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혁명의 발생원인과 영향 및 의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제외적 원인분석에 대한 재판
2. 자본-노동축적과 수요의 증대
1) 자본의 축적 배경과 내용
2) 노동력의 증가
3) 수요의 증대
3. 영국이 산업혁명을 가장 먼저 이루게 된 요인 분석
1) 기술혁신의 성장기여도 분석
2) 기술과 영국 산업혁명의 선발(先發)의 관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장요인 분석뿐만 아니라 당시의 문헌을 통해서도 충분히 혁명적 결과를 야기 시켰음에 틀림이 없다. 그 중에서도 문헌에서 언급하는 바와 같이 증기기관과 방적기 여기에 딘(P. Dean)이 지적하는 코오트의 제련법은 이전 시기와 단절된 느낌을 받게 할만큼 눈에 띄는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다. 무엇이 원인이었는가? 라고 했을 때 원인은 분명 기술발명 특히, 증기기관과 방적기와 같은 생산성향상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기술발명이 영국 산업혁명의 원인이다. 이러한 기술이 왜 하필 영국에서 실용화될 수 있었는가는 필연적인 이유는 없다. 단지 영국 기술의 절대적 수량도 그러하고 자본과 노동이 뒷받침되었으며 수요증대라는 인센티브가 존재했을 뿐이다. 사회구조 등의 이유도 원인이 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신고전적 생산요소가 존재하면 자연발화처럼 인간의 경제하려는 의지가 발생한다고 본다. 결국, 시기와 장소가 크게 문제되지 않고 앞서 지적한 생산요소와 기술의 동시적우연적 결합만이 영국 산업혁명을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발명이나 기술이 얼마나 많이 발생했는가 또 언제, 어디서 발생했는가의 문제가 크게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이에 대한 대답이 앞에서 제시한 세 번째 물음에 관한 답이다. 기술의 특성이 위의 이유들을 충분히 설명해 내고 있다. Jones(2002)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산업혁명을 전후해 특허권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19세기 영국의 기간별 특허권 건수를 비교해보면 1770년대 294건, 1790년대 294건, 1800년대 924건으로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김종현, 1977, p.51.) 하지만, “특허권의 폭발적 증가가 생산성향상과 직결되는가?” 대답은 충분조건은 아니다라는 것이다. 가장 최근의 세계 성장의 경험을 보면 미국 전체의 특허권 건수는 매해 폭발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국인 등록 특허권 건수는 1915년부터 약 1990년까지 매년 40,000 여건으로 일정하다. (Jones, 2002, p. 92.) 핵심은 특허권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시기에 경제성장이 폭발적으로 일어나지 않았고 1900년대부터 2000년까지의 큰 추세로 보아도 특허권 건수와 성장은 크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한 두건의 특허권이라도 얼마나 생산성향상과 직결되어 있는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산업혁명시기의 특허권 건수로서 기술이 그 원인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다음으로 기술발명이 영국에서 발생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 것인가? 필자의 역량부족으로 정확한 자료를 찾지 못하였으나 영국이전에 방적기가 이미 다른 나라에 존재했다는 주장을 들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실들이 영국 산업혁명의 원인이 기술이라는 주장을 일축시킬 수 있는가?” 이 또한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라는 대답을 할 수 있다. 기술이라는 재화의 특성은 공공재와 비슷하게 비경합성, 비배재성을 갖는다. 물론 모든 기술이 다 그렇지는 않지만 지적재산권이 크게 발달하지 못했던 시기인 산업혁명시기일수록 기술이 현재보다 훨씬 비경합적이고 비배재적이었을 거란 사실은 충분히 유추가능하다. 또한 양동휴(2001)의 견해처럼 당시의 특허권의 성질이 새로운 사업등의 물적투자보다 수익률이 적었을 것으로 사료되므로 당시 기술의 특성은 누구나 자본만 있으면 모방이 가능한 특성을 지녔을 것이다. 따라서, 기술에 대한 진입장벽은 단지 모방에 소요되는 자본이 전부이고 나머지는 학습에 의한 생산일 뿐 이였다. 이는 당시 자본이 충분했던 영국에게 기술이라는 재화의 특성이 충분히 실용화 될 수 있었던 이유로 볼 수 있다.
요컨대, 영국 산업혁명의 원인은 생산성향상과 직결될 수 있었던 기술발명이 그 원인이고 기술의 비경합적, 비배제적 특성으로 영국에서 실용화된 것이다.
Ⅲ. 결론
본고에서는 영국 산업혁명을 경제학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생산요소인 자본과 노동 그리고 그 관계를 결정짓는 기술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요컨대, 영국 산업혁명은 자본과 노동의 축적을 바탕으로 기술이 결합한 결과였으며 그 중에서도 생산성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한 기술이 영국에서 실용화되었기 때문에 영국에서 먼저 발생할 수 있었다. 본고는 영국에서 생산성향상에 기여한 기술이 먼저 실용화된 이유에 대해서는 명백히 밝힐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왜냐하면, 최대한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연구의 범위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누군가가 오늘 아침 학교에 일찍 왔다면, 그건 그 사람이 어느 누구보다 일찍 일어났기 때문일 수도 있고 조금 더 늦게 일어났지만 택시를 타고 학교에 와서 일수도 있다. 무엇의 원인을 분석하는 일은 이처럼 오해(誤解)와 오인(誤認)의 여지가 많다. 따라서 앞으로의 산업혁명 원인을 밝히는 연구는 주어진 사실이 확대해석 되는 것을 경계하면서 기술의 인센티브를 설명하려는 연구가 바람직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수, “절대왕정의 정치형태 및 경제정책”, 『숭실경영경제연구』, 제26집(1996), pp.75-98.
김무곤, “영국 18세기 전반기의 경제변동과 산업혁명과의 연관성”, 『학술지』, 건국대학교, 제15권 제1호(1973), pp.309-327.
김영철, “내생적 선장이론과 영국의 산업혁명: Crafts의 비판을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제2권 제2호(1996), pp.41-66.
김성룡, “제한 성장론의 영국 산업혁명 인식과 그 문제”, 『경북사학』, 제21권(1998), pp.1147-1172.
딕비 and 펜스타인, 『새로운 시각으로 본 영국의 사회경제사(New directions i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강철구(역), 명경, 1999.
론도 캐머런, 『간결한 세계 경제사(A Concise Economic History of the World, From Paleolethic Times to the Present)』, 2nd Ed., 이헌대(역), 범문사, 1993.
배영수, 『서양사강의』, 한울아카데미, 1992.
선군성, “영국산업혁명사소고”, 『연구논문집』,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제6권 제1호(1970), pp.301-325.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6.1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