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사투리(방언)의 사회인식과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표준어와 사투리(방언)의 차이 및 사투리(방언) 사례를 통해 본 각 지방사투리(방언)의 특징(사투리, 방언, 표준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투리][방언][표준어][지방사투리]사투리(방언)의 사회인식과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표준어와 사투리(방언)의 차이 및 사투리(방언) 사례를 통해 본 각 지방사투리(방언)의 특징(사투리, 방언, 표준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투리(방언)의 개념

Ⅱ. 사투리(방언)의 종류

Ⅲ. 우리사회에서의 사투리(방언) 인식

Ⅳ. 일상어로서 사투리(방언)와 문학기법으로서의 사투리(방언)

Ⅴ. 사투리(방언)의 활용가치

Ⅵ. 표준어와 사투리(방언)의 차이점
1. 표준어
2. 방언

Ⅶ. 표준어와 사투리(방언)의 혼용

Ⅷ. 각 지방 사투리(방언)의 특징과 사례
1. 경상도 방언
2. 전라도 방언
3. 충청도 방언
4. 강원도 방언
5. 제주도 방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 당황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Ⅷ. 각 지방 사투리(방언)의 특징과 사례
1. 경상도 방언
경음(된소리)이 많아 억센 느낌이 든다.
\'으\'가 \'이\'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걱정스럽다.--걱정시럽다.
예) 난 내일 학교가는게 너무 걱정시럽다.
긴 단어가 짧게 변한다. \'--습니다.\'가 \'심더\'로 바뀜
예) 지는요, 밥 먹었심더.
--데이 로 말이 끝나는 경우가 있다. ---임데이
예) 내 먼저 집에 간데이.
--했다 가 --했다카이 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예) 난 오늘 학원 갔다왔다카이
문디 이란 말이 문동이라는 글방아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어 욕설이 아닌 평상어로 쓰이는 경향이 있다
2. 전라도 방언
문장의 뒷부분에 \'~디\', \'~잉\', \'~쟤\', \'~브렀다\' 이런 말들이 많이 붙는다.
예를 들어
~디 // 내가 저번에 그거 했었는디//그것이 아닌디
~잉 // 힘들다잉//배고프다잉
~쟤 // 그라쟤//그것이 아니쟤
~브렀다 // 먹어브렀다//넘어져브렀다
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3. 충청도 방언
청도 방언은 느릿느릿하고 유연하며 문장 뒤에 유~~ 라는 말이 자주 나타난다.
여기는?
아무도 없어유.
한사람이라도 써봐유
아 이래서야 되겠시유?
우리도 이젠 좀 빨라져야지유
안그래유~~~~~~~
4. 강원도 방언
말투가 거칠고 세지만 산사람의 소박함이 담겨져 있다.
째마난 돌멩이 들드시 막들고 다니지 않소.
불을 다 끄고나니 집을 빼~앵 둘러 가면서
강낸이 밭해 가면서 마굿간이고 뭐고 싹 다타버렸잖소!
그리니 으~엄청 승질나더래요~!
5. 제주도 방언
제주 방언은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래서 목소리가 다른 지역 사람들보다 높고,(목소리가 작으면 바람 소리때문에 소리가 전해지지 않는다) 말이 짧다. 말이 길면 바람에 소리가 죽어서 의미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말의 빠르기는 빠른 편이지만 단어 사이를 확실히 띄어서 발음한다.
빨리오세요(혼저옵서)
많이보세요(하영봅서)
갔다오세요(강옵서)
쉬어서 가세요(쉬영갑서)
좋습니까(좋쑤과)
알았습니다(알았수다 )
어디서 오셨습니까(어디서 옵데가?)
여보세요(날봅서)
계십니까?(있쑤꽈?)
예 어서오십시요(예 어서 옵써)
다시 오겠습니다(다시 오쿠다 양)
가느냐?(감시냐?)
오라고 하느냐?(오라시냐?)
갔느냐?(가시냐?)
매우 수고하셨습니다.(폭싹 속았수다)
5. 제주도 방언
방언을 사용하여 향토애를 불러일으키고 친근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방언을 지나치게 남용함으로써 지역 우월주의에 빠진다거나 다수 국민의 정서를 해치는 일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어느 사회 단체나 국가든지 언어적으로 단일화되어 있지 않다면 정치.사회.문화적 통일을 이룩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나라에서 표준어를 정하여 언어적 단일화를 꾀하고 있는바 우리가 표준어 교육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점에서 여러 교육 기관에서는 방언 화자들에게 어느 것이 표준어인지를 알려야 하며 나아가서 표준어의 개념과 속성을 설명해 주는 데에 힘써야 한다. 거꾸로 국민 각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말이 표준어인지 아닌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여러 기관들이 나서서 표준어 교육에 열성을 보인다 한들 수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져 있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표준어 습득에는 언어적 교양을 갖추려는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참고문헌
* 강윤희/1994 : 제주 사회에서의 두 방언 사용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제주도연구 통권 제11호
* 강희숙/1994 : 음운변이 및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 곽충구/1983 : 충청·경기방언의 현지조사 과정과 반언, 방언7, 이익섭, 서울: 민음사
* 박이정/1999 : 경북방언 문법연구
* 박성종 : 강원도 방언의 성격과 특징,태학사
* 방언학, 대우학술총서, 인문사회과학13* 이상규·백두현 외/1996 : 내일을 위한 방언 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 성낙수저 : 우리말 방언학, 한국문화사
* 오창명/1995 : 제주도방언에 대한 학술조사의 성과와 반성, 백록어문 통권 제11권
* 이익섭/1993 : 표준어의 기능,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원
* 이병근 외 지음/1998 : 방언, 국어학강좌, 태학사 1998/09 출간
* 조태린/2004 : 연속기획 / 서울 vs 지방 - 표준어와 사투리 계급언어, 지역 언어로서의 표준어, 당대비평
* 최명옥/1994 : 경상도의 방언구획 시론, 우리말의 연구, 외골 권재선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대구 우골탑.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7.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2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