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손상 WHEALS팽진 소수포vesicle대수포bull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피부손상 WHEALS팽진 소수포vesicle대수포bull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WHEALS팽진
소수포vesicle대수포bulla

본문내용

표피안 발포는 세포사이의 부종(해면증)에서 오는데 예를 들어 접촉성 습진성 피부염이나 한포진에서 표피의 지연된 과민반응에서 특징적으로 보인다.
Spongiotic vesicles (B in Fig. 3-6A) may be detectable microscopically but may not be clinically apparent as vesicles.
해면양 수포는 현미경적으로 탐지가능하나 소수포처럼 임상적으로 명백하지는 않다.
Loss of intercellular bridges, or desmosomes, is known as acantholysis, and this type of intraepidermal vesication (A in Fig. 3-7A) is seen in pemphigus vulgaris, where the cleavage is usually just above the basal layer.
세포사이의 다리인 데스모좀[접착반]의 상실은 극세포분리증은 표피내 발포의 형태로 틈이 주로 기저세포 위에 있는 심상성 천포창에서 보인다.
In pemphigus folliaceus, the cleavage occurs just below the subcorneal layer.
낙엽상 천포창에서, 틈은 바로 각질하층 아래에서 발생한다.
Viruses cause a curious “balooning degeneration” of epidermal cells (B in Fig. 3-7A), as in herpes zoster, herpes simplex, variola, and varicella.
헤르페스 조스터,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리올라 바리셀라와 같은 바이러스는표피 세포의 의심스러운 풍선성 퇴화를 일으킨다.
Viral bulae often have a depressed (“umbilicated”) center.
바이러스성 수포는 종종 함몰한(제하함몰) 중심을 가진다.
Pathologic changes at the dermal-epidermal junction may lead to subepidermal vesicles and bulae ( Fig. 3-8), as are seen in pemphigoid, bullous erythema multiforme, porphyria cutanea tarda, dermatitis herpetiformis, and some forms of epidermolysis bullosa.
진피-표피 결합부의 병리적인 변화는 유천포창, 수포성 다형 홍반, 만발성 피부 포르피린증, 포진성 피부염과 몇 표피괴사성 수포의 형태에서 표피하 소수포와 대수포를 낳는다.
The thickness of the wall of a bulla may be estimated by its translucency and flaccidity.
대수포 벽의 두터워짐은 투명성과 이완성에 의하여 평가될 수 있다.
The amount of pressure required to collapse the lesion may help predict whether the bulla is intraepidermal or subepidermal.
병변을 붕괴시키는데 요구되는 압력의 양은 대수포가 표피내인지 표피하인지 예측하는데 도움이 된다.
It has been said that a relatively large, tense bulla suggests pemphigoid, whereas a flaccid bulla suggests pemphigus.
이완성의 대수포가 천포창임을 암시하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크고 긴장된 대수포는 유천포창이라고 말해진다.
There is, however, no reliable means of distinguishing these two diseases except by histologic examination of the lesion and immunofluorescence.
그러나 병변과 면역 형광의 조직학적 검사를 제외하고 이 두 질병을 구별하는 믿을만한 수단이 없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2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593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