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사례,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연주사례, 직업으로서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현대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사례,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연주사례, 직업으로서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현대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
1. 향악, 당악, 아악
2. 정악과 민속악

Ⅲ.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연주형태
1. 기악
1) 독주
2) 병주
3) 세악
4) 삼현육각
5) 대풍류(관악 합주)
6) 줄풍류(현악 합주)
7) 합악(合樂)
8) 농악
9) 대취타
2. 성악
1) 가악
2) 민요
3) 잡가
4) 판소리

Ⅳ.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

Ⅴ.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분류
1.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한 분류
1) 아부(雅部)
2) 당부(唐部)
3) 향부(鄕部)
2.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의한 분류
1) 금부(金部)
2) 석부(石部)
3) 사부(絲部)
4) 죽부(竹部)
5) 포부(匏部)
6) 토부(土部)
7) 혁부(革部)
8) 목부(木部)
3. 서양 음악식 분류
1) 관악기(管樂器)
2) 현악기(絃樂器)
3) 타악기(打樂器)

Ⅵ.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다양한 사례
1. 열 여섯 개의 종으로 된 “편종”
2. 열 여섯 개의 돌로 된 “편경”
3. 한 개의 큰 종으로 된 “특종”
4. 한 개의 큰돌로 된 “특경”
5. 쇠붙이 열여섯 개로 된 “방향”
6. 국악의 지휘자 “박”
7. 국악의 지휘자이며 반주자인 “장구”
8. 앉아서 치는 “좌고”
9. 용이 그려진 “옥고”
10. 판소리 반주자의 “소리북”
11. 손에 들고치는 “소고”
12. 춤을 출 때 치는 “무고”
13. 긴 북통의 “절고”
14. 북 중에 가장 큰 북 “진고”

Ⅶ.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연주 사례
1. 산조의 음악적 바탕
2. 산조의 미학
3. 산조의 진보성과 변혁의지
4. 산조의 장단
5. 산조의 농현
6. 가야금산조
7. 거문고산조
8. 대금산조
9. 해금산조
10. 아쟁산조

Ⅷ. 연주 주체별로 본 국악(한국전통음악)공연

Ⅸ. 직업으로서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1. 자격요건
2. 교육기관
3. 연봉

Ⅹ. 현대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Ⅺ.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악연주단의 단원이 되기 위한 학력의 제한은 없으며 오디션을 통과할 수 있는 자신의 전문 악기나 성악에 대한 실력과 전문지식이 있어야 하며 하루에 10시간 이상 진행될 수 있는 연습에 견딜 수 있는 체력이 필요하다. 성악을 하는 국악인은 자신의 목소리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2. 교육기관
국립국악원, 문화관광부, 국립극장, 문화재청,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전당, 월하문화재단, 정동극장, 전라북도립국악원,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 연봉
국악인의 수입에 관한 통계자료는 없으며 전국에 약 80개정도 활동하고 있는 국악관현악단에서 활동 중인 국악인의 경우 대졸 초임 연봉이 약 1,500만원 정도이며 공연과 연습을 지도하는 지도위원이 약 2,500~3,500만원 단장이 3,700~3,800만원의 연봉을 받고 있다.
Ⅹ. 현대의 국악인(한국전통음악인)
국악연주단체에서 활동하는 기악연주가는 국악 실내악단관현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하면서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의 국악기로 정악민속악 등의 전통국악을 연주하거나 신국악, 즉 창작국악을 합주하며 정기비정기 특별 연주회를 개최하고 개인 연주회를 연다. 지방공연을 하거나 해외공연을 하기도 하며 다른 연주단체의 공연에 객원 연주자로 협연할 때도 있다. 공연시간은 1회 공연에 약 90분 정도 소요된다. 또 성악가는 정가(正歌)에 포함되는 가곡가사시조를 노래하고 판소리, 민요, 가야금병창을 하는데 연주단과 함께 공연을 하거나 개인공연을 가진다. 또 각 장르를 함께 공연하기도 한다. 판소리는 1인의 창자(唱者)가 북장단에 맞추어 긴 줄거리를 가진 사설을 부르는 것으로 소리(창), 아니리(독백), 발림(몸짓)으로 구성한 극적 음악이다. 현재는 대표적으로 다섯 마당(춘향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심청가)이 전하고 있다. 판소리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창극(唱劇)은 춘향전, 심청전 등의 고전작품을 무대 양식화하거나 창작대본을 바탕으로 공연하는 것으로 연기와 판소리가 결합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국악인들은 또한 우리 고유의 음악뿐만 아니라 서양음악, 무용 등 다양한 예술장르와 협연을 하거나 국악강습감상회를 개최하여 일반인들의 국악에 대한 접근과 이해를 높이려는 시도도 한다. 그리고 국악의 특성상 화성보다는 가락과 장단을 중요하게 생각하므로 국악연주단의 합주에서는 각 악기 파트가 나름대로 최대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통국악합주에서는 별도의 지휘자가 없으므로 단원들간의 호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국악인들은 이처럼 국악연주단체 혹은 개인 활동을 하면서 신문, 방송, 잡지 등에 국악관련 기사를 기고하여 우리 음악을 알리기 위해 노력하기도 하고 초중고교 음악교사, 대학 음악강사, 교수로 있으면서 학생들을 지도하거나 국악관련 교습학원을 운영하면서 공연에 참가하기도 한다. 또 각종 국악 경연대회에 참가하여 자신의 실력을 인정받는다. 국악관현악단은 각 악기부문별로 부수석과 수석단원이 있고 전 단원의 공연작품연습을 지휘감독하는 악장이 있다.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의 {문예연감}에 의하면 한 해의 국내국악공연은 총 1,440회로 전통음악 연주회가 전체 40.4%를 차지하는 582회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사물놀이와 굿, 탈춤 등 민속공연이 313회로 21.7%이다. 연주형태별로는 기악연주회의 공연이 가장 활발했으며 특히 관현악연주회가 전체 기악연주회의 74.6%를 차지하고 있다.
. 결론
국악은 \'전통음악\', 또는 \'한국음악\'으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우리의 음악은 악(樂)가(歌)무(舞)가 포함된 것으로 그 속에는 왕실에서부터 천민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희로애락(喜怒哀樂)이 녹아 있다. 문화의 세기라는 21세기를 앞두고 있는 지금, 국악을 단지 과거의 음악쯤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 문화가 소중하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왠지 낯설고 거리감이 느껴지는 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소리인 국악을 전승발전시키는 음악인들(국악과 관련된 무형문화재, 농촌의 전통음악전승자에 대해서는 \'전통예능인\'에서 다루기로 한다)이 있다.
국악의 악곡은 일반적으로 정악(正樂)과 민속악(民俗樂)으로 분류되는데 전자는 궁중과 상류지식계급에서 향유하던 음악인 반면 민속악은 일반 대중인 평민층에서 널리 사용되었던 음악으로 판소리, 민요, 산조, 시나위, 풍물놀이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러한 전통음악과는 별개로 현대에 들어 특히 1950년대 이후부터 전통음악의 작곡기법을 현대인의 정서에 맞도록 새롭게 변용한 창작국악도 시도되고 있다. 국악은 상고시대의 종교의식과 관련하여 삼국고려조선시대를 거쳐 오면서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국악기는 만드는 재료에 따라 금부(金部), 석부(石部), 사부(絲部), 죽부(竹部), 포부(匏部), 토부(土部), 혁부(革部), 목부(木部)로 나눌 수 있으며 연주법에 따라 관악기(대금, 소금, 퉁소, 단소, 피리, 태평소, 생황, 나발, 나각 등), 현악기(거문고, 가야금, 아쟁, 해금, 양금 등), 타악기(장구, 꽹과리, 징, 장구, 자바라 등)로 분류할 수 있다. 국악은 \'음의 높고 낮음의 조화\'보다 \'음색의 조화\'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서양음악에서의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화성이 아닌 가락과 가락이 어우러져 나는 자연스러운 화성이 음의 중심을 이룬다. 또 국악의 장단은 서양음악보다 대체로 긴 것이 특징이며 성악곡과 기악곡 모두 첫 박자가 거의 강박(强拍)으로 시작되고 끝박은 약박(弱拍)으로 마무리된다. 전통국악은 특정 개인에 의해 만들어진 음악이 아니라 오랜 시간 여러 사람의 손과 입을 거쳐 다듬어진 음악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정서에 가장 잘 맞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김우현, 전통음악의 원리와 교육, 한국음악교육연구회
○ 김해숙·백대웅·최태현(1995), 전통음악개론, 서울 어울림
○ 김세중(2003), 한국음악의 이해 핸드북, 예솔
○ 서한범(1999), 국악통론, 서울 태림출판사
○ 신대철(1993), 우리 음악·그 맛과 소리깔
○ 이성재(1994), 국악 길라잡이, 서울 서울미디어
○ 이성철(1995), 국악 개론, 풍남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3.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