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과 연암소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지원과 연암소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박지원
1) 생애
2) 시대적 · 사상적 위치
3) 문학관
가. 자연과 미물에서 찾는 '도'
나. 동심의 문학
2. 연암소설
1) <허생전>의 줄거리
2) <허생전>의 기록
3) <허생전>에 나타난 박지원의 사상
가. 당대의 문제점 표출
나. 박지원의 의식

Ⅲ. 맺음말

본문내용

들의 행태를 강하게 환기하고 있다.
단락 2에서 연암은 허생으로 하여금 돌연 매점매석을 하도록 함으로써 인물형상을 급변시키고, 이를 통해 한 사람의 매점매석으로도 유통을 마비시키는 경제현실과 양반사대부들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특히 허생이 도둑의 차원으로 강등되고 있는 점과, 독서를 지상의 사치로 여기는 선비로 하여금 매점매석을 실행하도록 형상화한 표현법이 강한 인상을 준다.
단락 3에서 허생은 행위 양상은 특히 당대 시각으로 봤을 때 가히 혁명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여기서 허생은 이인(異人)적 형상을 띠고 있지만, 이면적으로는 비판적 사대부의 형상을 띠고 있다. 이런 형상의 인물이 나라에서도 해결 못한 군도의 무제를 일순간에 해결하고 새로운 세계를 건설하고자 하는 설정을 매우 급진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단락6에서도 나타나는데 허생과 대면한 이완은 처음 바깥에 서있어야 했고 뿐만 아니라 방에 들어간 뒤에도 허생은 이완을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마지막에는 허생이 이완의 목을 찌르려고까지 했다. 여기서 이완의 목은 연암 당대의 부패 무능한 위정자의 목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작품의 의미 전달 면에서 효과적이다.
사실 연암이 <허생전>을 통해 제기하는 당대 경제현실의 낙후성, 인재등용의 당파적 폐쇄성문제 등은 당대 다른 학자들에 의해서도 문제시 되었으나 연암의 방식이 공감되는 까닭은 ‘선비를 도둑의 차원으로 끌어내리는 방식, 선비가 매점매석을 행하도록 한 방식, 선비가 새로운 세계를 염원하도록 한 방식, 선비가 최고위층 인물의 목을 겨냥한 방식, 등 실로 상상하기 어려운 형상화 방식을 통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요컨대 <허생전>은 일련의 ‘속’의 문제의식을 좀처럼 상상하기 힘들고 충격적인 ‘겉’과 같은 행위 표현방식을 통해 뚜렷하게 나타내었다. 차충환, 「<허생전>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의 표출방식」,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3
Ⅲ. 맺음말
지금까지, 연암 박지원과 <허생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박지원은 실학의 대표학자로서 그가 지은 <허생전>에 그의 사회 정치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비판의식이 들어 있다. 이러한 비판을 행하는 주인공 ‘허생’의 신분이 선비라는 점을 들어, 연암은 위정자들에 대한 비판을 좀 더 효과적이고 강하게 나타냈다.
<허생전>에 나타난 연암의 사상은 선비의 무능력 비판, 조선의 낙후된 경제형편과 양반의 겉치레 의식의 비판, 위정자들의 무능력과 인재등용 문제 비판, 그리고 양반 사대부들의 예법 추수 태도 비판 등으로 나타냈다.
더욱이 이러한 사상을 연암은 <허생전>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나타냈으며, 이러한 <허생전>이 미칠 사회적 파급을 염려하여 후지를 두 종류 씀으로 연암이 자신이 썼다는 것을 감추려 하였다. 사회의 문제점을 <허생전>을 통하여 강하게 비판한 연암 박지원은 중세 말기에 근대적 사상을 가짐으로서 평탄한 삶을 살지 못했다. 그러나 그는 선각적 지식인으로서의 사회비판적 자세를 늦추지 않은 채 사회의 위서노가 싸웠음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0.
김영동, 「朴燕巖의 文學觀에 대한 一考察」, 『한국한문학론문선집』, 불함문화사, 2002.
김정문, 「<허생전> 연구」, 배달말학회, 1990.
박기석, 「<허생전(許生傳)>의 형성과 저술에 관련된 몇 가지 문제」, 서울여자대학교.
신병주노대환,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돌베개, 2002.
이운규, 『고전소설비평사론』, 새문사, 2002.
장충열, 「朴趾原의 許生傳 硏究」, 목어엄누학, 1989.
차충환, 「<허생전>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의 표출방식」,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03.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5.2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3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