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제사][제사예절][제례(제사예절) 기원][축문 쓰는법][제수 진설]제례(제사예절)의 정의, 제례(제사예절)의 기원, 제례(제사예절)의 준비, 제례(제사예절) 축문 쓰는법, 제수(祭需)의 진설(陳設)에 관한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례][제사][제사예절][제례(제사예절) 기원][축문 쓰는법][제수 진설]제례(제사예절)의 정의, 제례(제사예절)의 기원, 제례(제사예절)의 준비, 제례(제사예절) 축문 쓰는법, 제수(祭需)의 진설(陳設)에 관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제례(제사예절)의 정의

Ⅲ. 제례(제사예절)의 기원

Ⅳ. 제례(제사예절)의 준비
1. 기구진설
2. 제물진설
3. 신위의 설치
1) 아버지일 경우
2) 어머니일 경우

Ⅴ. 제례(제사예절) 축문 쓰는법
1. 축문(祝文)에 대한 해설(解說)
2. 축문서식(祝文書式)

Ⅵ. 제수(祭需)의 진설(陳設)
1.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2. 제수(祭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弟) 이하(以下)에게는 유령(惟靈)이라 쓴다.
○ 애천(哀薦), 지천(祇薦) : 애천, 지천
○ 처(妻)와 제(弟)이하는 진차(陳此), 백숙부모(伯叔父母)에게는 천차(薦此)라 쓴다.
○ 향(饗) : 높이 받드는 문자(文字)이니 줄을 바꾸어 현자(顯字)와 함께 높이 쓴다.
○ 현자(顯字)도 한자 높이 쓴다.
2. 축문서식(祝文書式)
각종(各種) 축문(祝文) 서식(書式)을 다음에 소개(紹介)한다.
○ 출주고사(出主告辭) : 사당(祠堂)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나을 때 읽는 축(祝).
○ 금이(今以)
현고 모관부군 원휘지신 감정신주 출취정침 (청사)
顯考 某官府君 遠諱之辰 敢請神主 出就正寢 (廳事)
Ⅵ. 제수(祭需)의 진설(陳設)
1. 제수 진설의 일반 원칙
제수의 전설은 각 지방의 관습이나 풍속, 그리고 가문의 전통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그래서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하며 남의 제사에 감 놓아라 배 놓아라 하고 참견 말라는 풍자적인 말까지 나오게 된 것이다.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한다. 진설의 순서는 맨 앞줄에 과일, 둘째 줄에 포와 나물, 세쩨 줄에 탕(湯), 네째 줄에 적(炙)과 전(煎), 다섯째 줄에 메와 갱을 차례대로 놓는다.
조율이시(棗栗以示) 왼쪽에서부터 대추, 밤, 감, 배의 순으로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생동숙서(生東熟西)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좌포우해(左包右骸) 포는 왼쪽에, 젓갈은 오른쪽에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에, 육류는 서쪽에
두동미서(頭東尾西) 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건좌습우(乾左濕右) 마른것은 왼쪽에, 젖은 것은 오른쪽에
접동잔서(접東盞西) 접시는 동쪽에, 잔은 서쪽에
우반좌갱(右飯左羹) 메는 오른쪽에, 갱은 왼쪽에
남좌여우(男左女右) 제상의 왼쪽은 남자. 오른쪽은 여자
2. 제수(祭需)
제사에 쓰이는 제물을 가리키며 제찬(祭饌)이라고도 한다. 제찬에는 고춧가루와 마늘을 쓰지 않는다. 제수 음식 장만은 형식에 치우치기보다 정성스럽게 형편에 맞게 하는 것이 좋다.
메(飯) : 밥. 추석절 제사에는 송편으로, 연시제에는 떡국으로 대신한다
면() : 국수
편(片) : 떡(설기는 안하고 백편으로 한다.)
삼탕(三湯) : 육탕, 소탕, 어탕
삼적(三炙) : 육적, 소적, 어적
채소(菜蔬) 및 숙채(熟菜) : 삼색나물(시금치, 고사리, 도라지)
침채(沈菜) : 동치미
청장(淸醬) : 간장
식해(食해) : 젓갈
포(脯) : 북어, 건대구, 건문어, 건전복, 건상어, 육포 등
갱(羹) : 국
유과류 : 약과, 산자(흰색), 강정(검은 깨)
당속(糖屬) : 흰색 사탕(오화당, 옥춘, 원당, 빙당, 매화당)
다식(茶食) : 녹말 다식, 송화 다식, 흑임자 다식
정과(正果), 전과(煎果) : 연근정과, 생강정과, 유자정과
과실(果實) : 대추, 밤, 배, 감(곶감), 사과
제주(祭酒) : 청주
경수(更水) : 숭늉
Ⅶ. 결론
제례는 복잡한 형식보다 그 마음가짐이 더욱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것은 현대 문물에 의하여 조상에 대한 현대인들의 공경심이 희박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1년에 몇 번 돌아오지 않는 제례때만 이라도 보은의 뜻으로 예를 지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ⅰ. 김인옥(1997), 전통제례의 관한 생활문화적 고찰과 현대제례의 실태연구, 정신여대
ⅱ. 금장태(2000), 유교의 사상과 의례, 예문서원
ⅲ. 이춘배(1998), 현대인을 위한 신 가정의례백과, 도서출판 가원
ⅳ. 임돈희(1990), 조상제례, 대원사
ⅴ. 황경순(2003), 안동 헛제사밥을 통해 본 전통의 생산과 소비, 대구향토문화연구소

키워드

제례,   제사예절,   제수,   진설,   제사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