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습득이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타고난 배경 지식과 연합하여 작용하는 인식 및 의사소통 능력의 성장에 의해 조절된다. 2) 형식적 단계에서 발달은 문법에 대한 타고난 배경 지식과 연합하여 작용하는 인식 및 정보 처리 능력에 의해 조절된다. Slobin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언어 발달에 대한 설명은 언어의 인지적 기초에 대한 설명에 달려 있다. 즉 어린이들은 알고 있는 것이 메시지를 말하고 이해하기 위한 신호에 대해 그들의 무엇을 배울 것인지를 결정할 것이다. (언어의 기능에 기초한 형식을 배움)
Slobin p. 29
Dan Slobin [1971,1986], among others, demonstrated that in all languages, semantic learning depends on cognitive development and that sequences of development are determined more by semantic complexity than by structural complexity: “There are two major pacesetters to language development, involved with the poles of function and of form:(1) on the functional level, development is paced by the growth of conceptual and communicative capacitie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innate schema of cognition; and (2)]on the formal level, development is paced by the growth of perceptual and information-processing capacities,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innate schema of grammar'' [S1obin 1986:2]. Bloom [1976:37] noted that an explanation of language development depends upon an explanation of the cognitive underpinnings of language
(7) 요약; 1. 행동주의 / 구조주의 입장(behavioristic / structural position)
행동주의(구조주의)자들은 언어를 발음어휘기본 문형 등이 기본 요인이 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흉내반복 연습이 언어 학습의 요건이라고 보았다. 학습의 대상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말 그 자체이며, 그러한 언어 형태를 흉내 내고 많은 문장을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경험주의에 근거하여 눈에 보이는 대상, 즉 언어 학습상의 언어 수행(performance)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언어의 추상적이고 창조적인 측면을 간과했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2. 인지주의 / 생득론적 입장(cognitive / nativist position)
생득론자들은 언어의 심층 구조인 규칙을 언어의 기본 요소로 보고 이 규칙을 이해해야 언어를 아는 것으로 본다. 문법 규칙을 이해하면 이 지식으로 얼마든지 많은 문장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지나치게 언어의 형식(form)을 중시한 나머지 언어 수행(performance)이나 언어의 의미나 기능(function)을 설명할 수 없었다.
3. 인본주의 / 기능주의 / 구성주의 입장(humanistic / functional1/ constructivist position)
기능주의자들은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을 중시하여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의 터득이 곧 언어 습득이라고 보았다. 모든 사회적문화적 의미가 포함된 표현을 알아 차려야 그 언어를 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에 관한 기본 개념에 따라 언어학습은 곧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사용되는 표현들을 유창하게 할 수 있게 가르치는 것이 목적이다. 즉, 정확한 어휘의 발음이나 문법 규칙의 이해는 중시하지 않는다. 이들은 생성 문법주의자들이 무시한 언어 수행이 언어 기능과 관계가 있다고 하여 다시 중시한다. 언어 환경과 대상에 따른 어법(register), 언어 수행 목적에 따른 언행(speech acts), 대화의 규칙(the rules of conversation) 등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긴다. 그리고 언어의 의미와 기능에 중점을 둔 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학습자는 주어진 언어 입력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기존의 인지 구조에 연관시켜 지식을 재구성한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social interaction)이 필수적이다.
(8) 용어 설명
1. 언어 능력(Competence) vs 수행 (Performance)
Chomsky(1965)에 의하면, 언어 능력이란 언어 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말한다. 예를 들어, 문법 규칙, 어휘, 언어의 모든 요소들에 관한 지식, 나아가 언어 요소들이 어떻게 함께 결합 되는가 등등에 관한 지식; 언어 수행(Performance)
실제적 표현(speaking writing)이나 이해(listening, reading) 등의 언어사용을 가리킨다. Chomsky에 의하면 실제로 사용되는 언어, 즉 자연 언어는 저변의 언어 능력(competence)에 의해 지배되지만 갖가지 조건, 환경에 의해서 불완전하고 퇴화된 양상을 갖는다.
linguistic vs communicative competence
2. 이해와 표현 (comprehension vs production)
3. 선천성과 후천성 (nature vs nurture)
4. 보편소 (Universal grammar)
5. 체계성과 변이성(systematicity vs variability)
6. 언어와 사고 (language vs thought)
7. 모방 (imitation):
8. 연습(practice): frequency vs meaning
9. 입력(input)
10. 담화(discourse)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