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정시의 완성과 향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작말
2. 향가의 개념
3. 향가의 유형과 구조
4. 향가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세계
5. 향가의 수용 및 전승
6. 맺음말

본문내용

한 안간힘의 일환으로 지어진 노래라 할 수 있다.
⑦ 처용가(處容歌)
처용이라는 신격의 탄생을 장식하기 위하여 불린 노래로 보인다. 무속적 제의의 현장을 사뇌가의 틀에 담아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품도 사뇌가의 틀이 광범하게 대중화된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5.향가의 수용 및 전승
향가는 주로 노래로 불리고 입에서 입으로 전파되어간 것으로 보인다. 사뇌가의 경우는 개인 창작 시가여서 처음은 향찰 표기에 따라 기사되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최행귀가 보현십종원가를 한시로 번역한 이유를 밝힌 대목 이 글에서 역시(譯詩)를 우리나라 사람들을 위하여 한 이유는 사뇌가가 주로 노래로만 수용되어 그 속에 온축(蘊畜)되어 있는 깊은 뜻의 겉넘기 쉬움을 보안하여 교리적 이해를 온전케 하고자 함이라고 하였다.
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향찰 표기가 불완전 하고 난해하여 주로 입으로 부르는 노래를, 들어서 익히는 방식으로 수용된 것 같다. 삼대목의 편찬은 일반에 널리 유포되어 있던 수많은 노래들의 채록이 큰 비중을 차지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문 표기가 일반화 되어가면서 향가의 문헌전승은 어렵게 되어가고 향찰 표기는 사찰을 중심으로 전승되다가 소멸해간 것으로 추정된다. 아마 13세기 말엽까지는 전승의 명맥이 유지되어 일연의 삼국유사에 그 편린이나마 자취가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6. 맺음말
향가는 우리의 언어구조를 굴절이나 변개 없이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시가 형태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으로는 물론 어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유산이라 할 수 있다. 향가의 어학사적 의의는 향찰이라는 표기형태로 쓰여 우리말의 구조적 아름다움을 전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자로 쓰여 한역되는 작품들의 현실을 생각해 볼 때, 더욱 소중한 면모라고 할 수 있다. 문학사적으로는 우리 문학사에서 서정시 형식의 완성으로서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6세기 말엽의 「혜성가」가 사뇌가 형식의 완성을 보이고 있지만, 본격적인 서정시가로서 대중화된 것은 월명사의 제망매가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자연표상에 비유하여 개인의 내면정서를 형상화하고 있는데, 당대 사람들에게 널리 유포되었다. 사뇌가가 이처럼 대중화된 배경에는 인간의 근원적인 숙명과 인류 보편의 감정에 관심이 집중되게 된 신라 중대의 중세 보편주의적 시대사조에 있지만, 대중화에 촉진제 역할을 한 것은 3단 구성의 정형적 틀이다. 사뇌가는 낙구를 중심으로 제 1단과 제2단이 함께 전대절을 이루고, 제3단이 후소절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적 특성은 우리 시가사의 한 원형적 특질로서 면면히 계승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뇌가 형식의 창안이 문학사적 의의를 지닐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민족문학사연구소(1995), 민족문학사강좌, 창작과 비평사.
조동일(1996),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김완진(1980), 鄕歌解讀法硏究, 서울대학교출판사.
조윤제(1987), 한국문학사, 탐구당.
우리마당 터(2003), 민속학술자료총서, 375 민요향가1.
조동일(1994), 한국문학강의, 길벗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8.11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9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