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D(디스플레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장 디스플레이의 개요
Ⅰ. 디스플레이의 목적
Ⅱ.디스플레이의 정책
Ⅲ.디스플레이의 의미
Ⅳ. V.M.D
1. V.M.D의 의미와 목적
2. VMD의 이점
3. V.M.D 실시
4. DISPLAY 와 V.M.D 차이
5. 디스플레이의 분류

제2장 VP.PP.IP.MP

제3장금후의 VMD방향

본문내용

매하기에 편하도록 정리, 진열하여 보여주는 방안으로서 VMD의 기본이 된다. 대부분의 할인점에서는 백화점에 비해 상품의 VP나 PP연출보다는 IP진열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그림 9, 10>
<표 7> Merchandise Presentation의 방법
MP
Merchandise
Presentation
VP
매력적인
연출
Store Concept을 전달하기 위한 스테이지를 설치하여 테마의 종합적인 표현으로 매력적인 연출을 한다.
PP
상품
포인트
소구
매장내의 상품정보를 시각적으로 소구하며 관련상품과의 자연스러운 코디네이트로 생활을 제안한다.
IP
쾌적한
매장구성
상품을 분류, 정리하여 관리하며, 일관성있는 연출법으로 고객이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진열한다.
제 3장 금후의 VMD방향
급속하게 변하는 현대의 사회 속에서 다양화 및 개성화를 지향하는 소비자 욕구의 동향을 비롯해, 유통업계를 둘러싼 환경의 변화속도는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다. 즉, 여유와 풍족한 생활을 제안할 수 있는 환경의 형성은 물론이고, 단순히 상품의 제공만이 아니라 생활해 나아가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판매환경 등 그야말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책으로서 VMD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소득수준과 교육향상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높은 안목은 더욱 더 다양한 소비환경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품선택의 수준은 물론, 매장의 인테리어디자인이나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게 되었던 것이다. 판매공간의 디자인을 진행할 때에는 매장내의 공간이 다른 공간과는 달리 그 속에 상품들을 가지고 있는 공간인 만큼 상품을 어떻게 보다 효과적으로 보여줄 것인가에 주력해야 한다. 때문에 밖으로 나타나는 외관이나 건축적인 문제보다는 실내공간에 대한 영업계획 및 마케팅전략에 따른 인테리어 디자인과 VMD계획을 우선시 해야함은 당연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VMD는 원래 판매원 부족의 해소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이 인적서비스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만족스러운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매장을 연출하는 기법으로서 탄생했지만, 소매업체는 이미 이미지에 의해 좌우되는 '점포 포지셔닝 전략시대'에 들어서게 되고 현재는 점포 차별화에 의해 평가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中本英一, 1993.)
특히 현재와 같이 극심한 구매력의 위축과 경쟁심화로 인한 위기의 시대에는 모든 유통업체가 수익구조 개선을 위해 사업포멧을 변경하고, 경비절감을 통해 위기탈출을 모색하게 된다. 사업포멧의 변경은 점포매각, 업태전환, 대형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나 위탁경영과 같은 근본적 변혁에서부터 가격정책의 제고, 매입 및 거래방식의 변화, 상품개발과 편집매장의 도입 등 영업측면의 개선까지 그 형태가 다양하다.(유통저널, 1998, 8, p.16.)
경비절감은 인건비, 판촉비 등의 판매관리비 절감과 자산 매각과 자본유지를 통한 금융비용 절감을 위한 노력으로 대별된다. 이에 따라 점포 이미지를 관리하기 위한 VMD에 대한 관심과 노력은 무시당하거나 삭제당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의 경제환경과 비슷한 70년대 중반에 미국에서 VMD의 개념이 탄생한 것은 우리나라에게 시사하는 바 가 크다. 당시의 미국 백화점들은 제1차 유류파동으로 인해 불황을 겪었다. 매출과 수익이 급격히 악하되자, 경비절감을 위해 셀프셀렉션(Self Selection)매장을 확대하고 광고, 판촉 등의 고객과의 접촉을 제한하였다. 그러자 마침 성장세에 있는 GMS나 할인점들과 차별화를 이루지 못해 경쟁력은 더욱 약화되었다. 이때 뉴욕의 불루밍데일(Blooming Dale's)백화점은 VMD개념을 도입한 극장론을 제창하였다. 이것이 백화점의 차별화 방안으로 큰 호응을 얻게 되면서 타 백화점들도 VMD개념을 마케팅 전략에 본격적으로 도입하게 되었다. 그 후 VMD가 점차 광의화, 포괄화되면서 현재에 이르러서는 총체적 시각연출(Total Visual Presentation)의 VMD로 발전하게 되었다.
극 장
유통소매업
배 우
상 품
무 대
쇼윈도우
객 석
매 장
관람객
고 객
소도구
연출소품
<그림 3> 극장의 개념을 도입한 백화점(심낙훈, 1997, p.13.)
총체적 시각연출로서의 VMD란 고객이 접하는 모든 시각적 표현, 즉 CI(Corporate Identity), SI(Store Identity), BI(Brand Identity), 점포디자인, 광고와 판촉, VMP(Visual Merchandising Presentation)등을 통한 점포와 고객간의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그 목적은 고객에게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가꾸기 위한 것으로서 효과적인 점포이미지 구축을 위해서는 반드시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r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에 의한 VMD전개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매체들 즉, 예를 들면 광고, 판촉, 점포내외장,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점포가 자신의 메시지를 전달할 때 각각 다르거나 상반된 메시지보다는 하나의 통일된 메시지 전달이 효과적이다.
VMD는 매장이라는 판매환경 속에서 상품의 특성 및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마케팅 전략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가고 있다. 더구나 나날이 경쟁이 심화되는 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할인업체를 경영하는 기업에서는 이러한 마케팅전략으로서 VMD를 도입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점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만 하겠다.
<표 4> 현재의 VMD와 앞으로의 VMD
현재까지의 VMD
요 소
앞으로의 VMD
모든고객이 타깃
타깃고객
점포가 목적하는 타깃설정
춘하추동, 추석, X-MAS 등
판매시즌
상품정책 또는 이벤트행사에 의함
연출담당자의 기호로 결정
상품연출
상품기획, 판매정책에 맞는 상품선정
다량 진열
상품진열
상품중심+POP
장식중심
매장연출
진열계획+POP
디스플레이어
담당
영업 및 판매관련자 전원
돈, 인력, 시간의 투자
비용
돈, 인력, 시간의 절약
개인 플레이
업무
시스템에 근거한 팀플레이
매출과 관계없이 개인만족을 위한 작업
결과
매출증대로 연결
(鈴本哲男, 1993, p.46.)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4.30
  • 저작시기2006.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6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