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문화]아르헨티나의 발견, 아르헨티나의 국기와 의미, 아르헨티나의 정치, 아르헨티나의 군사, 아르헨티나의 경제, 아르헨티나의 산업, 아르헨티나의 교육정보화, 아르헨티나의 대외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르헨티나][아르헨티나 문화]아르헨티나의 발견, 아르헨티나의 국기와 의미, 아르헨티나의 정치, 아르헨티나의 군사, 아르헨티나의 경제, 아르헨티나의 산업, 아르헨티나의 교육정보화, 아르헨티나의 대외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아르헨티나의 발견

Ⅲ. 아르헨티나의 국기와 의미

Ⅳ. 아르헨티나의 정치와 군사
1. 정치
1) 정치
2) 헌법
3) 의회
4) 주요정당
5) 국제기구가입
2. 군사
1) 총병력 : 103,500명
2) 병역제도
3) 국방비

Ⅴ. 아르헨티나의 경제와 산업
1. 경제정세
1) 물가안정화 시기(1989-1993)
2) 페소화 고평가에 의한 산업기반 붕괴
3) 통화정책에 의한 경제운용 한계 표면화
2. 제2기 메넴정부 경제정책
3. 아시아 경제위기와 재정긴축
1) 배경
2) 대응조치내용

Ⅵ. 아르헨티나의 교육정보화

Ⅶ. 아르헨티나의 대외관계
1. 제 2기 메넴정부의 대외정책
2. 대미관계
3. 인접국 관계
1) 남미공동시장(Mercosur)
2) 남북한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소위 Convertibility Plan) 아르헨티나는 미국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게되었다. 예로서, 미국정부의 경제정책이나 뉴욕 증권시장의 이자율 움직임은 그대로 아르헨티나 경제에 파급된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심화되고 있는 경제문제 해결 방안의 일환으로 미국이 상당한 발언권을 행사하고 있는 국제 통화기금의 국내경제 정책 간여권을 인정해 주고 대신 약20억불의 차관을 공여 받기로 함에 따라 아르헨티나의 대미 의존도는 크게 심화되고 있다. 최근 양국관계는 다소 소원한 관계를 가졌던 1970년대, 대등한 입장에서 상호 협력관계를 모색해 왔던 1980년대를 거쳐, 아르헨티나의 대미 의존이 심화 되는 1990년대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인접국 관계
1) 남미공동시장(Mercosur)
(1) 역내관세
- \'95.1.1.부터 역내 관세 철폐
- 국별 민간품목 유예기간 인정
· 아르헨, 브라질 : 4년
· 우루과이, 파라과이 : 5년
· 역내비관세장벽 - Stand-still and Rool-back 원칙
(2) 역외공동관세
- \'95.1.1.부터 0%-20% 범위내 공동관세 시행
- 시행시기 유보 자본재 (14%)는 (단, 우루과이, 파라과이는 2006년까지) 정보.통신재 (16%)는 2006년까지
- 품목예외(2001년까지)
· 파라과이 : 399품목
· 나머지 3개국 : 300개 품목
· 자동차 및 설탕분야 - 현행 Mercosur 국가간 자동차 및 설탕분야 협력협정의 Mercosur 체제내예외 인정
(3) 수출관세쿼타
· 우루과이가 브라질 (PEC) 및 아르헨티나 (Cauce)와 체결한 수출 관세쿼타 협정 예외 인정 - 단, 2001년까지 단계적 폐지
· 원산지 규정 - 역내관세 면제 품목 역내 조달 부품까지 60% 이상 - 단, 파라과이는 2001년까지 역내 조달 부품 가치 50%이상
(4) 자유무역지대
- Tierra del Fuego (아르헨) 및 Manus (브라질) 자유무역지대 존치
- 상기 자유지대간 거래시 공동관세 면제
- 상기 조치는 2013년 까지 유효 - 여타 역내 자유무역지대 설치 허용
- 단, 상기 자유지대로부터 반출되는 상품은 공동관세 또는 국별 관세부과 대상
2) 남북한 관계
(1) 대한국관계
○ 대 한반도 정책
1990년대 초부터 아르헨티나는 대 아시아 외교를 대미, 대유럽 외교에 버금가는 비중으로 다루기 시작한다.
-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메넴대통령은 한국, 중국, 필리핀을 순방함에 이어 중국, 일본 방문예정, 이와 관련, 아르헨티나 정부는 한국을 경제분야 주요 파트너로 간주하고 있음.
- Cavallo 경제장관 및 민간 경제사절단 방한
- Menem 대통령 방한
또한, 아르헨티나에는 약 34,200명의 한국인이 거주 하고 있으며, 한인사회의 급속한 성장은 아르헨티나 사회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질시의 대상이 되기도함.
- Menem 대통령은 3차례나 방한한 바 있는 비교적 친한 인사임. Di Tella 외무장관도 방한한바 있고, 실리외교를 표방하고 있어 아르헨티나의 친한정책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 외무부 고위인사는 자국을 \"Pacific-oriented Country\" 라고 종종 칭함.
북한은 아르헨티나 정부에 대하여 집요하게 외교관계 재개를 교섭하고 있으나, 아르헨티나 외무부는 77년 아르헨티나 주재 북한대사관 철수시 대사관 건물 화재에 대한 보상과 미지불된 곡물 대금의 변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 화재 보상금 약30만불, 곡물대금 약 1천만불이다.
(2) 대북한관계
○ 외교관계
73.5.25 페론파의 Hector Campora 정권수립 직후 73. 6.1 외교관계 수립, 73.8.4 북한 주아르헨티나 상주공관 개설, 군사혁명 이후 활동에 많은 제약을 받아오던중 북한공관 방화사건후 77.6.5 북한 공관원 전원이 무단 철수하였으며 77.6.14자로 아르헨티나 정부는 대북한 단교 조치한다.
(3) 대북한관계 일지
- 1973.5.17-19 Maria Isabel Martinez de Peron(페론 전대통령 부인이며, 전 대통령), 중국 방문후 북한 방문
- 1973. 5.22 Hecotr Campora 대통령 취임식에 북한 부주석 강양욱 참석
- 1973. 8.16 북한 대사대리 문성국 부임(8.4 공관개설)
- 1973.10.12 페론 대통령 취임식에 북한 부주석 강양욱 참석
- 1973.11.30 북한-아르헨티나 통상협정 체결(김석진을 단장으로한 5명의 통상사절단 파견)
- 1974.4.8 북한대사 정광순 신임장 제정
- 1974.4.6-11 북한 외교부 부부장 김용택을 단장으로 한 사절단 방문
- 1974.10 Italo Lunder 상원의장 포함한 5명의 상원 의원 및 기자 1명 북한 방문
- 1975.8 북한 부총리 정준기를 단장으로한 사절단 방문
- 1977.6.14 아르헨티나 군사정부(비델라 대통령), 북한에 대하여 단교조치
- 1980.7.30 북한 주유엔대사 한시해 등 3명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비동맹 조정국회의\" 참석차 아르헨티나 입국
- 1983.3.28-4.9 제3차 77그룹 각료회의 참석차 북한대표단 (김찬식, 한태혁, 정영융, 오태봉) 입국
- 1986.4.25-28 Frondiai 전대통령, 동경개최 전직 대통령 및 정부 수반회의 참석차 방북
- 1986.10.11-16 최고인민회의 의장 양형섭외 6명 IPU 총회참석차 아르헨티나 방문
- 1991.10 주페루 북한대사 김경호, 아르헨티나 방문 수교 교섭
참고문헌
강석영, 라틴아메리카사, (주)대한교과서, 1996
권기수,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대책과 향후 전망, 대외경제연구원 세계경제, 2002
송기도, 눈까마스, 아르헨티나 군부독재의 실상, 서당, 1988
스키드모어·스미스, 라틴아메리카의 민주화, 법문사, 1989
아르헨티나 경제 통상현황(2002), KOTRA 부에노스아이레스 한국무역관
임상래, 중남미 사회와 문화, 부산외대, 1998
이한구, 아르헨티나의 금융위기와 향후전망,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 2001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2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