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헌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우적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처용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헌화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모죽지랑가,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우적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솔가
1. 도솔가의 원문
2. 도솔가의 작품풀이

Ⅱ.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처용가
1.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2. 처용가의 작품 해설
3. 처용가의 작품 해제
1) 작자
2) 연대
3) 갈래
4) 표현
5) 성격
6) 제재
7) 주제
8) 의의
9) 출전
4. 처용가의 시어 및 시구 풀이
5. 처용가의 요점
6. 처용가의 감상 길라잡이
7. 처용가의 배경설화

Ⅲ.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헌화가
1. 헌화가의 원문과 해독
1) 獻花歌
2) 양주동 해독
3) 김완진 해독
2. 헌화가의 배경 설화

Ⅳ.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모죽지랑가
1. 모죽지랑가의 원문
2.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1.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2.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작품이해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2. 우적가의 작품이해

참고문헌

본문내용

林米
毛冬居叱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貌史年數就音墮支行齊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 行乎尸道尸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2. 모죽지랑가의 배경설화
이 노래는 삼국유사 권 2 효소왕에 죽지랑 조에 실려 있다. 술종공이 朔州都督使가 되어서 임소에 가는 길에 그 때는 삼한이 병란이 있는 때라, 기병 삼천으로 호송하였는데, 죽지령에 다다르니 웬 한 거사가 그 산 길을 평평하게 다스리고 있었다. 술종공은 탄복하였는데, 거사도 공의 위풍을 보고 감심하여 서로 의기가 상통하는 바가 있었다. 공이 삭주에 도임 하여 다스리기를 한달 뒤에 꿈에 거사가 방에 들어온 것을 보았고, 공의 부인도 같은 꿈을 꾸었다. 놀랍고 괴이해서 이튿날 사람을 시켜 알아보니까 거사는 일전에 죽었다 한다. 더욱이 그 죽었다는 날짜와 꿈의 날짜가 꼭 맞는다. \"거사가 우리 집안에 인제 태어나리라\" 공은 이렇게 말하고, 사람을 시켜서 거사의 주검을 고개 위 북쪽 봉우리에 후히 장사하고, 돌로서 미륵을 만들어 무덤 앞에 세워 주었다. 부인은 꿈 꾼 날부터 태기가 있어서 아이를 낳은 뒤에 죽지랑이라 이름 지었다. 자라서 벼슬에 나아가 김유신과 함께 부수(副帥)가 되어 삼한을 통일하고 진덕, 태종, 문무, 신문 네 임금의 재상이 되고, 나라를 안정 하였다.
Ⅴ.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
1.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원문과 해독
膝古召 무릎을 낮추며
二尸掌音毛乎支內良 두 손바닥 모아
千手觀音叱前中 천수관음 앞에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祈求의 말씀 두노라
千隱手□叱千隱目 千개의 손엣 千개의 눈을
一等下叱放一等除惡支 하나로 놓아 하나를 덜어
二于萬隱吾羅 두 눈 감은 나니
一等沙隱賜以古只內乎叱等邪 하나를 숨겨주소서하고 매달리누나
阿邪也 吾良遺知支賜尸等焉 아아, 나라고 알아 주실진댄
於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어디에 쓸 慈悲라고 큰고
2. 도천수관음가(도천수대비가)의 작품이해
〈도천수대비가〉의 작자는 희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에서의 기원 구조는 천수관음 앞에 禮敬하는 자세와 기원 행위, 그리고 천수관음의 威神力에 기원자의 처지 고백 및 소망의 청원 그리고 천수관음에 대한 예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작품에서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신라인의 觀音思想에 대한 신봉이다. 신라인들이 인식하는 관세음보살은, 기원에 즉시 응하여 현세인 신자의 주변으로 와서 疾病 家難 災難 兵火로부터 구제해주는 大慈大悲한 존재였다. 다시 말하면 서민들이 깊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절대적인 존재였던 것이다. 희명의 발원 또한 그런 절대적 믿음에서부터 출발한다. 맹아의 눈을 고치기 위해서 一心念唱하고 있는 모성애의 발로로 기도는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시가의 사상을 논할 때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이 노래가 단지 관음사상에만 의존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주술은 우리 민족 전통의 소산이었던 까닭에 민중의 크고 작은 염원의 수단으로 작용되었던 게 사실이다. 이러한 呪力의 힘은 불교의 관음사상의 기반 위에서 더욱 영역을 확장시키고 탄탄한 믿음으로써 인식될 수 있었던 게 아닐까 한다.
Ⅵ. 통일신라시대의 향가 - 우적가
1. 우적가의 원문과 해독
遇賊歌
自矣心米 (제 매)
史毛達只將來呑尼隱日 ( 모렷단 날)
遠鳥逸西山過去知遣 (머리 西山 디나치고)
今呑藪未去遣省如 (열 수메 가고쇼다)
但非乎隱焉破戒主 (오직 외온 破戒主)
次弗伊史內於都還於尸郞也 (저플 즈 의 돌려)
此兵物叱沙過乎 (이 잠 디내온)
好尸日沙也內乎呑尼 (됴날 새누옷다니)
阿耶唯只伊吾音之叱恨隱 陵隱 (아으 오지 이오맛 善은)
安 尙宅都乎隱以多 (안디 새집 외니다)
제 마음에
형상을 모르려던 날
멀리 서산 지나치고
이제란 숨어서 가고 있네
오직 그릇된 破戒主(파계주)를
두려워할 짓에 다시 또 돌아가리
이 쟁기사 지내곤
좋은 날이 새리이니
아으 오직 요만한 善은
아니 새 집이 되니이다
2. 우적가의 작품이해
우적가(愚賊歌)
신라 향가의 하나이다. 원성왕 때의 영재(永才)가 지은 것으로 <삼국유사> 권5에 \'영재우적(永才愚賊)\'이라는 제목 아래 이 노래와 아울러 연기설화가 실려 있다. 영재가 도적을 만나 그들의 명에 따라 지은 노래로 <삼국유사>에는 이 노래의 제목이 전해져 있지 않다. 오구라(小倉進平)는 <영재우적>, 양주동은 <우적가>, 김선기는 <도둑 만난 노래>, 김사엽은 <도적가>라 하였다. 연기설화에 따르면 승려인 영재는 천성이 익살스럽고 재물에 무실하며 도한 향가를 잘 했다. 영재가 만년에 장차 남악에 은거하려고 대현령에 이르렀을 때 60여명의 도적들이 칼을 들이대며 해를 가하려 하여도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자 도적들이 이상하게 여겨 그의 이름을 물으니 영재라 하였다. 도적들은 일찍부터 그 이름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 노래를 지으라고 명하였다. 이에 영재가 이 노래를 지어 부르자 도적들은 노래에 감동하여 자신 등의 행동을 뉘우치고 비단 두 필을 주고자 하였다. 이에 영재는 \"재물이 지옥 가는 죄악의 근본임을 알아 이제 깊은 산에 숨어서 일생을 지내고자 하는데 어찌 이것을 받겠는가\"하고 땅에다 버렸다. 도적들은 더욱 감동하여 칼과 창을 버리고 머리를 깎고 영재의 제자가 되었으며 지리산에 들어간 뒤 다시는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우적가>는 대략적이 내용을 풀이하면 \"지금 나는 내 마음 속 세속의 번뇌를 벗어버리고 깊은 산중으로 수도를 하러 가는 수도승이다. 너희들 칼에 내가 찔림을 받으면 좋은 날이 바로 올 것이라 슬플 것이 없지만 아직도 정진하여야 할 길은 멀리 남아 있는데 그렇게 무참히 명을 끊을 수 있겠느냐.\"라고 설복시킨 노래이다. 재물에 눈이 어두운 중생에게 인생의 참뜻과 바른 길을 제시하여 자신을 수련하며 참되게 살아가라는 교훈이 담겨 있는 향가이다.
참고문헌
김준영, 향가문학, 형설출판사, 1982
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1981
이탁, 향가신해독, 한글, 1956
양희철, 삼국유사 향가연구, 태학사, 1997
윤경주, 향가가요의 현대성 연구, 집문당, 1993
임김중, 새로 읽는 향가 문학, 아세아 문화사, 1998
황패강, 향가문학의 이론과 해석, 보광문화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