다시 고려에 편입하게 됐다. 새별오름 남쪽에는 지난 99년 북제주군과 한라일보가 공동으로 세운 새별오름 전적지 표석이 세워져 그 의미를 전하고 있다.
금성천 상류지역인 애월읍 봉성리 화전동(花田洞)의 옛 이름은 화전(火田)마을이다. 이 마을은 제주의 역사와 선인들의 아픔을 반추케 하는 현장이다. 1899년 제작된 제주읍지중 제주지도에는 도내에 모두 9개의 화전마을이 있었음을 표시해 놓았다. 이 자료에는 화전민들에게 일정액의 화전세를 받는다고 기록돼 있는데 이로 인한 폐단은 1862년 가을부터 3차에 걸쳐 발생한 농민들의 항쟁(壬戌濟州民亂)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었다. 임술민란은 화전민들이 집중 분포된 대정 지역에서 시작된 후 각지로 퍼져 나갔는데 처음에는 화전세 폐단에 반발, 봉기했으나 나중에는 수공업 상업 어업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들까지 참가하는 대규모 민란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고대로부터 이어져 온 화전경작은 1968년 화전정리법이 제정돼 법으로 금지되면서 역사속으로 자취를 감추게 됐다.
참고문헌
이효지 -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1999
이학순 - Let’s go 펜션, 2002
연합통신 - 한국관광, 세계로 미래로, 1996
유철인 - 지역연구와 제주학, 제주문화 연구의 현황과 과제, 제주학회, 1996
제주국제협의회 - 21세기 관광산업과 제주관광의 미래, 오름, 1998
한국의 발견, 제주도 - 뿌리깊은 나무, 1992
현길언 - 제주문화론, 목석원, 2001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3.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