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인형극][꼭두각시놀음][인형극놀이][인형극][풍물]한국의 민속인형극 고찰과 꼭두각시놀음의 막 구조,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상 특징, 꼭두각시놀음의 현존과정 및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비교,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관계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속인형극][꼭두각시놀음][인형극놀이][인형극][풍물]한국의 민속인형극 고찰과 꼭두각시놀음의 막 구조,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상 특징, 꼭두각시놀음의 현존과정 및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비교,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관계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의 민속인형극

Ⅲ. 꼭두각시놀음의 막 구조
1. 제1막
2. 제2막
3. 제3막
4. 제4막
5. 제5막
6. 제6막
7. 제7막
8. 제8막

Ⅳ. 꼭두각시놀음의 내용상 특징
1. 장단, 춤사위
2. 연희자(演戱者)
3. 옛 놀이판, 현 전수소

Ⅴ. 꼭두각시놀음의 현존과정

Ⅵ.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비교

Ⅶ. 남북한 꼭두각시놀음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까닭이 아닌가 한다. 특히 박첨지의 처남인 ‘최영노’가 박첨지의 처남 ‘명노’로 바뀌었거나 이심이가 구렁이로 바뀐 것을 보면 배우는 과정에서 비슷하게 또는 관념적으로 변이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더군다나 주연산이 서울의 사당패에게서 직접 배운 것이 아니라, 강원도 출신의 유영춘 밑에서 배웠으므로, 이러한 변이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서산 꼭두각시놀음은 자생적인 것이 아니라 사당패의 연행을 배워와서 전승하는 과정에 제대로 전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 해서 불완전한 모습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전수과정에서 이지러지게 수용되어 나타난 변이의 퇴행성이 마치 발전과정에 있는 것처럼 포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연의 자료는 사정이 다르다. 서울의 자료에서 등장인물로 명명되지 않는 목랑청과 장안활자, 산몽혜와 같은 개성적인 인물과 이름이 별도로 존재할 뿐 아니라, 동방삭과 같은 인물도 삼천갑자로 나타나며 수도승 구실을 하는 현묵대사가 독자적인 이름을 확보하고 등장한다. 더군다나 춤 과장이 셋이나 별도로 있다.
이러한 독창적 부분들은 직업적인 떠돌이 광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하기 어렵다. 자생적으로 형성되어 독자성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첨지와 평양감사 등 가장 중요한 등장인물들이 서울과 같이 등장하고 극의 내용이나 거리별 분화 또한 서울의 자료와 상당히 일치한다. 전체 10개 거리 중 춤 과장 셋을 빼고 나면 거의 비슷하다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 앞에서 검토한 것처럼 다만 꼭두각시 거리가 없을 뿐이며 전체적인 전개 양상도 비슷하다. 이러한 동질적 부분들은 사당패의 공연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연 자료의 독자성과 동질성을 함께 고려한다면, 장연 꼭두각시놀음은 원래 자생적으로 형성된 독자성을 지니면서 전승되던 것이 사당패의 연행에 영향을 받아서 상당 부분 일치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향을 받지 않아도 한 민족이 자력적으로 창출해 낸 같은 양식의 문화유산이라면 동질성을 지닐 법하다. 하지만 대체적인 내용이 비슷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표현 방식과 체계가 일치하고 있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상호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박첨지:서울로 일러도 일간동 이골목 삼청동 사직골 오궁터 육조앞 칠관악 팔각제 구리개 십자가 광명주리 만리재 아래벽동 웃벽동 다 젖혀놓고…… <서울 자료>
박첨지:저 남대문 앞 썩 들어 가서 일문안 이목골 삼청동 사직골 오구문 륙조앞 칠골앞 팔각재 구리개 십자가 방병두지 만리재 리화동천 락현방초 날날이 다 지나 웃벽동…… <장연 자료>
첫째 거리에서 박첨지가 등장하여 자기가 사는 곳을 소개하는 대목이다. 서울과 장연의 자료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았다면 이렇게 일치를 보이기 어렵다. 구비전승에 의한 영향인 데다가 구비전승을 바탕으로 연행되는 까닭에 즉흥성에 따른 변이가 아주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것은 서로 영향 관계를 인정할 만하다. 아래는 같은 거리에서 박첨지가 돈을 실컷 쓰고도 줄지 않은 까닭을 말하는 대목이다.
박첨지:나는 짐승은 알을 낳고 기는 짐승은 새끼를 치는 줄은 모르느냐. 이 잡놈들아 내 돈도 그렇게 번성했다는 말이다. <서울 자료>
박첨지:여보게, 나는 새 알을 낳고 기는 짐승 새끼도 치는데 어떤 놈이 돈 늘여 쓰자고 댕기지 본전대로 쓴다면 억만 장안 다 팔아도 돈이 모자랄 것은 정한 리치가 아닌가. <장연 자료>
비유로 사용한 문장도 같거니와 거기 담고 있는 말투와 내용도 일치한다. 이러한 내용들은 영향성을 인정할 만하다. 꼭두각시놀음이 시작되는 가장 처음에, 박첨지가 ‘떼루 떼루’하면서 등장하여 시작하는 ‘박첨지 거리’가 있고, 맨 나중에 박첨지와 중이 나와서 절을 짓고 염불한 다음, 절을 다시 허는 ‘건사’ 거리로 마무리하는 것도 두 작품에서 정확하게 일치한다. 이처럼 시작과 결말의 양식은 물론 전체적인 구성과 내용이 대체로 일치하는데, 이것 또한 영향관계를 인정할 만한 중요한 단서로 삼을 만하다. 그러므로 장연 꼭두각시놀음은 토박이 인형극으로서 자생적 독자성을 지니면서 전승하는 가운데 떠돌이 광대들의 인형극을 수용하여 현재 채록된 자료와 같은 양상을 이루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검토한 것을 토대로 할 때, 서울과 장연, 서산 꼭두각시놀음은 다음과 같은 전승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서울 꼭두각시놀음 : 떠돌이 광대 : 가장 발전된 작품 : 자생적 형성에 의한 전승
장연 꼭두각시극 : 토박이 광대 : 발전과정의 작품 : 자생적 형성과 영향에 의한 전승
서산 박첨지놀이 : 토박이 광대 : 퇴화과정의 작품 : 전파와 영향에 의한 전승
남한에는 이밖에도 많은 꼭두각시놀음의 각편들이 채록되어 있다. 여기서는 다만 가장 초창기에 채록된 남한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 동안 알려져 있지 않던 북한의 장연 지역 작품과 최근에 새로 발굴되어 학계에 소개된 서산 지역 작품만 다루었다. 왜냐 하면 북한 작품과 비교하며 이루어진 북한학자들의 연구성과가 남한 작품의 여러 각편들을 두루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김재철본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산 자료까지 끌어들여서 함께 다룬 것은 그 동안 남한 학계에서는 남사당패가 전승하는 꼭두각시놀음이 유일한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까닭에, 자료를 새로 소개하면서 그러한 오해를 씻고자 한 까닭이다. 그리고 서산 작품은 토박이 광대들이 남사당패의 꼭두각시놀음을 배워와서 전승하고 있는 것으로서 장연 작품과 함께, 꼭두각시놀음의 전승집단과 전승양상 및 전파와 영향 문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 데 독자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참고문헌
서연호, 한국 가면극 연구, 월인
임재해(1981), 꼭두각시놀음의 이해, 홍성사
우리마당터(2003), 민속학술자료총서, 369, 꼭두각시, 우리마당 터
안정의(1989), 인형극 놀이와 인형 만들기, 행림출판
정희정(1993), 꼭두각시놀음 연구 텍스트 읽기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낙용(2001), 꼭두각시놀음의 산받이 연구, 전북대학교
한국 민속극, 일신사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9.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19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