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기원][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언어기원의 영역, 언어기원의 자연상태와 자유, 루소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쉘링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엥겔스와 일리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분석(언어기원, 언어기원설, 언어기원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기원][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언어기원의 영역, 언어기원의 자연상태와 자유, 루소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쉘링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엥겔스와 일리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분석(언어기원, 언어기원설, 언어기원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언어기원의 영역
1. 신의 선물설
2. 인간 발명설
3. 리버만(Philip Lieberman)교수의 생리학적 진화설

Ⅲ. 언어기원의 자연상태와 자유

Ⅳ. 루소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1. 언어기원론의 중심사상
1) 원시 언어 행위(le language primitif) 즉 정념(passion)의 표현
2) 원시 언어(la lague primifive)의 특징들
3) 문자와 언어의 합리화
2. 루소의 언어기원론의 일생과 사상

Ⅴ. 쉘링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Ⅵ. 엥겔스와 일리의 언어기원설(언어기원론)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의 노동을 가능케 하고, 인간사회를 성립시켜 오늘날의 계급사회에까지 이르게되었다고 말한다. 인류학자인 일리인 역시 [인간은 어떻게 거인이 되었나]라는 저서에서 노동은 인간의 모든 것을, 특히 손과 머리를 변화시켰다. 손은 일을 해야 하고, 머리는 생각을 해야 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인간과 원숭이를 떼어놓은 길고 오랜 세월을 되돌아볼 때 우리는 \"노동이 인간을 창조했다\"고 하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말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의 설명을 참조해보자. 주먹도끼를 쥐고 일하거나 돌을 새로운 모양으로 바꾸는 동안에, 인간은 자기도 모르게 손을 개조해서 좀더 움직이기 쉽고 섬세한 것으로 만들었고, 뇌도 더욱 충실하고 복잡한 것으로 만들었다. 인간은 일할 때 대화를 나눠야만 한다. 그러나 네안데르탈인은 말을 발음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머리뼈를 가지고 있어 의사를 전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온몸으로 의사를 전달하였는데, 가장 많이 말을 한 것은 손이었다. 몸짓과 외침 소리의 수가 늘고, \"신호의 신호\"가 들어오면 들어올수록 뇌는 그만큼 바빠지게 되었다. 뇌 속에 새로운 세포가 계속해서 생기고 그 세포들간의 연락은 차츰 복잡하고 긴밀해졌다. 뇌는 성장하고 용량이 증대했다. 뇌가 발달하자 인간은 생각하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즉 공동 노동은 인간에게 말하는 것을 가르쳤으며 말하는 것을 배우자 인간은 생각하는 것도 터득했다. 일리인은 언어의 발생필요성에 대해서 부연 설명하고 있는데, 이 부분을 \"손과 혀는 역할을 바꿨다\"라는 부제로 설명하고 있다. 도구가 적고 인간의 경험도 풍부하지 못했을 때, 그 경험을 전하기 위해서는 아주 간단한 몸짓만으로 족했으나 노동이 복잡해짐에 따라 몸짓도 복잡해졌다. 여러 가지 사물에 그 하나하나의 몸짓이 필요해졌으며, 더욱이 그것을 정확하게 묘사, 표현하는 몸짓이 필요했다. 이리하여 몸짓 묘사가 생긴다. 그러나 몸짓을 사용하면 물건은 정확하게 묘사할 수 있으나, 추상적인 개념은 어떠한 몸짓으로도 표현하지 못했다. 또한 밤이 되면 할 수 없는 말이었다. 울창한 숲에서도 나무라는 벽에 막혀 대화가 전혀 불가능했다. 이리하여 말소리로 의사를 소통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처음에 혀와 목은 인간의 뜻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인간이 혀를 정복하고, 혀가 한 마디 한 마디를 정확하게 발음하게 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이 걸렸다. 이리하여 몸짓묘사가 말소리 묘사로 바뀌었다. 인간은 처음에는 몸짓으로, 다음에는 말로써 의사를 전달하는 법을 터득하게 된 것이다.
Ⅶ. 결론
인간 이외의 동물에게는 없으며, 오직 인간만이 갖고 있는 특징으로 \"언어를 말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는 인식은 아주 먼 옛날부터 있었다. 보기를 들면, 옛날 중국 고대에서는 인간을 \'만물의 영장\'으로 인식하면서 사람이 되는 까닭은 두 발로 걷고 털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유변, 곧 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 하였다(荀子 BC 315?-236). 그리이스의 \'Anthoropos\'란 말도 중국의 \'人\'과 대개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매우 흥미 있다. 여기서부터 아주 자연스럽게 \"언어라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요컨대 언어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하는 것을 묻게 되었다. 그리고 그 질문은 다시 인간의 본성과 기원에 관한 소박한 의문으로 되돌아오도록 하였다. 그렇다면 인류는 어떻게 해서 언어를 가졌던 것일까? 초기의 언어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그 구체적인 증거를 찾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찾아낸 바로 그 순간에 사라져 버리는 언어가 화석(化石)의 형태로 잔존할 리도 없다. 그러므로 논쟁은 어떻든 사변적이 되지 않을 수 없었다. Smilch(1766)의 신수설(神授說)에 자극을 받았다고 하는 헤르더(Johnn Gottfried Herder)의 {언어 기원론}에서는, 본능이 빠뜨려진 보상으로서 인간에 갖추어져 있는 이성과 정신, 곧 내적 언어로부터 나타났다고 한다. 그리고 그것을 한층 더 밀고 나갔던 훔볼트(W.V.Humboldt)도 헤르더와 똑같이, 궁극적으로는 정신과 이성의 기원에 대한 문제는, 그것을 신(神)에게 돌리지 않을 수 없었으므로, 결국 언어의 기원 문제는 불가지론에 빠져버려, \"인간이기 위해서 언어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결론을 내리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언어의 기원은 여러 학자들에 따라서, 여러 각도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그 이론들은 모두가 사변적이었고, 또 당시의 학문적 수준에서는 실증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서로 자기의 이론만 내세우면서 결말이 나지 않는 논의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었다. 따라서 결국 1866년 프랑스의 파리언어학회에서는 이제부터 쓸모없는 논의는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을 공표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이른바 인문과학 분야의 사변적인 논쟁에 자극 받아, 생물학 분야에서도 사람과 그것에 가장 가까운 원숭이의 비교를 통해서, 확실한 증거를 얻으려고 노력을 하고 있었다. 보기를 들면, Blumenbach(1775)와 Camper,P(1779)는 원숭이와 사람을 비교하면서, 그들을 나누는 특징의 하나로서, 보행양식의 차이와 언어의 중요성을 들어올려서, 수족(手足)의 구조비교와 함께 성대(聲帶)의 해부 또한 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해부학적 연구는 20세기에 들어서도, 화석인류의 발견과 함께 더욱더 성하게 되었지만, 적어도 Lieberman,P(1975) 등의 연구가 있기까지는 성공했다고는 도저히 말할 수 없다. 기능과 형태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명확하지만,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추정한다는 것은 방법론적으로 한계가 있고, 형태와 기능이 일대일의 대응을 이룬다고는 한정할 수 없다는 생물학적 법칙이 확실히 인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익섭 : 사회언어학, 민음사, 1994
김동언 : 국어를 위한 언어학, 태학사, 1996
장 자크 루소 :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 책세상
장 자크 루소 : 인간 언어 기원론, 월인, 2001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일반언어학 강의, 민음사, 2006
Ben Crane, 이기동 역 : 언어학 개론, 한국문화사, 1998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9.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