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의 지리적 특성에 의한 방언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상도의 지리적 특성에 의한 방언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지리적 특성에 따른
경상도 방언의 특징
1. 고어의 잔존
2. 경상도 뿌리 어휘
3. 친족어 부름말의
빈번한 사용

Ⅲ. 결 론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무이예'가 더 친밀한 느낌을 주는 것처럼, 경상 방언에서 친족어에 부름자리토씨가 붙게 되면 부름자리토씨가 없는 경우보다 더 부드럽고 친밀한 느낌을 주게 된다.
Ⅲ. 결 론
지금까지 경상도 지역적 특성에 따른 방언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른 방언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고어형의 어휘를 가지고 있는 것은 다른 지역보다 더디게 언어개신이 이루어졌기 때문이고 전형적인 농도인 경상도는 농경어의 사용어휘에서도 다른 곳과 차별성을 보인다. 또한 지리적으로 부산은 이질적인 문화가 들어오는 통로로서 여러 이질 문화를 많이 접할 수 있었으며 이를 포용하려는 자세로써 친족어의 빈번한 사용이 두드러지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언어의 분화란 한 세대 사이에서도 일어나며, 4·50㎞만 떨어져도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이유로 오랜 역사를 가진 한국어는 어느 나라에 못지않은 다양한 방언들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어느 때인가부터 표준어와 사투리를 구분하고, 표준어는 우수하며 사투리는 열등하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점차 사투리가 사라져 가고 있고 이와 동시에 그 지방의 생활 문화도 소멸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사투리 속에 배어있는 우리 정서와 생활 문화를 통해 도시화에 빼앗긴 우리의 옛 문화를 다시 찾아야 한다. 외래어에 영향을 받지 않은 순수한 우리말을 사투리 속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Ⅳ. 참고자료 및 참고문헌
<참 고 문 헌>
김원일, <마당깊은 집>, 문학과지성사, 2002.
김정한, <모래톱이야기>, 범우사, 2002.
박경리, <김약국의 딸들>, 나남출판, 1993.
박경리, <토지>, 나남출판, 2002.
서보월, <안동지역의 친족어 연구>, 안동학연구, 안동문화연구소, 2003.
서보월, <친족 호칭어의 방언 문화>,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회, 2003.
윤명희 외, <경상도 우리 탯말>, 소금나무, 2006.
이근열, <사투리의 미학>, 세종출판사(이길안), 2005.
이상규, <경북방언 문법연구>, 박이정, 1999.
이상규, <국어방언학>, 학연사, 2003.
<인터넷 사이트>
http://www.kookje.co.kr/ (기획시리즈 - 문화기획)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2&dir_id=1210&eid=R201VixYkGS7J99mlZPwG0DR4b2rTwbv&qb=sOa787OytbUguea+8A==
(경상남도 방언의 특징)
http://kin.naver.com/open100/db_detail.php?d1id=11&dir_id=110104&eid=giHKJvUXHxvA2oD3zN/71Opf9eWKy1Z4
(경상북도 방언의 특징)
http://www.happycampus.com/report/view.hcam?no=2872144
(남부동남방언)
http://urimal.cs.pusan.ac.kr/urimal_new/
(우리말배움터)
http://shi.kaist.ac.kr/2001/lecture/week1/1-1.html
(한국어와 한국문화)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