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운율적 자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1. 본론
(가) 길이(長短, length)
(나) 높이(高低, pitch)
(다) 억양(intonation)
(라) 세기(强弱, stress)
(마) 연접(juncture)

2-2. 국어에서의 음장(音長)

본문내용

단모음화 규칙이 적용되지 않고 장모음 어간이 그대로 실현된다.
덥:다 > 더위, 떨:다 > 떨이, 털:다 > 털이개, 참:다 > 참음, 웃:다 > 웃음, 걷:다 > 걸음. 많:다 > 많:이, 적:다 > 적:이, 곱:다 > 고:이, 없:다 > 없:이.
3) 기저에 장모음을 갖는 용언의 어간에 사동접미사나 피동접미사 '이, 히, 리, 기'가 결합되면 그 어간은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담:다 → 담기다, 곪:다 → 곪기다, 웃:다 → 웃기다, 알:다 → 알리다, 붇:다 → 불리다,
밟:다 → 밟히다, 쌓:다 → 쌓이다.
(나) 장모음화
1) w-활음화나 y-활음화를 경험할 때, 각각 두 음절에 할당되어 실현되던 두 모음은 하나의 음절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비음절화를 거치게 된다. 활음화의 경우 비음절화에 따른 시간상의 손실이 활음을 형성한 음절의 장모음화를 통해 보상받게 된다. 다시 말해서 활음화 현상이 일어날 때 비음절화에 의한 시간의 손실이 해당 음절의 장모음화를 통하여 실현된다.
(예) y-활음화현상과 장모음화 (반지를) 끼-+-어: 끼어[kki] → 껴:-[kky:].
단, y-활음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구개자음이 [i]모음을 선행하는 경우에는 장모음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이 경우에 y-활음화 현상에 의해 형성된 y는 구개자음 뒤에서 실현될 수 없다는 제약으로 인해 곧바로 탈락해 버리고 단모음만 실현된다.
(예) (짐을) 지-+-어: 지어[ci] → 져: 저[c],
(사람을) 치-+-어: 치어[chi] → 쳐: 처[ch,
(맛이) 시-+-어: 시어[syi] → 셔: 셔[sy].
2) 형태소 내부에서 고모음('우'나 '이') 탈락이 이루어져 재구조화된 어간형들도 장모음으로 실현된다.
(예) 깨우다>깨:다(깨어 → 깨:), 게우다>게:다(게어 → 게:), 외우다>외:다(외어 → 외:),
매이다>매:다(매어 → 매:), 고이다>괴:다(괴어 → 괴:).
3) 'ㅅ'불규칙용언과 'ㅎ'규칙용언의 어간에 '으'계 접사가 결합되면, 어간말 'ㅅ'이나 'ㅎ'은 탈락하는데 다시 모음끼리 만나게 됨으로써 모음충돌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 때 '으'계 접사의 '으'가 탈락하게 되고, '으'가 탈락하면 잃어버린 음절에 대한 시간적 보상으로 장모음화가 일어난다. 이 경우, 어간말 'ㅅ'이나 'ㅎ'의 탈락이 일차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원래 개음절 어간형을 갖는 용언에 '으'계 접사가 결합하여 생기게 되는 모음충돌 현상을 피하기 위하여 '으'계 접사의 '으'가 탈락하더라도 이 때에는 장모음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 긋:-+-으면 > 그으면 → 그:면, 좋:-+-으면 > 조으면 → 조:면.
cf. 꾸:-+-으면 > 꾸:면, 꾸-+-으면 > 꾸면.
※ 참고 문헌
° 김차균, 나랏말과 겨레의 슬기에 바탕을 둔 음운학강의, 태학사, 1998
° 황희영, 한국어 음운 개설, 半島出版社, 1979
° 허웅, 국어음운학-우리말 소리의 오늘, 어제-, 샘문화사, 1985
° 이상억, 음장(音長) 및 성조(聲調)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3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41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